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속 民俗, folk
    민간인들 사이에서 전승되어온 생활과 풍습.|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미래에도 민족의 일상생활문화에서 밑바탕이 되고 강한 활력이 되며 항상 새로운 의의를 발휘할 수 있는 문화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민속 풍속학, 民俗
    민속은 민간에 내려오는 생활 문화를 대상화한 민속학의 주요 개념이다. 본디 이것은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어 온 말로 그 민정풍속(民情風俗)의 원의는 동아시아의 근대에도 존재한다. 그런데 20세기 초를 전후하여 서구의 포클로어, 폴크스쿤데라는 개념이 일본에 전해졌고, 그 번역어로 ‘민속 · 민속학’이 정착되...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민속 民俗
    부산 지역에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의 전승 지식과 생활 습속.|[개설] 민속은 한 문화권 내에서 다수가 향유하고 있는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문화로 민중들이 자연적·역사적·사회적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는 지혜와 믿음으로 엮어낸 생활 양식이다. 부산의 민속 중 부산 시민의 세계관과 미의식이 가장 잘 ...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 민속 Folklore, 伝承
    민속(民俗, folklore)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집단마다 고유하게 전해 내려오는 생활 양식이나 풍습, 미신, 속담과, 민담과 전설, 신화를 포함한 구전 문학, 그리고 음악, 무용 등의 문화 양식을 한데 묶어 이르는 말이다. 민속은 사회 집단이 주변의 자연 환경과 다른 사회 집단, 더 나아가 집단이 속해 있는 국가 사이...
    도서 위키백과
  • 성읍민속마을 바람의 땅에서 한옥을 만나다
    나란히 등장한다. 인류가 발전시킨 불의 역사가 지층처럼 쌓여 있다. 그 시간의 결을 찬찬히 읽어 내는 동안 황금빛 햇살이 동행할 것이다. 제주 성읍민속마을에서 제주 한옥만이 가지는 특별함과 경이로움을 만나 보자. 먼저 제주의 아름다운 올레길을 걷고 성읍민속마을로 들어온다면, 제주 한옥을 대하는 마음이 한결...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987
    이용 시간 :
    제한 없음
  • 회족의 민속문화
    회족의 민속문화는 이슬람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에 농후한 종교적 색채를 띠고 있다. 하지만 회족은 화하 고국의 한문화가 절대적 우세를 차지하고 있는 중화 대지에서 궐기한 민족이기에, 결코 자신들을 둘러싼 문화적 환경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불가피적으로 그러한 문화적 요소들을 섭취하고 융합됨으로써...
    분류 :
    한어 민족 > 회족
  • 외암마을 용이 제 몸을 휘감아 꼬리를 돌아보다
    첫 번째 답사지로 외암마을을 잡은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중요 민속 문화재로 지정된 일곱 마을 중 하나이며 앞으로 답사할 마을 중에서 가장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 마을이라고 언제나 환경적으로 완벽한 조건에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땅덩어리가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마을이...
    위치 :
    충남 아산군 송악면
  • 온양민속박물관 ・ 구정아트센터 일상생활 도구가 예술이 되는
    온천 여행과 예술 여행을 한번에 온양민속박물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문을 연 사립민속박물관으로, 계몽사 대표 고(故)김원대 씨가 1978년에 설립했다. 역사가 30년이 훌쩍 넘었다. 이곳은 민속 문화와 예술에 관한 방대한 전시물도 훌륭하지만, 6만 4800m2의 너른 야외 전시장 또한 매혹적이다. 날이 따뜻해지면...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 민속예술 民俗藝術, folk art
    민속예술은 문화적으로, 그리고 대개는 지리적으로 외따로 떨어져 생활함으로써 옛날의 특징을 보존하고 있는 사회적 소외계층이나 소수민족의 예술일 수도 있다. 때로는 도시인들의 민속예술이나 종교예술도 민속예술로 간주된다. 민속예술은 문학·음악·무용·미술을 모두 포함한다. 설화와 종교 또는 미신은 모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안동민속박물관 시간이 머물다 가는 곳
    함께 고택에서 하룻밤을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저 고택에서 청하는 하룻밤이 최고의 선물이 되기도 하는 곳이 안동이다. 안동은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민속과 유교, 불교, 기독교로 이어지는 종교의 이야기를 들려줄 멋진 자연학습장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자, 유려한 낙동강의 흐름을 바라볼 수 있는 절경...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 위구르족의 종교 신앙과 민속문화
    종교 신앙 역사적으로 위구르족은 여러 종교를 믿어왔다. 8세기 중엽 이전 위구르족의 선조 회흘인은 악이혼하 유역에서 유목할 때 주로 샤머니즘을 신앙하였다. 8세기 중엽 이후의 회홀한국 시기에는 마니교로 바뀌었는데, 이 종교는 처음에는 배척을 당하다가 나중에는 국교가 되었다. 9세기 중엽 서천 이후 회홀인의...
    분류 :
    돌궐어족 민족 > 위구르족
  • 한국 민속의 역사
    선사시대의 민속 한국의 선사시대는 구석기로부터 출발했다. 함경북도 웅기의 굴포리, 공주의 석장리, 제천의 점말동굴 등을 통해 구석기인들은 동굴이나 평지에 살았으며, 노지(爐址)가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서 불을 난방에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 사냥도구로는 주먹도끼·찍개·찌르개, 취사도구로는 긁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352건

달집태우기
강강술래
쥐불놀이
전통혼례
윷놀이
짚신꼬기
송편
널뛰기
성묘
금줄
떡국
씨름
팥죽
민속 공예품
민속 공예품
조선민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