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그너 야우레크 Julius Wagner-Jauregg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신경학자. 본명은 Julius Wagner, Ritter von Jauregg.|매독성수막뇌염이나 진행성마비를 인위적으로 유도한 말라리아로 치료함으로써 최초로 쇼크 요법을 시행했다. 이 방법으로 과거에는 치료할 수 없던 치명적인 질병을 의학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그는 1927년 노벨 생...
    출생 :
    1857. 3. 7, 오스트리아 벨스
    사망 :
    1940. 9. 27, 빈
    국적 :
    오스트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율리우스 바그너 야우레크 Julius Wagner-Jauregg..
    과학자 정보 율리우스 바그너 야우레크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다. 매독에 걸린 환자에게 말라리아 환자의 피를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발견했다. 1950년에 발행된 500 오스트리아 실링 지폐에 초상이 사용되고 있다. 바그너 야우레크는 1874년부터 1880년까지 비엔나 대학에서 잘로몬 슈트리커 등과...
    도서 위키백과
  • 바그너 Wagner (disambiguation), ワグナー
    노동자당의 바이에른 뮌헨 대관구 지도자를 지냈다. 오토 바그너(Otto Wagner)는 오스트리아의 건축가이다. 율리우스 바그너 야우레크: 오스트리아의 의사 잔드로 바그너: 독일의 축구 선수 바그너 안드라지 도스 산토스: 2015년 FC 서울의 피지컬 코치 베네딕트 바그너: 독일의 펜싱 선수 파비안 바그너: 독일 출신의...
    도서 위키백과
  • 부전마비 不全痲痺, paresis
    보통 경련이 일어나며 일시적으로 진정이 되기도 하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결국에는 치명적이다. 부전마비는 35~50세의 남자에게 가장 흔히 나타난다. 1917년 오스트리아 내과의사 율리우스 바그너야우레크가 말라리아 열을 이용하여 매독병원균을 죽이는 말라리아 치료법을 창안했다. 요즘은 항생제로 치료한다.→ 매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그라츠 대학교 University of Graz, グラーツ大学
    두 번째로 오래 된 대학교이다. 발터 네른스트, 1920년 노벨 화학상 - 1886년에 프리츠 프레글, 1923년 노벨 화학상 – 1913년부터 1930년까지 율리우스 바그너-야우레크, 192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 1889년부터 1893년까지 에르빈 슈뢰딩거, 1933년 노벨 물리학상 –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오토 뢰비, 1936년 노벨...
    도서 위키백과
  • 줄리어스 Julius, ユリウス
    텔레비전 배우 율리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고대 로마의 정치가, 장군, 작가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나치당 소속의 독일 언론인 겸 정치가 율리우스 바그너 야우레크: 오스트리아의 의사 율리우스 네포스: 고대 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서로마 제국의 황제 율리우스 에볼라: 이탈리아의 귀족 율리우스 로베르트 폰 마이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