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란다 애리조나 판결 Miranda..
    구금된 형사피의자에 대한 경찰의 신문과정에서 그 행동지침에 관한 결정을 남긴 미국의 연방대법원 판결(384 U. S. 436, 1966).|얼 워런 대법원장은 5 4로 결정된 다수의견을 집필해, 경찰에 구금된 상태의 신문에서는 최소한의 절차적 보장이 준수되지 않으면 피의자의 진술이 기소에 사용될 수 없다고 판시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미란다 원칙 Miranda warning, ミランダ警告
    체포의 이유와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권리, 진술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 등이 있음을 미리 알려 주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1966년 선고된 미국 미란다 애리조나 판결(Miranda v. Arizona 384 U.S. 436)에서 유래한다. 얼 워런 대법원장은 미란다 원칙으로 유명하다. 1963년 3월 미국 애리조나주의 피닉스 경찰...
    도서 위키백과
  • 미란다 애리조나 Miranda v. Arizon..
    미란다 애리조나는 미국 연방 대법원의 랜드마크 판결이다. 미란다 원칙을 낳았다. 미란다 원칙
    도서 위키백과
  • 미란다 원칙 Miranda Rule
    있다. 미란다 고지라고 알려져 있는 이 원칙은 신문에 앞서 체포된 자에게 묵비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진술한 것이 불리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고,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수 있다는 것 등을 알려주어야 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 원칙은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판결미란다 애리조나 판결(1966)에서 비롯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형법
  • 취조 取調, interrogation
    법률의 통제 밖에 있다(→ 자백). 미국에서는 경찰의 취조권에 대하여 비교적 정교한 안전장치가 되어 있다. 연방대법원은 에스코베도 일리노이 판결(1964)과 미란다 애리조나 판결(1966)에서, 경찰은 피의자에게 취조시 묵비권과 변호사접견권이 있음을 고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형법
  • 피고인의 권리 rights of accused
    피고인은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와 자신에게 불리한 증거를 만들 수도 있는 모든 질문에 대해서 진술을 거부할 권리를 고지받게 되었다(미란다 애리조나 판결)(미란다 고지). 이 두 권리는 모두 경찰이 법정증거로서 사용하기 위해 비자발적인 자백을 강요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입되었다. 프랑스와 독일을 비롯...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헌법
  • 워런 Earl Warren
    주민을 대표하는 것이지 토지나 수목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판시했다. 한편 형사사건에 관한 워런 제임스 대법원의 획기적인 판결로 평가되는 1966년 미란다 애리조나 주정부(Miranda v. State of Arizona, 384 U. S. 436) 판결에서, 그는 경찰은 형사피의자를 심문하기 전에 피의자에게 묵비권과 변호인...
    출생 :
    1891. 3. 19,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사망 :
    1974. 7. 9, 워싱턴 D. C.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미국의 랜드마크 판례 목록 List of landmark court decisions i..
    Co. Gates v. Collier 캘리포니아 주립대 바키 사건 Adarand Constructors, Inc. v. Peña 그루터 볼린저 사건 오버거펠 호지스 사건 미란다 애리조나 마베리 매디슨 맥컬록 메릴랜드주 사건 솅크 미국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맥도널드 시카고 사건 이리 철도 톰프킨스 판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