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하나 vahana
    힌두교 신화에서 수레로 쓰이거나 특정 신의 상징으로 나타나는 동물.|바하나는 신의 마차에 매여 그것을 끌거나 또는 신의 의자나 탈것으로 쓰인다. 바하나는 신과 동일시되는 표시로도 사용되고 혹은 신도의 교단입회 표식으로도 사용된다. 몇몇 학자들은 이 개념이 지역의 수형신을 힌두교의 고전적 신들의 산하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바하나 Vahana, ヴァーハナ
    바하나는 힌두교의 신들이 지니고 있는 짐승형의 탈것을 말한다. 2007. 바하나 타고 다니는 신 이미지 모샤크라자 가네샤 - 가루다 비슈누와 그의 다샤바타라 - 난디 시바 - 공작새 무루간 - 백조 브라흐마, 사라스바티 - 마카라 바루나 - 아이라바타 인드라 - 앵무새 카마데바 - 힌두교의 신 인도 신화 힌두교 둘러보기
    도서 위키백과
  • 사타바하나 왕조 <인>Sātavāhana dynasty
    번창하고 있는 동안 데칸 지역에서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 카라벨라의 칼링가 왕국은 기원전 1세기 말경 시무카라는 브라흐만이 데칸 지역에 세운 사타바하나 왕조에 의해 대체되었다. 이 왕조는 마우리아 왕조의 통일제국이 무너진 이후 북쪽에서 슝가 왕조가 그 뒤를 잇자 100년 가량의 시간차를 두고 남쪽에 세워졌다...
    시대 :
    남인도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사타바하나 왕조 안드라 왕조, Satavahana dynasty
    나나가트·나시크·칼리·칸헤리 같은 지역의 동굴에서 발견되는 비문들은 시무카, 크리슈나, 샤타카르니 1세 등의 초기 통치자들을 기념한 것이다. 사타바하나 왕조는 초기부터 당시 인도-로마 무역의 중심지였던 서해안 항구들과 가까이 있었고 샤카 사트라프 왕조의 서부 지역과도 영토상으로 근접해 있었기 때문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Mahameghavahana dynasty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기원전 1세기에 체디라슈트라의 왕인 마하메가바하나는 칼링가와 코살라를 정복했다. 마하메가바하나 왕조의 세 번째 왕인 카라벨라의 치세 동안 닥쉬나 코살라는 왕국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그는 자이나교를 믿었지만 다른 종교를 탄압하지는 않았다...
    도서 위키백과
  • 사타바하나 왕조 Satavahana dynasty, サータヴァーハナ朝
    일부 학자들은 푸라나에 근거하여 사타바하나 통치의 시작을 기원전 3세기 초로 보고 있지만 고고학적 증거에 의해 확증되지 않고 있다. 사타바하나 왕국은 주로 오늘날의 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마하라슈트라주로 구성되었다. 다른 시기에 그들의 통치는 오늘날의 구자라트주, 마디아프라데시주, 카르나타카주...
    도서 위키백과
  • 할라 (사타바하나) Hāla
    왕족 정보 할라(기원후 20~24년경)는 오늘날의 데칸 지역을 통치한 사타바하나 왕조의 왕이다. 마츠야 푸라나에서는 그를 사타바하나 왕조의 17대 통치자로 언급하고 있다. 릴라바이의 코할라가 쓴 마하라슈트라 프라크리트어 시(서기 800년경)에는 심할라드비파(오늘날의 스리랑카로 확인됨)의 공주와의 로맨스가 묘사...
    도서 위키백과
  • 무한의 리바이어스 Infinite Ryvius, 無限のリヴァイアス
    호우코/정미숙. 지구 출신의 16살 소녀. 리베 델타의 플라이트 어텐던트(객실 승무원) 과 소속. 아이바 코우지와는 소꿉친구 사이이다. 이즈미 코즈에 성우는 탄게 사쿠라/우정신. 파이나 S. 시노자키 성우는 아이카와 리카코/윤미나. 유이리 바하나 성우는 히카미 쿄코/최덕희. 룩슨 호조 성우 : 시마다 빈/전광주.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남인도 시대
    세 왕국이 서로 세력 다툼을 벌이다 후에 팔라바 왕조로 대체되면서 9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이에 비해 데칸 지역에는 카라벨라 왕국을 물리치고 사타바하나 왕국이 등장하여 중앙 인도 전역을 지배하는 강력한 힘을 발휘하면서 남북 인도의 중개자 역할을 담당했다. 사타바하나 왕조는 특히 쿠샨 왕조의 남인도 진출을...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팔라바 왕조 Pallava dynasty
    첫 번째 기간 동안 남인도는 아소카 왕의 통일제국하에서 점차 북인도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남인도 지역은 데칸 고원 지역의 사타바하나 왕조와 타밀 지역의 촐라, 판드야, 체라의 세 왕국으로 크게 양분되면서 각자의 영역을 지켜왔다. 인도 최남단에 위치했던 세 왕국은 오랫동안 끊임없는 싸움을...
    시대 :
    남인도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슝가 왕조의 탄생
    권위가 오래도록 지속될 수 없었다. 마지막 희망이었던 푸샤미트라마저 죽은 뒤 근근이 명맥을 이어가던 슝가 왕조는 기원전 28년에 데칸 지역에 있던 사타바하나 왕국에 의해 결국은 멸망하고 말았다. 슝가 왕조는 이전의 마우리아 왕조의 왕들이 믿었던 불교 대신 정통 브라흐만교와 결탁하여 불교를 박해했다. 그...
    시대 :
    마우리아 왕조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중앙아시아와의 접촉
    기원전 200년경이 되면 인도는 동부 지역, 중앙 지역, 그리고 데칸 지역으로 나뉘어 슝가 왕조, 칸바 왕조, 사타바하나 왕조가 제각기 마우리아 왕조의 뒤를 잇고 있었다. 또한 서북 지역은 중앙아시아로부터 이동한 여러 민족들이 저마다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다. 이들 가운데 제일 처음 인도로 진출...
    시대 :
    마우리아 왕조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