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각시 Palaearctic sweet potato horn worm
    날개편길이 92~107mm.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울릉도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는 구북구 남부지역, 도양구 및 에티오피아구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성충은 5월에서 가을까지 나타나며 연 2회 발생한다. 저녁 무렵에 꽃꿀을 찾아 꽃에 날아들고 등불에도 모인다. 사과, 복숭아 등에서 과즙을 빨아 피해를 준다....
    분류 :
    나비목>누에나방상과>박각시과
    크기 :
    날개편길이 92〜107mm
    학명 :
    Agrius convolvuli (Linnaeus)
    분포지역 :
    한반도 전역, 구북구 남부지역, 도양구, 에티오피아구
  • 박각시
    특징 날개 편 길이는 104-114mm 가량이며, 앞날개에는 회색바탕에 흑갈색의 횡선이 발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개체에 따라 변이가 있다. 복부의 각 마디에는 흑색과 적색 띠가 선명하다. 생태 보통 7월초부터 10월말까지 출현한다.
    분류 :
    나비목 > 박각시과
    학명 :
    Agrius convolvuli (Linnaeus, 1758)
    출현시기 :
    7월, 8월, 9월, 10월
  • 박각시 hawk moth
    나비목 박각시과에 속하는 나방. 원산지는 아시아이고 전세계 어디에나 분포한다. 굵고 짧은 몸에 앞날개가 길고 좁으며 뒷날개는 짧다. 날개편길이는 5~20cm이다. 대부분의 종이 난초나 페투니아와 같은 꽃에서 꽃꿀을 빠는 동안 꽃가루받이를 해준다. 어떤 종은 취식기관인 구문이 32.5cm나 된다. 앞날개에 회색바탕에...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박각시과
    원산지 :
    아시아
    크기 :
    약 4.2cm ~ 5cm
    학명 :
    Agrius convolvuli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박각시 Agrius convolvuli, エビガラスズメ
    생물 분류 박각시는 박각시과 박각시속에 딸린 커다란 나방이다. 날개 너비는 80 ~ 105 mm이다.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 회색조지만, 복부에 검고 붉고 흰 섬세한 무늬가 있다. 몸이 유선형이며, 앞날개가 길고 뒷날개는 작다. 해질 무렵에 나와 꽃을 찾아다니며 꽃꿀을 빤다. 유충은 '깻망아지'라 불리며 고구마나 꽃의 ...
    도서 위키백과
  • 복숭아 재배, 해충 생태 및 방제
    여름잠에 들어간다. 살충제를 관행으로 살포하는 복숭아 과원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방제를 하지 않은 과원이나 야생복숭아에서 발견된다. (7) 분홍등줄박각시나방 (Marumba gaschkewitschii (Bremer et Grey)) 부화 유충은 잎 주맥에 정지하고 먹는 양도 적어서 눈에 띄지 않으나, 종령 유충은 80mm 정도로 커서 잎...
    도서 복숭아 재배 | 태그 산업
  • 박각시 Black Hawk Moth
    특징 성충의 날개를 편 길이는 60~80mm이고 앞날개는 암회색이며 짙은 갈색의 짧은 줄이 여러 개 있다. 뒷날개는 짙은 갈색이고 배의 등면에 다갈색의 종선(縱線)이 있다. 어깨판에는 흑갈색의 띠가 뚜렷하게 발달되어 있다. 수컷 더듬이가 굵다. 암컷 더듬이가 가늘다. 번데기 번데기의 체장은 35~40 mm이고 갈색이다...
    분류 :
    나비목 > 박각시과 > 털보줄벌속
    학명 :
    Hyloicus morio arestus (Jordan, 1931)
    출현시기 :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 애기박각시
    특징 날개편 길이는 24-26mm 가량이다. 목, 가슴, 복부의 등쪽은 적갈색을 띤다. 경판, 어깨판 등은 가장자리가 백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날개에는 암갈색의 아기연선과 외횡선에 띠가 있고 외연은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굴곡하지 않고 후연에 도달한다. 내연 역시 암갈색을 띠나 후연에 미치지는 못한다. 횡맥 외연...
    분류 :
    나비목 > 박각시과 > 어리자루맵시벌속
    학명 :
    Deilephila askoldensis (Oberthür, 1879)
    출현시기 :
    5월, 6월, 7월, 8월
  • 등줄박각시 Marumba sperchius (Ménétriès)
    날개편길이 수컷 102~113mm, 암컷 110mm. 남한 전역에 분포하나 울릉도에서의 채집기록은 없고 북한에서는 주을, 석왕사, 삼지연, 묘향산과 금강산에서 기록이 있다. 국외에는 시베리아 남동부,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성충은 5월에서 8월까지 나타나며 연 2회 발생한다. 평지나 산지 어디...
    분류 :
    나비목>누에나방상과>박각시과
    크기 :
    날개편길이 수컷 102~113mm, 암컷 110mm
    학명 :
    Marumba sperchius (Ménétriès)
    분포지역 :
    남한 전역, 북한(주을, 석왕사, 삼지연, 묘향산, 금강산), 시베리아 남동부,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대만, 일본
  • 대왕박각시 Langia zenzeroides Moore
    날개편길이 142mm 내외.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박각시로 채집기록은 많지 않으나 남한 각지에서 채집되고 있다. 울릉도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는 중국, 대만, 일본, 인도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성충은 이른봄인 3~4월에 나타나며 연 1회 발생하고 등불에 모여든다. 나타나는 시기가 이르고 짧아 채집하기 어려워...
    분류 :
    나비목>누에나방상과>박각시과
    크기 :
    날개편길이 142mm 내외
    학명 :
    Langia zenzeroides Moore
    분포지역 :
    남한 각지, 중국, 대만, 일본, 인도 북부
  • 분홍등줄박각시 Peach horn moth
    날개편길이 72~87mm. 한반도 전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나 울릉도에서의 기록은 없다. 북한에서는 평양, 석왕사에서 기록이 있다. 국외에는 중국, 대만, 일본, 인도 북부와 러시아 극동지역에 걸치는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성충은 4월에서 8월에 걸쳐 나타나며 연 2회 발생한다. 평지나 낮은 산지에서 흔히 채집되는...
    분류 :
    나비목>누에나방상과>박각시과
    크기 :
    날개편길이 72~87mm
    학명 :
    Marumba gaschkewitschii (Bremer et Grey)
    분포지역 :
    한반도 전역, 북한(평양, 석왕사), 중국, 대만, 일본, 인도 북부, 러시아 극동지역, 동북아시아
  • 녹색박각시
    특징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31~36mm이고 담녹색이며 진한 색으로 된 불규칙한 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홍적색이며 바깥 부분은 다갈색이다. 유충 유충의 몸길이는 60~70 mm로 황녹색이며 7줄의 회백색~적갈색 사선(斜線)이 있다. 생태 연 2회 발생하는 것 같다. 1화기 성충이 5~6월에 우화하고 유충은 6~7월에 나타난다...
    분류 :
    나비목 > 박각시과 > 줄벼룩잎벌레속
    학명 :
    Callambulyx tatarinovii (Bremer et Grey, 1852)
    출현시기 :
    5월, 6월
  • 검정황나꼬리박각시 Hemaris affinis (Bremer)
    날개편길이 42~63mm. 남한 전역에 분포하며 북한에서는 원산, 대성산, 무산령, 평양 등에서 기록이 있다. 국외에는 시베리아 동부,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성충은 5월에서 10월까지 나타나며 연 2회 발생한다. 낮 동안 활동하며 꽃을 찾는다. 기주식물은 인동덩굴, 마타리 등이다. 더듬이...
    분류 :
    나비목>누에나방상과>박각시과
    크기 :
    날개편길이 42~63mm
    학명 :
    Hemaris affinis (Bremer)
    분포지역 :
    남한 전역, 북한(원산, 대성산, 무산령, 평양), 시베리아 동부, 러시아 극동지역, 중국, 대만, 일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74건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박각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