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라타 나티아 bharata-natya
    인도의 5가지 고전무용 양식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무용 양식. bhārata-nāṭyam이라고도 씀.|나머지 4가지는 카타크(kathak)·카타칼리(kathākali)·마니푸리(manipuri)·오리시(orissi) 등이다. 이 춤은 타밀나두 지역에서 생겨나 인도 남부에 널리 퍼져 있다. 힌두교의 종교적인 주제와 신앙심을 표현하는 데 쓰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인도 무용 (관련어 바라타나티아)
    인도 지역에서 기원한 사람의 몸을 소재로 하여 육체의 내적·외적 행동(정신과 육체의 행동)을 통해 감정·정경·상황 등을 표현하는 예술활동.|개요 인도의 무용은 베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리그베다〉 가운데 여자의 춤에 관해 쓴 기록이 보이고 또 브라만교·불교·힌두교의 거의 모든 유적들이 무용에 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나티아 샤스트라 바라타 나티아 샤스트라, Natya-shastra
    브라만교의 신화적인 현인이며 승려인 바라타가 3세기 이전에 쓴 것으로 추측된다. 이 논문의 많은 장에는 춤·음악·시·일반미학 등의 인도 고전 연극개념 속에 포함되는 다양한 예술들이 상세하게 언급되어 있다. 이 책자는 인도연극을 종교적 계몽수단으로 옹호함으로써 중요하게 평가받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오리시 orissi
    바라타 나티아, 카타크, 카타칼리, 마니푸리와 더불어 인도의 고전 무용의 5대 양식을 이룬다. 인도 동부 오리사의 토착 춤인 오리시는 〈나티아 샤스트라 Nāṭya-śāstra〉의 원칙에 따라 행해진다. 고대 사원의 조각에서 볼 수 있는 자세들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무척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기본 양식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카타칼리 kathakali
    바라타 나티아 카타크, 마니푸리, 오리시와 함께 인도 고전무용의 5대 양식을 이룬다. 인도 남서부 지방(케랄라)의 토착춤이며 〈라마야나 Rāmāyaṇa〉·〈마하바라타 Mahābhārata〉의 주제와 시바교 문학에 나오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무용극이며 공연은 옥외에서 밤새 진행된다.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줄거리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동양의 초기 마임과 무용극
    뚜렷한 형태로 발달했다. 인도에서는 연기에 음악과 노래 및 춤을 결합한 양식이 기원 수세기 전에 발생했고, 이러한 토착극에 대사가 덧붙여져 '바라타-나티아'(bhārata-nāṭya)가 성립되었다(→ 인도 무용). 고전 힌두 무용극의 하나인 이 극은 산스크리트로 된 극작법에 관한 대저서 〈나티아-사스트라 Nāṭya-ś...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마니푸리 manipuri
    나머지 4개는 바라타나티아·카타크·카타칼리·오리시이다. 마니푸리는 마니푸르 지방의 고유한 춤으로 민속 전통과 의식으로 어우러진 다양한 형식이 특징이다. 주제는 목축의 신인 크리슈나의 일화에서 따온 것이 많다. 춤이 진행되는 동안 이야기꾼이 대화나 행동을 노래로 옮기기도 하고, 그 사이에 합창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카타크 kathak
    바라타나티아·카타칼리·마니푸리·오리시와 함께 인도 고전무용의 5대 양식을 이룬다. 인도 북부지방의 토착춤으로 힌두교와 이슬람교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했다. 무용수가 발목에 매단 100개의 방울을 조절하여 만들어내는 정교한 리듬과 복잡한 발놀림을 특징으로 한다. 카타크의 동작은 일상생활의 동작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