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반복구 反復句, refrain
    시 전편을 통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는 시구나 하나 이상의 시행.|후렴이라고도 하며 대개는 연 끝에 나온다. 고대 이집트의 〈사자의 서 Book of the Dead〉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원시 부족의 노래에 흔히 나타난다. 고대 히브리 시와 그리스·라틴 시, 민간에 전해내려오는 발라드, 르네상스·낭만주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로망스와 발라드 3집 로베르트 슈만, Romanzen und Balladen Ⅲ(Romances and Ballades Ⅲ) Op.53
    하다. 연주하는 데에 채 1분이 걸리지 않는다. 하지만 이 짧은 시간 속에서 이 곡은 낭만시의 정수를 잡아내는 데에 성공한다. 이 짧은 시간 동안 울리는 반복구, “나를 기억해”는 마치 바다가 내는 여러 사운드를 혼합시키는 듯한 음향을 연출하면서 깊은 인상을 만들어낸다. 제3곡, ‘불쌍한 페터’ 이 작품집에...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 > 성악곡 > 가곡
    제작시기 :
    1840년
    작곡가 :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출판 :
    1845년
    가사 :
    요한 가브리엘 자이들의 시(1곡), 하인리히 하이네의 시(3곡)
    편성 :
    독창, 피아노
  • 고려가요의 형식
    ③ 처음부터 분절됨이 없이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는 것(〈처용가〉·〈사모곡〉·〈이상곡 履霜曲〉) 등이다. 속요의 형식에서 또다른 특이한 점은 후렴구와 반복구 및 조흥구(助興句)와 감탄사를 가진 노래가 많다는 것이다. 이것은 궁중의 속악가사로 채용·개편되면서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연장체형 노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빌라넬라 villanella
    대개 3성부이고 반복구 이외에 특징적인 연 구조나 시형식이 사용되지 않았다. 빌라넬라는 명료하고 단순한 리듬의 수직화음적 양식으로 된 경우가 많았고, 전통적인 작곡방식이 간혹 깨어질 때가 있었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금지되었던 5도 병진행이 빌라넬라에서는 흔히 사용되었다. 빌라넬라는 민속 음악의 형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발라드 담시곡, ballade
    하나(→ 롱도, 비를레). 엄밀히 말해 발라드는 3연과 마지막에 덧붙이는 짧은 연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연은 압운(押韻) 체계와 똑같은 마지막 행, 즉 반복구(R)를 지닌다. 주요부 3연은 각각 3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처음 2부분의 운이 같다. 전체 형식을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마지막 연은 프랭스(이 연의 첫...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프랑스 ,
  • 응답송 應答頌, responsory
    불렀는데, 이 짧은 반복구가 응답송의 좋은 예이다. 중세 단성성가가 발전하자 독창자(들)가 시편 구절(V)을 노래부르는 사이사이에 합창단이 보다 장식적인 반복구(R, 응답송)를 노래부름으로써, R V1 R V2……R의 음악형식이 생겼다. 반복구가 반복될 때는 흔히 축약되었고, 가사는 대개 축일의 의미나 시편의 내용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자장가 lullaby
    로 나눌 수 있다. 후자는 동일한 음절구를 되풀이하여 아이를 잠의 세계로 이끄는 것으로, 태고의 원시적 주술의 자취로 보기도 한다. 이런 자장가에서는 반복구 사이사이에 즉흥적으로 말을 넣어 부르는 경우가 많다. 자장가라는 제목으로 작곡된 피아노곡은 쇼팽의 피아노곡 〈자장가〉(작품번호 57, 1843), 포레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사회등가사 고정란 가사, 社會燈歌辭
    없이 발표되었는데, 신문의 편집진인 박은식·신채호·안창호·양기탁 등이 주로 썼던 것으로 추측된다. 가사의 내용은 우리 국민이 일제강점기의 친일집단에 대항하고 비판하는 민족주의적 태도를 가져야 하며, 서구문화와 과학정신을 도입하여 근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4음보격의 분련체로 반복구 형식으로 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콘타키온 kontakion
    연으로 이루어진 비잔틴의 콘타키온은 시적 설교인데 영창조의 노래로 불렸으며, 기준이 되는 첫째 연의 구조적 유형이 끝까지 되풀이된다. 각 연은 후렴(반복구)으로 연결되며 독창자가 주절을 노래하면 합창대가 후렴을 노래해 거기 화답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비잔틴의 종교의식에 콘타키온을 도입한 사람은 시리아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미인 美人
    록 음악을 토대로 하면서 국악과 민요의 요소를 실험한 곡으로, 이른바 ‘한국적 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전기 기타와 베이스 기타의 리프(riff: 짧은 반복구)의 전주로 시작되어, 노래와 악기가 번갈아 가면서 주고받기(call and response)를 수행하는 버스(verse)에 이어 코러스(chorus)가 등장한다. 이후 전주를...
    시대 :
    현대
    저작자 :
    신중현
    창작/발표시기 :
    1974
    성격 :
    악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대중음악
  • 속요의 형식
    ③ 처음부터 분절됨이 없이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는 것(〈처용가〉·〈사모곡〉·〈이상곡 履霜曲〉) 등이다. 속요의 형식에서 또다른 특이한 점은 후렴구와 반복구 및 조흥구(助興句)와 감탄사를 가진 노래가 많다는 것이다. 이것은 궁중의 속악가사로 채용·개편되면서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연장체형 노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비를레 virelai
    글자들은 같은 내용의 가사가 같은 곡으로 반복되는 것을 나타내며, 소문자로 된 글자들은 다른 내용의 가사가 같은 곡으로 반복되는 것을 나타낸다. R는 반복구, 로마 숫자는 연을 뜻한다. R I R II R III R A bba A bba A bba A 프랑스에서 비를레는 음악사적으로 3가지 다른 단계를 거쳤다. 처음에는 리듬이 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