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물복족류 freshwater snail
    호수·연못·개울 등의 민물에 사는 5,000여 종의 복족류.|대부분 유폐아강에 속하며, 일부는 전새아강에 속한다. 미국의 남동부에 가장 많은 종이 있으며, 아프리카의 탕가니카 호수에도 많이 산다. 민물복족류는 새의 발, 바람에 날리는 잎, 홍수 등을 통하여 널리 퍼진다. 몇 종은 온혈동물에 질병(예를 들면 주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체동물
  • 복족류 腹足類, gastropod
    지닌다. 후새류는 군소류·나새류·두순류 등으로 구성되는데, 패각이 없거나 있어도 몸에 부분적으로 묻혀 있어 불완전하다. 유폐류는 대부분의 육상과 민물 달팽이 및 민달팽이류로 이루어지는데, 아가미가 없고 외투강을 폐(肺)로 사용한다. 복족류의 여러 무리에 대해서는 '유폐류', '전새류', '후새류' 항목 참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체동물
  • 연체동물의 자연사
    서식처와 먹이섭취 습성 복족류(복족강에 속하는 연체동물)는 해양·담수·육상에 널리 서식하며, 혀같이 생긴 치설(齒舌)을 이용하여 조류(藻類)·해초·유기...및 썩은 고기 등을 먹는다. 이들은 대다수가 육식성이다. 이매패류는 해양이나 민물에 서식하며 아가미를 통과하는 물로부터 미세한 플랑크톤 등을 걸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연체동물
  • 다슬기 고둥, horn snail
    돌기가 나 있는 종류, 그리고 매끈한 종류 등이 있다. 머리에는 한 쌍의 더듬이가 있고 그 아래 눈이 있으며 눈과 눈 사이에 입이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민물에 사는 다슬기류는 대부분 흑갈색 또는 황갈색을 나타낸다. 다슬기는 다른 복족류와 마찬가지로 딱딱한 패각을 가지고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몸의 모든...
    분류 :
    동물계(Animalia)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다슬기과(Pleuroceridae)
    성격 :
    동물
    유형 :
    동식물
    학명 :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 1859)
    분야 :
    과학/동물
  • 다슬기 물고둥, marsh snail
    개요 중복족목 다슬기과 다슬기속에 속하는 수산물. 흔히 ‘고둥’이라고도 부르는데, ‘고둥’은 다슬기와 소라를 포함한 복족류 전체를 부르는 이름이기도 하다. 물 속에 있는 바위의 밑이나 틈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낮에는 나오지 않는다. 생김새는 달팽이와 매우 흡사하나 같은 부류의 생물은 아니다. 주로 된장...
    분류 :
    수산물 > 어패류
    용도 :
    국 등
    영양 성분 :
    비타민, 단백질, 철분, 칼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체동물 , 식재료
  • 복족류 Gastropoda, 腹足綱
    대륙붕과 심해 깊이는 해양 복족류의 다양성이 가장 낮다. 더 친숙하고 더 잘 알려진 복족류 중 일부는 육상 복족류(땅달팽이와 민달팽이)이다. 일부는 민물에 살지만 대부분의 이름이 붙은 복족류 종은 해양환경에 산다. 복족류는 가까운 북극 및 남극 지역에서 열대 지방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그들은...
    도서 위키백과
  • 전새류 고둥류, 前鰓類
    공격을 받는다든가 하여 몸을 움츠릴 때 패각의 각구를 막는다. 전새류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개오지','계란고둥류','대추고둥류','물레고둥류','민물복족류','밤고둥류','뱀고둥류','붓고둥류','뿔소라류','삿갓조개류','소라류','수염고둥류','수정고둥류','실꾸리고둥류','육상달팽이','전복','짚신고둥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연체동물
  • 유폐류 有肺類, pulmonate
    민달팽이류는 외부 껍질이 없지만 대부분의 유폐류는 얇고 납작한 나선형의 껍질이 있다. 해부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유폐류는 다른 복족류보다 고등한데 모든 성체는 비고리형의 신경색을 가지고 좌우대칭이며, 심방이 심실보다 앞에 있다. 유폐류는 모두 자웅동체이다. → 민달팽이류, 민물복족류, 삿갓조개류, 육상달팽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체동물
  • 절두목 截頭目, Temnocephalida
    열대·아열대 지방 특히 남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에서 살며, 발칸 반도에서 발견된 종들도 있다. 민물 갑각류(주로 십각류)의 아가미방[鰓腔] 속이나 아가미 위 또는 몸 표면에서 공생한다. 약간의 종들은 민물복족류나 자라류에 붙어 산다. 2과(科) 4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절두납작벌레류가 한 예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짜부락고둥상과 Cerithioidea, オニノツノガイ上科
    생물 분류 짜부락고둥상과(Cerithioidea)는 바다 복족류 및 소금물과 민물 복족류 상과의 하나이다. 200여 속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짜부락고둥상과는 흡강류에 속한다. 짜부락고둥상과는 다양성이 매우 높은 상과 중 하나이다. 종들은 거의 모든 전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바다의 바위로 된 조간대 해안가와 해초지...
    도서 위키백과
  • 동물 짐승, 動物
    다음이 이매패류(二枚貝類) 307종 · 두족류(頭足類) 44종 · 다판류(多板類, 군부류) 26종 · 굴족류(掘足類, 뿔조개류) 4종 순이다. 복족류의 경우 육상에는 민달팽이 · 달팽이, 민물에는 다슬기 · 쨈물우렁 · 논우렁이, 바다에는 전복 · 소라 · 대수리 · 밤고둥 · 총알고둥 · 긴고둥 등이 흔하다. 이매패류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동물
  • 최기철 崔基哲
    재직했다. 1972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 <바지락의 치패에 천공하는 복족류에 관한 연구>(1962)를 비롯해 이매패의 조기성장, 생태 및 증산에 관해 다각도...분포에 관해 연구했으며, 5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1994년에는 한국민물고기 보존협회를 발족시켰다. 1976년 정년 퇴임 이후 1982년부터 9년 간의...
    출생 :
    1910. 10. 16, 충남 대전
    사망 :
    2002. 10. 22,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