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주리 타협 Missouri Compromise
    미국 역사에서 북부와 남부 사이에 일어난 논란을 해결한 조치(1820).|이것이 연방의회에서 통과됨으로써 미주리는 미국의 24번째 주가 되었다(1821). 미주리 타협은 노예제 확대를 두고 이후 오랜 기간 지속된 지역 분쟁의 시작이었고 이 분쟁은 결국 미국의 남북전쟁으로 이어졌다. 미주리는 1817년 처음으로 새로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미주리 타협 (관련어 미주리타협) Missouri Compromise,..
    미주리 타협은 1820년에 미주리주(州)의 연방 가입에 관해 북부의 자유주와 남부의 노예주 간에 타협한 협정이다. 1819년 미주리를 연방에 가입시키는 문제가 생겨 매사추세츠주(州)의 일부인 메인 지방을 자유주로 하고 미주리를 노예주로 할 것, 미주리주(州)의 남부 경계인 북위 36도 30분 이북에는 노예주를 설치하...
    도서 위키백과
  • 1850년 타협 Compromise of 1850, 1850年協定
    때문에 텍사스 거주자 뿐만 아니라 미국 전역의 노예제찬성론자와 노예제반대론자들에게도 텍사스 주의 크기는 이해관계가 달린 사안이었다. 1820년 미주리 타협에서는 북위 36도 30분의 선을 기준으로 노예주와 자유주를 나누었는데, 텍사스는 이 선 북쪽의 영토 또한 포함하고 있었다. 1845년의 텍사스 병합 결의안은...
    도서 위키백과
  • 미주리 Missouri, ミズーリ州
    주·테네시주, 남쪽으로 아칸소주, 서쪽으로 오클라호마주·캔자스주·네브래스카주(뒷 두 주와는 미주리 강을 사이에 두고 있다)와 접한다. 1820년, 미주리 타협으로 노예주에 속했으며, 결국 남북 전쟁 당시 북부 지지자와 남부 지지자가 반반씩 갈리고 말았다. 33대 대통령 해리 트루먼이 러마 시 출신이다. 미주리...
    도서 위키백과
  • 크리텐덴 타협 Crittenden Compromise
    북위 36˚ 30' 이남에는 노예 제도를 허용하고 이북에서는 금지하는 것을 규정하는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크리텐덴은 12월 18일 이 법안을 들여왔다. 12월 31일에 테이블 위에 올랐으나 미국 하원과 미국 상원 모두 크리텐덴의 제안을 거절하였다. 1861년 2월 이 제안은 다시 한번 논의되기도 했다. 미주리 타협
    도서 위키백과
  • 타협 Compromise, 妥協
    거래)를 하는 것이다. 최상의 잠재적인 타협안을 정의하고 찾는 것은 게임 이론과 투표 시스템과 같은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상호간의 더 나은 결과는 상호간의 관심사의 주의깊은 조사를 통해 도출할 수 있다.저널 인용 코네티컷 타협 1850년 타협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미주리 타협 3/5 타협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화해의 시대
    그 결과 미주리와 메인을 연방에 가입시키되 이후부터는 36도 30분 이북에서는 자유주가, 그 이남에서는 노예주가 각각 성립한다는 내용의 이른바 '미주리 타협'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노예주와 자유주가 각각 12개로 다시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먼로 행정부의 가장 중요한 사건은 먼로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중에...
  • 링컨-더글러스 논쟁 Lincoln-Douglas Debates
    노예제 확대 문제는 약 40년 전에 이루어진 '미주리 타협'(1820)으로 이미 해결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멕시코 전쟁으로 미국이 새로운 영토를 획득하게 되자 1840년대에 이 문제가 다시 거론되었다. '1850년의 타협'으로 파벌 싸움은 잠시 중단되었지만 더글러스가 제안한 1854년의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국
  •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Kansas-Nebraska Act
    노예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데 의회의 법령보다 주민주권(主民主權) 원칙(노예제 채택 여부를 그곳의 주민에게 맡긴다는 원칙)이 우선함을 확인했다. 1820년 미주리 타협은 프랑스로부터 사들인 루이지애나 지방(노예주인 미주리 주 제외)의 북위 36° 30′ 이북에서 노예제를 금지했다. 그러나 민주당 상원의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내슈빌 회의 Nashville Convention
    세력이 우세했다. 이 회의는 노예제와 모든 미국인이 준주(準州)로 이주할 수 있는 권리를 옹호하는 28개 결의안을 채택했다(6.10). 남부 주 대표들은 미주리 타협에서 결정한 경계선을 태평양까지 확장함으로써 연방에 편입될 준주에서의 노예제 실시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해 9월, 연방의회는 1850년 타협안을 제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클레이 Henry Clay
    연방 하원의원(1811~14, 1815~21, 1823~25), 연방 상원의원(1806~07, 1810~11, 1831~42, 1849~52)을 지냈다. 미주리 타협(1820)과 1833년의 관세 타협안(사우스캐롤라이나 주가 연방정부의 관세법을 무효로 선언함으로써 야기된 '연방법 거부 위기'를 끝낸 타협안) 및 1850년의 타협을 추진한 주요인물이다. 이 3...
    출생 :
    1777. 4. 12, 미국 버지니아 해노버
    사망 :
    1852. 6. 29, 워싱턴 D. C.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피어스 Franklin Pierce
    네브래스카 2개의 준주를 조직하고 이 지역에서의 노예제 허용여부를 주민의 의사에 따라 결정한다는 것을 내용으로 했다. 한편 여기에는 1820년의 미주리 타협(북위 36°30′ 이북에 있는 준주의 노예제를 금지한 타협안)의 철회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그결과 캔자스 준주에서...
    출생 :
    1804. 11. 23, 미국 뉴햄프셔 힐즈버러
    사망 :
    1869. 10. 8, 뉴햄프셔 콩코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