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민속 풍속학, 民俗민속은 민간에 내려오는 생활 문화를 대상화한 민속학의 주요 개념이다. 본디 이것은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어 온 말로 그 민정풍속(民情風俗)의 원의는 동아시아의 근대에도 존재한다. 그런데 20세기 초를 전후하여 서구의 포클로어, 폴크스쿤데라는 개념이 일본에 전해졌고, 그 번역어로 ‘민속 · 민속학’이 정착되...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민속 民俗부산 지역에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의 전승 지식과 생활 습속. [개설] 민속은 한 문화권 내에서 다수가 향유하고 있는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문화로 민중들이 자연적·역사적·사회적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는 지혜와 믿음으로 엮어낸 생활 양식이다. 부산의 민속 중 부산 시민의 세계관과 미의식이 가장 잘 ...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성읍민속마을 바람의 땅에서 한옥을 만나다나란히 등장한다. 인류가 발전시킨 불의 역사가 지층처럼 쌓여 있다. 그 시간의 결을 찬찬히 읽어 내는 동안 황금빛 햇살이 동행할 것이다. 제주 성읍민속마을에서 제주 한옥만이 가지는 특별함과 경이로움을 만나 보자. 먼저 제주의 아름다운 올레길을 걷고 성읍민속마을로 들어온다면, 제주 한옥을 대하는 마음이 한결...
- 소재지 :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987
- 이용 시간 :
- 제한 없음
-
-
외암마을 용이 제 몸을 휘감아 꼬리를 돌아보다첫 번째 답사지로 외암마을을 잡은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중요 민속 문화재로 지정된 일곱 마을 중 하나이며 앞으로 답사할 마을 중에서 가장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 마을이라고 언제나 환경적으로 완벽한 조건에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땅덩어리가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마을이...
- 위치 :
- 충남 아산군 송악면
-
온양민속박물관 ・ 구정아트센터 일상생활 도구가 예술이 되는온천 여행과 예술 여행을 한번에 온양민속박물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문을 연 사립민속박물관으로, 계몽사 대표 고(故)김원대 씨가 1978년에 설립했다. 역사가 30년이 훌쩍 넘었다. 이곳은 민속 문화와 예술에 관한 방대한 전시물도 훌륭하지만, 6만 4800m2의 너른 야외 전시장 또한 매혹적이다. 날이 따뜻해지면...
- 위치 :
-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
-
위구르족의 종교 신앙과 민속문화종교 신앙 역사적으로 위구르족은 여러 종교를 믿어왔다. 8세기 중엽 이전 위구르족의 선조 회흘인은 악이혼하 유역에서 유목할 때 주로 샤머니즘을 신앙하였다. 8세기 중엽 이후의 회홀한국 시기에는 마니교로 바뀌었는데, 이 종교는 처음에는 배척을 당하다가 나중에는 국교가 되었다. 9세기 중엽 서천 이후 회홀인의...
- 분류 :
- 돌궐어족 민족 > 위구르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