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밀도류 density current
    액체나 기체가 내부의 작은 밀도차에 의한 중력작용(重力作用)으로 움직이는 흐름.|두 액체간 또는 동일액체 내에서의 밀도차는 온도·염분 또는 부유해 있는 퇴적물의 농도차에 의해 생긴다. 자연에서 밀도류는 해양이나 호수의 바닥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저층의 흐름은 더 차고 염도가 높으며, 더 많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밀도류 密度流, density current
    유수의 흐름에서 밀도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흐름|바다나 깊은 호수 등에서 주로 상층과 하층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호수나 저수지 등에서 수온성층이 생성 되어 있는 경우나 홍수가 발생한 뒤 탁수가 유입되는 경우처럼 호수와 유입하천수의 밀도차가 크게 차이가 날 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남...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밀도류
    밀도류는 수온, 염분, 퇴적물 농도 등의 차이에 따른 작은 밀도차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지속되는 해류이다. 수 온·염분 변화는 해양에서 층리를 형성시킨다. 표층수 아래는 근원지로부터 수백 ㎞ 떨어진 곳까지 흐르면서 주변 해수와 혼합되어도 각 수괴의 성질을 잃지 않는 특정한 화학적·물리학적 특성을 가진 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혼합형 밀도류 混合形 密度流, density flow with mixing
    밀도성층을 만들지 않고, 밀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우의 흐름을 말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개체군의 밀도 個體群-密度, density of population
    대부분의 경우 종의 개체군 크기는 출생률과 사망률이 평형을 유지하는 안정된 상태에서 거의 변동이 없다. 안정된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출생률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유전적이거나 자연선택의 결과이다. 대부분의 종에 있어서 생식률이나 성체가 되어 생식이 시작되면서 이루어지는 보충률은 현재의 개체군 밀도 및...
    도서 다음백과
  • 아시아 아시아 대륙, Asia
    동질성을 지닌 대륙을 일컫는 말이라기보다는 지리학적인 지명에 가깝다. 세계에서 가장 다양성이 풍부한 대륙이며, 규모도 가장 커서 세계 육지면적의 30%를 차지한다. 어떤 대륙보다도 고도가 높은 거대한 산맥이 많이 모여 있으며 해안선도 가장 길다. 또 전역에서 폭넓은 기후대가 다양하게 발달해 있어서, 지구상...
    위치 :
    동반구(東半球)의 북부
    인구 :
    4,779,980,000명 (2024 추계)
    면적 :
    44,614,00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지구 地球, Earth
    현대과학이 밝힌 바에 의하면 생명체가 존재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지닌 태양계 내의 유일한 행성이다. 인접해 있는 금성과 화성보다는 약간 크지만, 더 멀리 있는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보다는 상당히 작다. 지구는 1개의 달을 위성으로 거느리고 있는데, 달은 다른 행성들의 위성들보다 크기 때문에 지구와 달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우주
  • 주택 住宅, housing
    주택은 인간관계를 이어나가는 장소인 동시에 개인과 한 주거단위 집단체의 사회적·경제적 환경 안에서의 상대적 입지이다. 또한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욕구를 2차적으로 채울 수 있는 준비공간이다. 그러므로 주거를 정하는 데 있어서 그 주변의 여러 가지 편익시설을 비롯해 이웃과의 관계, 그 지역에 대한 사회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건축물
  • 해양 바다, 海洋
    바다(sea)라고도 한다. 면적이 3억 6,200만㎢에 달하는데, 이는 전체 지구표면적의 71%에 해당한다. 해양은 여러 개의 주요대양과 작은 소해로 분류된다. 세계에는 태평양·대서양·인도양의 3개 주요대양이 있으며, 이들 상호간의 경계는 주로 육지와 해저의 지형학적 경계에 의해 정해진다. 이들 3개 대양은 남양이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바다 , 과학 일반
  • 전속 밀도 electric flux density
    전계의 인가에 의하여 유전체중을 이동하는 전하에 관한 량 〈참조어〉 전기 변위(electric displacement) 주 : (1) 등방 유전체 중의 임의의 점에서의 전속밀도는, 전계강도와 같은 방향, 면을 가지고(전계의 크기×절대 유전율)되는 크기를 가진 벡터이다. 전속밀도는, 벡터 값의 점관계이고, 그 발산은 전하 밀도와...
  • 밀도 密度, density
    MKS나 SI단위계에서는 ㎏/㎥(세제곱미터당 킬로그램)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고체·액체·기체의 밀도는 교과서와 참고서에 실려 있다. 밀도는 물체의 부피로부터 질량을 구할 때, 혹은 질량에서 부피를 구할 때 편리하게 이용된다. 즉 물체의 질량은 부피에 밀도를 곱한 값이고, 부피는 질량을 밀도로 나눈 값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브로콜리 생리생태적 특성과 재배환경
    뿐만 아니라 포기의 내한성을 떨어뜨리고 안토시아닌의 착색이나 꽃봉오리를 상하게 하는 원인이 되므로 적절하게 이랑에 관수를 하도록 한다. (4) 재식밀도 조생종보다 만생종이 초세가 왕성하므로 조생종은 재식거리를 좁게 하고, 만생종은 넓게 한다. 포기 사이는 조생종의 경우 30~35cm, 중만생종에서는 40~45...
    도서 양채류 | 태그 식물 , 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군이 활용한 밀도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