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 반야심경집해(般若心經輯解), 般若波羅蜜多心經輯解
    저자 및 편자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는 부훤당 소부가 유 · 불 · 도 삼가(三家)의 입장에서 『반야심경』에 집해(輯解)를 붙인 것을 저본으로 하여 1568년(선조 1) 평안도 양덕현(陽德縣)의 백운사에서 간선 일웅(一雄)이 주관하여 개판한 목판본 1책이다. ‘반야심경’이란 의미는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반야바라밀다심경 般若波羅蜜多心經
    내용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은 가야산 해인사 대적광전(大寂光殿)과 법보전에 안치되어 있는 비로자나불좌상의 내부에서 발견된 복장유물로, 전체 62건 266점 중의 2점에 해당한다. 이 유물들의 조성 시기가 고려와 조선 초기에 해당하며 조선 전기의 후령통과 고려와 조선시대의 복식류, 전적, 다라니...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언론·출판/출판
  • 반야바라밀다심경찬 반야심경찬, 般若波羅蜜多心經贊
    심경찬』이라고도 한다. 『반야심경』에 관해서는 여러 나라 고승들이 집필한 60여 종의 주석서가 전해 온다. 이들의 대부분은 용수(龍樹)를 중심으로 하는 반야공관학파(般若空觀學派)의 저술 또는 후대 중국 선가(禪家)의 주석서들이다. 그러나 이 『심경찬』은 유식(唯識)의 입장에서 반야를 반조(反照)한 이채로운...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심경소현정기(般若心經疏顯正記), 般若波羅..
    心經疏顯正記幷序)’라는 서제(序題)가 기재되어 있고, 다음 행에 ‘진운사문석 중희 술(縉雲沙門釋 仲希 述)’이란 저자표시가 보인다. 그리고 5행에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라는 서명이 보이고 있으며, 이하 약소의 내용이 장14까지 수록되어 있다. 장15부터는 심경의 내용이 주석과 함께...
    저작자 :
    현장(玄奘) (한역(漢譯)), 법장(法藏)(주석(註釋)), 중희(仲希)(찬술(撰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211호
    창작/발표시기 :
    1464년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간경도감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2910번길 406-65(상봉암동) 자재암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 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諺解)
    풀이할 수 있다. 심경의 ‘심(心)’은 일반적으로 심장(心臟)을 의미하는데, 이는 방대한 반야부 여러 경전에서 정수를 뽑아내어 응축한 것이라 한다.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언해본은 수백 년에 걸쳐서 결집된 반야의 중심 사상을 260자로 함축시켜 서술한 불경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불교 의식(儀式) 때 반드시 독송...
    시대 :
    조선
    저작자 :
    효령대군(국역), 한계희(국역)
    문화재 지정 :
    보물 제771호
    창작/발표시기 :
    1464년
    성격 :
    불교경전, 주석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간경도감(간행)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반야바라밀다심경주해 般若波羅密多心經註解
    되어 있다. 『한국불교전서』 제11책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화감당지희에 대해서 상세한 것은 알 수 없으며, 19세기 전반에 활동한 승려로 보인다. 『반야바라밀다심경주해(般若波羅密多心經註解)』에서 추정하건대 교학에 밝은 승려였던 것으로 보인다. 2페이지의 적은 분량이기 때문에 장을 나누고 있지는 않은데...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화감당지희(華甘堂知稀)
    창작/발표시기 :
    1827년(순조 27)
    성격 :
    불교서, 불교주석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강원도 삼척 명적사(明寂寺)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심경소현정기(언해)(般若心經소顯正記(諺解..
    개설 보물 제1708호. 당나라 현장이 번역(648)한 『반야바라밀다심경』을 바탕으로, 법장이 주석(702)을 단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에 송나라의 중희가 자신이 지은 『현정기』를 붙여 다시 편찬(1044)한 것이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이다. 이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는 1464년에 처음으로 국역되어 간경도감에서...
    시대 :
    조선전기
    저작자 :
    현장 역, 법장 주석, 중희 중편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08호
    창작/발표시기 :
    조선시대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국립고궁박물관
  • 반야바라밀다심경 반야심경언해, 般若波羅蜜多心經
    내용 ‘반야심경언해‘라고도 한다. 1권 1책. 목판본. 1464년(세조 10)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금강경언해(金剛經言解)』와 동시에 간행되었다. 따라서 간경도감 도제조(都提調) 황수신(黃守身)의 전문(箋文)도 ‘진금강심경전(進金剛心經箋)’으로 되어 있다. 이 전문과 한계희(韓繼禧)의 발문에 의하면 구결은 세조...
    시대 :
    조선 전기
    저작자 :
    세조(世祖), 한계희
    창작/발표시기 :
    1464년(세조 10)
    성격 :
    언해서, 구결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간경도감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서울대학교 도서관 일사문고(一蓑文庫), 규장각 도서
  • 반야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婆羅蜜多心經), 般若心經
    개설 『반야심경(般若心經)』의 원래 이름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婆羅蜜多心經)』이다. 약칭으로 『심경(心經)』이라고도 한다. 『반야심경』은 초기 대승불교를 대표하는 경전인 『반야경』의 핵심 사상인 공사상을 요약하여 압축적으로 풀어낸 경전이다. 이 경전은 관자재보살이 심오한 반야바라밀을...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심경소현정기, 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
    내용 (1) 규장각 도서 소장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보물, 1984년 지정): 1책. 목판본. 송나라 중희(仲希)가 법장(法藏)의 『반야심경약소(般若心經略疏)』에 자신의 「현정기(顯正記)」를 붙여 편찬한 것으로 ‘반야심경소현정기’라고도 한다. 권말의 한계희(韓繼禧)의 발에 의하면, 효령대군(孝寧大君)이보(李礻...
    시대 :
    조선
    저작자 :
    현장(번역)
    창작/발표시기 :
    1464년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1권 1책
    간행/발행 :
    간경도감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자재암
  • 반야심경소기회편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연주기회편(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連珠記會編), 般若心經疏記會編
    개설 조선 중기 승려 석실 명안이 『반야심경』에 대한 주석서인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의 『반야심경약소(般若心經略疏)』와 이에 대한 송나라 사회(師會, 1102~1166)의 복주(復註)인 『반야심경약소연주기(般若心經略疏連珠記)』를 회편한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1705년(숙종 31)에 쓴 석실 명안의 후서(後序)와...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석실 명안(石室明眼, 1646∼1710)
    창작/발표시기 :
    1710년(숙종 36)
    성격 :
    불교서, 불교주석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1책
    간행/발행 :
    경상도 하동 쌍계사(雙溪寺)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교경전 요약, 반야심경 반야바라밀다심경, 般若心經
    본 이름은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 반야(般若)는 프라즈냐(ⓢprajñā)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지혜’라는 뜻이고, 바라밀다(波羅蜜多)는 파라미타(ⓢpāramitā)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완성’, 심(心)은 흐리다야(ⓢhṛdaya)의 번역으로 ‘심장’ · ‘본질’ · ‘핵심’이라는...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0건

반야바라밀다심경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반야바라밀다심경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반야바라밀다심경
공개된 고려대장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판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반야바라밀다심경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중 반야바라밀다심경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중 반야바라밀다심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