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우라 고로 三浦梧, Miura Goro
    일본의 군인.|을미사변의 배후조종자이다. 호는 관수(觀樹). 야마구치 한[藩]의 무사인 기치헤이[吉平]의 둘째 아들이며, 뒤에 미우라 미치이오[三浦道庵]의 양자가 되었다. 어려서 명륜관(明倫館)에서 공부했고 조슈 한[長州藩]의 존양운동(尊攘運動)에 참가했다. 1870년 병부 권소승(權少丞)이 된 이후, 이듬해 육군...
    출생 :
    1846, 일본 야마구치 현[山口縣]
    사망 :
    1926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본
  • 미우라 고로 (관련어 미우라고로) Miura Gorō, 三浦梧楼
    공직자 정보 미우라 고로는 일본의 육군 군인, 정치인. 최종 계급은 육군 중장. 영전은 종1위 훈1등 자작. 호는 관수(観樹). 육군 내 비주류파로서 군비확장 자제와 번벌정치 타도를 주장했다. 오늘날의 야마구치현 하기시에서 하기번사의 배신(陪臣) 요베 요시헤이(五十部吉平)의 5남으로 태어났다. 명륜관에서 배운 뒤...
    도서 위키백과
  • 미우라 고로(미우라 공사) Miura Goro
    일본의 군인으로 을미사변의 배후 조종자이다. 1895년 삼국 간섭으로 조선에서 일본 세력이 약화된 틈을 타서 고종과 명성 황후가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여 친일 내각을 무너뜨리고 친러 내각을 구성하자, 이노우에 가오루의 후임이 되어 특명 전권 공사로 조선에 왔다. 같은 해 10월 8일 일본인 자객을 앞세우고 경복궁...
    도서 다음백과
  • 미우라 Miura, 三浦
    축구 선수 미우라 하루마: 일본의 배우 미우라 다이스케: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며 지도자 미우라 타카히로: 일본의 배우 미우라 아쓰히로: 일본의 은퇴한 축구 선수 미우라 도시야: 일본의 축구 선수, 감독 미우라 고로: 막부 말기 조슈 번사 출신의 유신지사 미우라 기요히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도서 위키백과
  • 고로
    고로의 뜻은 다음과 같다. 고로: 머슴을 뜻한다. 고로역: 일본의 철도역이다. 고로: 고구려의 장수이다. 이나가키 고로: 일본의 가수 겸 배우이다. 미야자키 고로: 일본의 건축가 겸 애니메이션 감독이다. 미우라 고로: 막부 말기 조슈 번사 출신의 유신지사이다. 이주인 고로: 일본 제국의 군인이다. 야마다 고로: 일본...
    도서 위키백과
  • 을미사변 명성황후시해사건, 乙未事變
    정의 1895년 10월 8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시를 받은 일본군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와 일본 낭인들이 경복궁을 침입하여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시해한 사건. 이 사건 이후 친일 내각에 의해 단발령과 건양 연호의 사용, 군제 개편, 소학교령 공포, 태양력 사용 등의 개혁정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분쟁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을미사변 乙未事變
    위한 작전에 붙인 이름이다. 구체적인 실행 계획은 10월 3일(음력 8월 15일) 남산의 일본 공사관 밀실에서 마련됐다. 육군 중장 출신의 암살 전문가 미우라 고로(三浦梧樓)가 공사로 부임한 지 한 달이 막 지난 시점이었다. 전임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가 시해를 주모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과격한 성격의 미우라를...
    시대 :
    1895년
  • 명성황후 明成皇后
    삼국간섭에 의해 동북아 정세가 급변하였다. 이때 명성황후는 러시아에 대한 접근을 통해 군주권 회복을 추구하였고, 조선 보호국화가 좌절된 일본정부는 미우라 고로[三浦梧樓]를 주한공사로 파견하였다. 이처럼 내외의 격동 속에 고종을 적극 내조해 왔으나, 이로부터 한 달 여 뒤 일본의 공권력 집단이 경복궁을 습격...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아관파천 고종 러시아공관 망명, 俄館播遷
    이때 러시아 공사 K. 베베르[韋貝]는 미국공사와 함께 명성황후 세력에 접근하여 친러정책 실시를 권유했다. 을미사변 이에 새로 부임한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는 1895년 8월 20일 일본인 낭인과 훈련대를 경복궁에 침입시켜 명성황후를 학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킴으로써 일본세력을 만회하고자 했다. 그리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역사 일반
  • 이두황 李斗璜
    하고, 평양민을 동원하여 청군의 시체를 처리했다. 1895년 양주목사가 되었다가 일본인이 교관인 훈련대 제2대대장이 되었다. 그해 8월 20일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가, 삼국간섭 이후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는 등 반일적 정책을 취하는 명성황후를 일본 낭인패와 군을 동원하여 학살한 을미사변에 훈련대를...
    출생 :
    1858, 서울
    사망 :
    1916
    국적 :
    일제강점기,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을미사변〉
    조선 내부는 물론 미국, 러시아 등도 거세게 반발했다. 일본은 흥선대원군을 꼭두각시로 세운 후 '을미사변은 흥선대원군과 훈련대가 한 일'이라고 발뺌했다. 그러나 반발이 더 거세지자, 주모자인 미우라 고로 공사를 비롯한 48명을 일본으로 불러들여 옥에 가뒀다. 일본은 이듬해 이들 전원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다. 참조
    시대 :
    1895년 8월 20일
    국가/대륙 :
    한국
  • 정병하 鄭秉夏
    1894년 7월 김홍집(金弘集) 내각의 농상공부협판이 되었다. 이듬해 내장원경(內藏院卿)이 되어 왕실의 재정을 관리했다. 1895년 8월 20일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가 을미사변을 일으켜 명성황후를 학살하자 명성황후를 폐할 것을 주장하고 폐비조칙을 썼다. 1895년 11월 유길준·조희연(趙羲淵) 등이 고종에게...
    출생 :
    1849(철종 즉위)
    사망 :
    1896(건양 1)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미우라 고로(Miura Gor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