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물해면 freshwater sponge
    보통해면민물해면속에 속하는 20여 종의 동물.|맑은 호수나 천천히 흐르는 물에서 볼 수 있으며 널리 분포한다. 민물해면은 새로이 껍질을 형성하거나 가지를 내는 방식으로 자라며 구조가 섬세하다. 조류가 그들 위에서 살기 때문에 녹색을 띠며, 부피는 2,500㎤ 이상인 경우도 있다. 민물해면잠자리류의 애벌레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민물해면잠자리 spongillafly
    연갈색을 띤 성충은 물 언저리나 수면의 매끄러운 그물 밑에 알을 덩어리로 낳는다. 유충은 민물해면에 기생하며, 완전히 자라면 물을 떠나 2중벽으로 된 레이스 모양의 고치를 만들고 그 안에서 번데기 시기를 보낸다. 이 곤충은 민물해면이 있는 세계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다.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뿔잠자리목 > 민물해면잠자리과
    서식지 :
    민물해면
    크기 :
    약 0.4cm ~ 0.8cm
    학명 :
    Sisyra sp.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해면동물 갯솜동물, sponge
    세계적으로 약 5,000종(種)이 기재되었다. 조간대(tidal level) 바위 밑에 붙어 사는 것에서부터 수심 9,000m에 사는 것까지 있다. 민물해면과만이 담수에 산다. 형태 석회해면류는 대개 흰색을 띠고, 담수에 사는 것들은 조류(藻類)와 공생하여 흔히 녹색을 띤다. 굳기도 다양하여 부드러운 것부터 돌처럼 단단한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해면동물의 분류
    지니는데, 몇몇 원시적인 속에는 골격이 없다. 가장 풍부하고 널리 분포하는 해면군(群)으로 조간대로부터 수심 5,500m 정도까지의 바다에 분포한다. 민물해면과만 담수산이고 나머지는 모두 해산이며 지름이 수㎝인 것부터 2m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많은 종이 데스마체(desma : 실리카가 보통의 골편 주위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보통해면 普通海綿綱, siliceous sponge
    바다나 민물에 살고, 해면동물 중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양이 다양하다. 규질의 주대골편은 일축(monaxons)이거나 사축(tetraxons)이고, 미소골편은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어떤 종은 골편이 없고 대신 해면질골격(spogin skeleton)이 잘 발달되어 있다. 이들의 분류는 주대골편과 미소골편의 모양·배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보통해면 Demosponge, 普通海綿綱
    동물 중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약 114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목욕해면·보라해면·민물해면·화산해면·꼭지해면·그물눈해면·해로동굴해면 등이 이에 속한다. Heteroscleromorpha 군해면목 (Agelasida) Verrill, 1907 축해면목 (Axinellida) Lévi, 1953 별해면목 (Astrophorida) Sollas, 1888...
    도서 위키백과
  • 동물 짐승, 動物
    말조개 · 민물담치 등이, 바다에는 굴 · 바지락 · 백합 · 꼬막 · 피조개 · 홍합 · 키조개 · 국자가리비 · 떡조개 · 개량조개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두족류는 남해와 서해에 꼴두기(참오징어) · 참갑오징어 · 낙지, 동해에 문어 · 살오징어가 많다. 성구동물문(星口動物門, 별벌레류)은 9종, 완족동물문...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동물
  • 한국 동물상
    문의 종들은 몸이 원칙적으로 세포 하나로 되어 있으며 종류에 따라 바닷물·민물 또는 흙 속에서 살며 동물체에 기생하기도 한다.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세계적...류·말라리아병원충·짚신벌레 등을 포함해 약 460종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 해면동물문(Porifera)에 속하는 종들은 거의 대부분이 바다에서 고착생활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피탄산 Phytanic acid, フィタン酸
    을 포함한 다양한 비인간 영장류들이 식물 물질의 후장 발효로부터 상당한 양의 피탄산을 얻을 수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들이 있다.저널 인용저널 인용 민물 해면동물은 4,8,12-트라이메틸트라이데칸산, 피탄산 및 프리스탄산과 같은 테르페노이드 산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이들 산이 바다 및 민물 해면동물 모두에...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식생과 동물
    오르내렸는데, 해면이 낮았을 때는 황해가 육지로 드러나는 한편 중국의 황허·양쯔 강과 황해로 유입하는 한반도의 여러 하천들은 하나의 수계(水系)를 이루었고, 일본의 규슈[九州]와 혼슈[本州]도 아시아 대륙과 이어져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의 육상동물과 담수어류는 중국 및 일본의 그것들과 공통되는 것들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사다새목 Pelecaniformes
    가마우지류는 민물과 해양에 서식하며 적도에서 극지역까지 분산되어 있다. 가마우지류는 잠수하여 물고기나 연체동물을 쫓는 반면에, 뱀목가마우지류는 물 속에서 기다리며 지나가는 물고기를 잡는다. 가마우지류는 협동하여 물고기를 잡는다. 이와 같이 잠수에 적응이 되어 있는 조류는 외비공(external nostrils)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망둥이
    조수가 들어옴에 따라 차차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고, 만조시에는 해면의 돌담·말뚝 등에 달라붙어 상반신을 수면 위에 내놓고 있다. 위험을 느끼면...물고기로서 늦은 봄에서 가을에 걸쳐 강어귀의 기수(汽水: 바닷물과 민물의 혼합에 의하여 염분이 적은 물)에 군집하며,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도 있다...
    분류 :
    망둑어과
    성격 :
    동물, 물고기
    유형 :
    동식물
    크기 :
    몸길이 35㎝(별망둑), 몸길이 39㎝(풀망둑)
    분야 :
    과학/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민물해면잠자리
민물해면잠자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