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이스만 August (Friedrich Leopold) Weismann
    바이스만은 유전학의 선구자로서, 획득형질의 유전을 반박했다. 또한 동물의 생식세포에는 종에 필수적이고 다음 세대로 보존되고 전달되는 특수한 유전물질, 오늘날에는 DNA 혹은 유전자로 불리는 어떤 것을 가지고 있다는 ‘생식질설’을 주장했다. 괴팅겐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화학조교, 군의관, 의사로 일했다...
    출생 :
    1834. 1. 17,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사망 :
    1914. 11. 5, 프라이부르크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바이스만 WEISMANN, August
    독일의 동물학자. 염색체가 유전요인을 담고 있는 물질적 실체라는 사실을 처음 인정한 사람으로, W.Roux와 함께 모자이크적 발생 이론과 생식질의 연속성을 제창하였다.
    출생 :
    1834
    사망 :
    1914
  • 아우구스트 바이스만 August Weismann, アウグスト・ヴァイスマン
    아우구스트 바이스만(Friedrich Leopold August Weismann, 1834년 1월 17일 - 1914년 11월 5일)은 독일의 진화생물학자이다.at www.nndb.com 에른스트 마이어는 바이스만을 찰스 다윈에 이어 19세기의 주요 진화론 학자로 꼽았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동물학 석좌 교수를 역임하였다. 바이스만의 중요한 업적은...
    도서 위키백과
  • 바이스만 Shon Weissman, ション・ヴァイスマン
    축구 선수 정보 숀 살만 바이스만은 세군다 디비시온 클럽 그라나다와 이스라엘 국가대표팀에서 공격수로 활약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프로 축구 선수이다. 이스라엘 클럽 마카비 하이파를 졸업한 바이스만은 2014년 이스라엘 클럽 하포엘 아크레, 마카비 네타냐, 하포엘 이로니 키르야트시모나에서 세 시즌을 임대로 보낸...
    도서 위키백과
  • ring gland 바이스만의 고리(Weismann’s ring), 환상 선 고리모양샘
    파리류에 속하는 위용(圍蛹)을 만드는 파리, 하루살이 등의 환봉류에서 볼 수 있는 특유한 내분비선 복합체.
  • 결정인자 結定因子, determinant
    이 용어는 19세기말에 독일의 생물학자인 아우구스트 바이스만이 처음 사용했다. 바이스만은 유전현상이 염색체에 의해 일어남을 밝힌 사람 중의 하나로 오직 생식세포만이 모든 결정인자를 가지고 있고, 생식세포에 들어 있는 결정인자는 다음 세대로 전달되며, 그밖의 다른 세포들에는 그 세포들이 이루게 될 조직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August Weismann 아우구스트 바이스만, アウグスト・ヴァイスマン
    For the 19th-century New York politician, see Augustus Weismann. Friedrich Leopold August Weismann (17 January 1834 – 5 November 1914) was a German evolutionary biologist. Ernst Mayr ranked him the second most notable evolutionary theorist of the 19th century, after Charles Darwin. Weismann...
  • 생식질 연속설 germ plasm theory
    19세기말 독일의 생물학자인 바이스만이 제기한 이론으로 유전물질은 생식질을 통해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며 획득형질은 전혀 유전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바이스만은 히드로충류에 대한 초기 관찰에서 동물의 생식세포에는 종(種)에 필수적이고 다음 세대로 보존, 전달되는 어떤 것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는데 이...
    도서 다음백과
  • 생식질설 生殖質說, germ-plasm theory
    바이스만의 이론에 따르면, 생식질은 신체의 모든 다른 세포에 대해 독립적이고, 생식 세포(난자와 정자)의 필수 요소이면서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는 유전성 물질이다. 바이스만은 1883년에 이 이론을 처음 제기했다. 그의 이론은 나중에 논문 〈생식질 : 유전성 이론 Das Keimplasma : A Theory of Heredity〉(1892...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빈 학파 Wiener Kreis
    슐리크였다. 이 단체의 구성원으로는 구스타프 베르크만, 루돌프 카르나프, 헤르베르트 파이클, 필리프 프랑크, 쿠르트 괴델, 오토 노이라트, 프리드리히 바이스만 등이 있다. 그리고 베를린에서 결성된 같은 종류의 모임인 '경험철학회'의 구성원으로는 카를 헴펠과 한스 라이헨바흐가 있다. 이들은 1929년에 〈과학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학문
  • 진화주의 進化主義, evolutionism
    증가나 감소로 환원된다. 진화주의의 이와 같은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은, 17, 18세기에 생겨나 라이프니츠·말피기·할러 등에 의해 주장되었고 최근에 바이스만에 의해 새로워진 생물학의 전성설이다. 전성설에 따르면 생명체의 모든 부분은 난자와 정자 속에서 이미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체발생이든 계통발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체세포 體細胞, soma
    19세기 독일의 생물학자 A. 바이스만은 체세포와 생식세포를 구별하는 이론을 제안했는데, 그의 이론은 영속적이며 유전성을 지니고 있는 유전자와 종 내에서 대대로 전달되면서 개체의 특징을 결정하는 염색체의 역할을 강조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