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토가 水戶學, Mitogaku
    일본 에도 시대[江戶時代] 후기 미토 한[水戶藩]에서 일어난 국가주의 사상.|미토가라는 용어는 현재 미토 한의 학문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본래는 19세기 이래 미토 한에서 발달한 독특한 학풍을 가리킨다. 에도 시대에는 덴포가[天保學]나 스이후가[水府學]라고도 불렸고 메이지 유신[明治...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미토학 (관련어 미토가쿠) Mitogaku, 水戸学
    미토학은 히타치 미토번(지금의 이바라키현 미토시)을 중심으로 형성된 학문이다. 이는 일본에서 파생된 유학 사상이라 할 수 있다. 미토학이라는 호칭이 처음 쓰인 것은 덴포 시기의 일로 메이지 유신 이후 일반적으로 "미토학"이라 부르게 되었다. 미토학은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두 번째 미토 번주 도쿠가...
    도서 위키백과
  • 고쿠가 國學, Kokugaku
    특징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고쿠가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후대에 이 용어가 일반화된 것이다. 고쿠가쿠는 중세 가가쿠[歌學]의 형식적 규범주의와 도쿠가와...크게 볼 때 문학적 주정주의, 문헌학적 방법론, 비합리적 신도론(神道論) 삼자를 축으로 삼았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는 미토 한[水戶藩]의 도쿠가와 미쓰쿠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존왕양이운동 尊王攘夷運動
    그 사상적 기반이 된 것은 후지다 도코[藤田東湖], 아이자와 세이시사이[會澤正志齋] 등이 제창한 미토가[水戶學]이다. 바쿠후는 1854년 미일화친조약에 조인하고 그 비준을 조정에 요구했다. 해외사정에 어두웠던 조정은 양이론의 거점인 미토 한[水戶藩]의 압력도 있어 칙허를 내리지 않았다. 한편 극심한 빈곤 속...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공무합체 公武合體, Movement for Union of Court and Shogun..
    각종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한편, 겉으로는 조정을 받드는 태도를 취해 형식적으로 조정이 쇼군[將軍]을 임명하도록 했다. 그러나 에도 시대 말기에 미토가[水戶學]를 중심으로 일본민족의 정통 지배자는 황실이라고 주장하는 소위 존왕론(尊王論)이 대두하면서 바쿠후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강력한 도전세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본 , 선거
  • 도쿠가와 나리아키 Tokugawa Nariaki, 徳川斉昭
    는 경산(景山), 잠룡각(潛龍閣). 1800년 3월 11일 미토 번 제7대 번주 도쿠가와 하루토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아이자와 세이시사이 문하에서 미토가(水戶學)을 배웠다. 1829년 맏형인 미토 번 제8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노부의 뒤를 이어 제9대 번주가 된다. 아들인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를 쇼군...
    도서 위키백과
  • 존왕양이
    않은 채 반대파를 누르고 미일통상조약에 조인하고, 이어 존왕양이파에 대한 대탄압을 시작했다. 하급 무사층은 활발한 양이운동을 전개해나갔다. 여기에 미토 한, 조슈 한 등이 존왕양이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적극적으로 가담하게 되었다. 그러나 4개국 함대와의 교전을 통해 양이의 무모함을 인식하게 되면서 양이운동...
  • 미야케 간란 三宅観瀾
    난초 정부의 정당성을 논한 저서 《중흥감언》은 쇼와 천황을 가르쳤던 노기 마레스케가 자살을 앞두고 쇼와 천황에게 전달한 책이기도 하다. 중흥감언 뿐만 아니라, 조선통신사를 수행한 학사와 함께 필담집인 《지기간담》을 썼으며, "충신장"으로 알려진 아코 낭인들을 소재로 한 《열사보경록》도 남겼다. 미토가
    도서 위키백과
  • 게이추 契沖, Keichu
    일본 근세 고쿠가[國學]의 기초를 닦았으며 역사적 가나 표기법[歷史的假名表記法]의 제정자로도 유명하다. 11세 때 오사카의 묘호 사[妙法寺]에 들어갔으며...부양하기 위해 묘호 사의 주지로 10년 동안 있었다. 그동안 시모코베가 미토 한[水戶藩]의 도쿠가와 미쓰쿠니[德川光國]로부터 〈만요슈 万葉集〉 주석을...
    출생 :
    1640, 셋쓰 구니[攝津國] 아마가사키[尼崎]
    사망 :
    1701. 1. 25, 오사카[大阪]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이바라키현 Ibaraki Prefecture, 茨城県
    명초』에서는 [무바 요시키], 『히타치 국풍토기』의 덴포 10년(1839년)간본에서는 [우바라키]라고 읽는 가나를 달았다. [이바라키]로 읽는 것은 [우바라키]가...많은 호수가 있는 평지이다. 이바라키현 지역은 예전에 히타치국이었다. 1871년에 현의 이름은 이바라키가 되었다. col-2 미토시 (자치체 인구/이바라키...
    도서 위키백과
  • 대일본사 Dai Nihonshi, 大日本史
    百王本紀)」로서 완성시켰다. 쇼토쿠 5년(1715년)에는 책 이름을 둘러싸고 미토 측이 주장하는 『황조신사』(皇朝新史)와 에도 측의 『대일본사』 사이에 논쟁이...겐분(元文) 2년(1737년)에 미쓰쿠니 사후의 사업을 주도해왔던 아사카 단파(安積澹泊)가 사망하여 사업은 중지되었다. 에도 후기에는 쇼코칸 총재...
    도서 위키백과
  • 존왕양이 Sonnō jōi, 尊王攘夷
    대표)을 물리친다는 의미에서 춘추시대 패자들이 이용한 표어를 한국과 일본에서 차용했다. 특히 일본에서 존왕론과 양이론이 결합된 에도 막부 말기 미토가의 사상으로, 후지타 도코, 아이자와 야스시 등이 중심이 되어 이 표어를 퍼뜨렸고, 도막(막부 타도) 움직임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고대 중국 춘추 시대(春秋...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미토가쿠(Mitogaku)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