항목
-
불교경전 요약, 반야심경 반야바라밀다심경, 般若心經본 이름은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 반야(般若)는 프라즈냐(ⓢprajñā)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지혜’라는 뜻이고, 바라밀다(波羅蜜多)는 파라미타(ⓢpāramitā)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완성’, 심(心)은 흐리다야(ⓢhṛdaya)의 번역으로 ‘심장’ · ‘본질’ · ‘핵심’이라는...
-
반야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婆羅蜜多心經), 般若心經『반야심경(般若心經)』은 반야 경전의 핵심 사상인 공사상을 요약하여 압축적으로 풀어낸 불교 경전이다. 짧은 분량으로 한국에서는 독송 등 의례용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주로 현장이 번역한 판본을 독송한다. 산스크리트본으로는 대본과 소본이 전하며, 한역으로는 7종이 있다. 개설 『반야심경(般若心經)』의 ...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49 대반야경, 初雕本 大般若波羅蜜多經 卷二百四十九『대반야바라밀다경』의 한역본을 고려전기 현종 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이다. 198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중에서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잔권(殘卷) 권제249를 인출(印出)한 1권 1축 권자본(卷子本)이다. 목판본에 찍은 한지 여러 장을 연결하여 붙여서,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서 보존할 수 있...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반야심경소기회편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연주기회편(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連珠記會編),..개설 조선 중기 승려 석실 명안이 『반야심경』에 대한 주석서인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의 『반야심경약소(般若心經略疏)』와 이에 대한 송나라 사회(師會, 1102~1166)의 복주(復註)인 『반야심경약소연주기(般若心經略疏連珠記)』를 회편한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1705년(숙종 31)에 쓴 석실 명안의 후서(後序)와...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석실 명안(石室明眼, 1646∼1710)
- 창작/발표시기 :
- 1710년(숙종 36)
- 성격 :
- 불교서, 불교주석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경상도 하동 쌍계사(雙溪寺)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 반야심경집해(般若心經輯解), 般若波羅蜜多心經輯解저자 및 편자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는 부훤당 소부가 유 · 불 · 도 삼가(三家)의 입장에서 『반야심경』에 집해(輯解)를 붙인 것을 저본으로 하여 1568년(선조 1) 평안도 양덕현(陽德縣)의 백운사에서 간선 일웅(一雄)이 주관하여 개판한 목판본 1책이다. ‘반야심경’이란 의미는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반야심경소 般若心經疏내면의 반야로 일체를 평등하게 관조하기 때문에 자비의 이상이 구호(口號)로써가 아니라 체험으로써 증득된다고 하였다. 그 모든 공덕을 진언(眞言)으로 요약하면 ‘반야바라밀다’가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별현문에서는 『반야심경』의 각 구절에 따른 해석을 가하고 있고, 각 어구의 뜻을 밝히는 데 힘을 기울이고...
- 시대 :
- 고대/남북국
- 저작자 :
- 원효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간행/발행 :
- 최범술(복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전화상주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해, 大顚和尙注心經즉, 원만한 이치를 원만하게 갖춰진 마음으로써 단박에 속히[頓速] 깨달아서 부처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구성과 내용 『대전화상주심경』은 흔히 『반야심경』 혹은 『심경(心經)』이라고 약칭하는 『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을 구절마다 풀이한 책이다. 표지를 넘기 이어 “대전화상주심경(大顚和尙...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심경소현정기(般若心經疏顯正記), 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개설 보물 제1211호. 당나라 법장(法藏)이 찬술한 『반야심경약소(船若心經略疏)』에 송나라 중희(仲希)가 찬술한 『현정기(顯正記)』를 저본으로, 세조의 왕명에 따라 효령대군(孝寧大君)과 한계희(韓繼禧) 등이 국역(國譯)하여 1464년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국역불경이다. 편찬/발간 경위 권말의...
- 저작자 :
- 현장(玄奘) (한역(漢譯)), 법장(法藏)(주석(註釋)), 중희(仲希)(찬술(撰述))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211호
- 창작/발표시기 :
- 1464년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책
- 간행/발행 :
- 간경도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2910번길 406-65(상봉암동) 자재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반야심경소 般若心經疏目錄)』 홍경록(弘經錄) 1 등에 1권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 산실되어 전하지 않아 내용은 알 수 없다. 내용 반야사상(般若思想)의 핵심을 담고 있는 『반야심경(般若心經)』은 260자의 짧은 경문이지만 각종 의식에서 공통적으로 독송하는 경전이다. ‘마하’는 ‘크다’, ‘반야’는 ‘지혜’, ‘바라밀다’는...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저작자 :
- 원측(圓測, 613∼696)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