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반대무역풍 反對貿易風, antitrade wind
    북위 30°와 남위 30° 사이의 2~12㎞ 고도에서 극쪽과 동쪽으로 일정하게 부는 바람.|이 바람은 동풍인 무역풍 상층에서 부는 바람으로, 극쪽에서 하강하여 중위도 편서풍과 만난다. 북위 30~35°와 남위 30~35°에 위치하는 아열대 고압대는 부분적으로는 반대무역풍이 지면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형성된다.→ 대기순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대서양의 기후
    고압대는 남위 30° 부근에 중심을 두고 있다(고기압성 순환). 이 고압대에서는 북반구와 달리 적도쪽으로 남동무역풍이 부는데 이는 전향력의 방향이 남반구에서 반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남동무역풍은 무풍대 혹은 열대수렴대라 불리는 적도 부근에서 북동무역풍과 만난다. 두 무역풍의 수렴에 따른 따뜻하고 습윤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서양
  • 태평양의 기후
    형성된다. 적도 부근에 있는 아시아 대륙에는 무역풍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인 저기압대가 형성된다. 따라서 여름 동안에는 대규모의 해양성 대기가 태평양 서부지역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적도무풍대가 형성되지 않는다. 반대로 겨울에 나타나는 아시아 대륙의 냉각현상은 아시아 고기압대의 발달을...
  • 대기순환 大氣循環, atmospheric circulation
    지역의 편서풍과 합류하게 된다. 한편 북위 15°와 남위 15° 사이에서는 20~40㎞ 이하의 상공에서 크라카토아(Krakatoa)라고 불리는 고속풍이 분다(→ 반대무역풍). 아열대고압대에서 하강하던 공기는 지표면 근처에서 발산되며, 적도 쪽으로 이동하지 않은 공기는 중위도 편서풍처럼 북동쪽으로 이동한다. 이 공기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라니냐
    무역풍이 지속되는 시기가 있다. 강한 무역풍은 동태평양의 해수를 서태평양으로 더 많이 이동시키므로 중태평양과 동태평양의 해수면은 정상적인 해보다 낮아...해수면 온도는 무역풍을 다시 강화시켜 같은 상태가 지속된다. 이와 반대로 서태평양의 해수면과 수온은 평년보다 상승한다.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은 태평양...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바람 wind
    雲)이 형성되어 소나기가 자주 내린다. 북·남 반구 아열대지역의 대류권 상부에서는 극 쪽을 향해 불던 바람이 아열대고압대(亞熱帶高壓帶)에서 하강하여 무역풍 형태로 다시 적도 쪽을 향해 불게 된다. 각반구의 저위도 지역에서의 이러한 거대한 흐름을 해들리 세포라고 한다. 반대로 중위도에서는 페렐 세포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지표면의 대기대순환
    분단되지 않은 채 지구를 둘러싸게 된다. 북반구에서 겨울철에는 이 상황이 반대가 된다. 남반구에서는 이때가 여름이며 기압은 대륙이 더 낮다. 편서풍대...풍향은 서 또는 남서이나 주로 전선과 저기압이 활동하고 있으므로 무역풍의 풍향만큼 안정되어 있지 않다. 이 풍대 내에서는 저기압이 잇따라 이동하므로 풍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태풍 颱風, Typhoon
    회전하는 태풍 자체의 풍향과 일치하므로 바람이 강하고 파도가 높아진다. 반대로 태풍 진행 방향의 왼쪽은 태풍을 진행시키는 무역풍과 편서풍의 풍향이 태풍 자체의 풍향과 반대가 되어 바람이 상쇄되므로 풍속이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따라서 태풍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오른쪽 반원은 위험반원, 왼쪽 반원은...
  • 열대기후 熱帶氣候, tropical climate
    감소하므로 북반구의 열대지역에서는 북동무역풍이, 남반구의 열대지역에서는 남동무역풍이 분다. 그리고 두 무역풍이 만나는 열대수렴대에서는 공기가 상승...따라 남북으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열대 수렴대가 북상 또는 남하하는 곳까지 반대 반구의 기류가 진입하며 많은 비를 내리게 한다. 반대 반구의 기류가 진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태풍 진로, 왼쪽 오른쪽 피해 다르다?
    가항반원이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바로 ‘바람’이다. 태풍의 위험반원은 반시계방향으로 부는 태풍 자체의 바람에 편서풍과 무역풍이 합쳐지면서 더욱 강한 바람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가항반원은 태풍 자체가 부는 방향과 편서풍, 무역풍의 방향이 반대여서 상대적으로 풍속이 약해진다. 2011-08-15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엘니뇨 <스>El Niño
    기온이 평소보다 올라가 페루 연안에서는 안초비(멸치의 일종)의 어획량 감소 및 홍수의 발생 등으로 페루의 사회 ・ 경제에 타격을 주었다. 엘니뇨와 반대로 평년보다 0.5도 낮은 저수온 현상이 5개월 이상 일어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라니냐(La Nina)'라고 한다. 라니냐 현상은 적도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지면 서...
  • 쾨펜의 A형 기후 쾨펜의 A형 기후
    몬순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여름에는 고온다습한 열대 해양의 공기가 히말라야 북쪽에 위치한 저기압 쪽으로 이동해 대륙성 강수와 지형성 강수를 내린다. 반대로 겨울에는 시베리아 고기압에서 불어오는 차고 건조한 바람에 의해 맑은 날씨를 나타낸다.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해안에서는 무역풍에 의해...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