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중 그리스어 Demotic Greek language
    현대 그리스의 토착언어. Romaic, Greek Demotiki, Romaiki라고도 함.|오늘날 민중 그리스어는 그리스에서 일상언어로 사용하는 표준어가 되었고, 20세기에는 그리스 창작문학에서 사용하는 거의 유일한 언어가 되었다. 1976년 1월에 그리스 정부는 민중 그리스어를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대신 공식 언어로 선언하고,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민중 그리스어 (관련어 민중그리스어) Demotic Greek, デモティキ
    그리스어의 역사 민중 그리스어 또는 디모티키는 오늘날 그리스에서 널리 쓰이는 그리스어이다. '디모티키'란 말은 1818년부터 쓰이기 시작하였다. 이 말은 1976년까지 공식 언어로 쓰였으며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카타레부사 그리스어와 대비하는 의미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한 언어임을 뜻한다. 민중 ...
    도서 위키백과
  • Demotic Greek 민중 그리스어, デモティキ
    Demotic Greek ("[language] of the people") or dimotiki is the modern vernacular form of the Greek language. The term has been in use since 1818. Demotic refers particularly to the form of the language that evolved naturally from Ancient Greek, in opposition to the artificially archaic Katharevous...
  •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Katharevusa Greek language
    1976년까지 그리스의 공식 문어로서, 공문서·의회·법정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신문과 전문서적에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1976년 구어인 민중 그리스어가 대신 그리스의 공용어가 되었다. 카타레부사어는 19세기에 지역 방언에서 외국어의 요소들을 '정화'하고, 고대 그리스어의 어근과 구어의 굴절어미를 많이 이용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Katharevousa, カサレヴサ
    공식 언어'를 뜻하게 되었다. 몇 년 뒤 카타레부사는 공무나 공적인 목적(가령 정치에서는 서한, 공문서, 언론 보도 등)으로 쓰였으며, 일상에서는 민중 그리스어가 쓰였다. 이렇듯 두 언어를 쓰는 상황 때문에 대부분의 그리스 사람들은 카타레부사에 적응하지 못하면 공적인 영역에서 배제되었고 교육을 더 받을 수도...
    도서 위키백과
  • 그리스어의 역사 History of Greek, 希腊语历史
    것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시도는 전쟁과도 비견할만한 언어에 대한 토론과 파벌 싸움으로 이어졌다. 이 당시의 파벌은 '디모티키스테스'라고 하는 민중 그리스어를 지지하는 측과 '로이이이' 또는 '카타레부샤니'라고 하는 '정화된 언어'를 지지하는 사람들이었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민중 그리스어는 공식적인...
    도서 위키백과
  • 현대 그리스어 Modern Greek, 現代ギリシア語
    지역 방언이 있었다. 특히 유명한 언어는 19세기와 20세기에 통속적인 민중 그리스어와 교양있는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를 들 수 있다. 오늘날 민중 그리스어에 기반을 둔 표준 현대 그리스어는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식 언어이다. 그리스어는 오늘날 약 1400~1700만 인구가 주로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 쓰고 있으며...
    도서 위키백과
  • 루브르 박물관 세계 3대 박물관 중 하나이자 파리 최고의 박물관
    스핑크스는 그리스어로 괴물이란 뜻이나, 이집트에서는 신전의 수호신 역할을 한다. 머리에는 메메스라고 부르는 풀을 먹인 두건을 쓰고 있는데, 사자는 힘을 나타내며 이집트인들에게는 태양의 상징이라고 한다. 스핑크스 위에는 역대 이집트 왕들이 자신의 이름을 새겨 놓았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20세기의...
    요금 :
    12유로(들라크루아 미술관, 나폴레옹관은 입장 불가)
    가는 법 :
    Mètro: 1, 7호선 팔레 루아얄 뮈제 드 루브르(Palais Royal Musée du Louvre) 역에서 1분
    사이트 :
    www.louvre.fr
    이용 시간 :
    (월, 목, 토, 일) 09:00~18:00 (수, 금) 09:00~22:00까지, (12월 24~31일) 09:00~17:00까지
  • 민중신학 民衆神學
    신학의 핵심 주제를 민중으로 설정하고 사회과학적 성서해석학, 그리고 ‘두 이야기의 합류’라는 자신의 고유한 해석학을 통해 기독교의 민중사건과 역사가...성서해석학을 통해 마련했다. 그는 「마가복음」에서 많이 사용되는 그리스어 오클로스(무리)에 주목한다. 그는 「마가복음」에서 이 용어는 주로 지배체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그리스어 Greek language, ギリシア語
    많은 진통을 겪었던 것처럼 그리스어도 표기 방안에 있어서 디모티키와 카타레부사 양자 사이에서 많은 난항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1976년 민중 그리스어(디모티키)가 현대 그리스의 공식 언어 형태로 채택되면서 마무리 짓게 된다. 이 민중 그리스어는 오늘날 그리스 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이다...
    도서 위키백과
  • 민중문자 Demotic (Egyptian), デモティック
    이전에 이미 해독되었고, 처음 이 일을 시작한 사람은 실베스트르 드 사시(Silvestre de Sacy)이다. 1799년 로제타석이 발견되었다. 거기에는 고대 그리스어와 이집트 민중 문자, 이집트 상형문자로 같은 내용이 적혀 있었다. 많은 학자들이 고대 그리스어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콥트어에 대한 지식과 함께 이집트 문자...
    도서 위키백과
  • 민용문자 데모틱문자, 民用文字
    쓰기 시작했다(→ 신관서체). BC 5세기까지 민용문자는 이집트 전역에서 상업적·문학적 용도로 널리 쓰이게 되었지만, 종교 문헌에서는 여전히 신관서체를 썼다. 프톨레메오스 왕조시대(BC 304~30)에 민용문자는 그리스어에 밀려나기 시작했지만, 필라에에서 이시스 신을 모시던 사제들은 452년까지도 신관서체를 썼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대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