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국해군천문대 USNO, 美國海軍天文臺
    미국 워싱턴 D. C.에 있으며,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함께 미국 내의 표준시에 대한 공식 자료를 제공하는 기관.|계시(計時)와 항해를 위해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이 천문대가 설립된 이래 해온 주요업무이다. 1833년 최초의 작은 천문대가 국회의사당 근처에 세워졌다. 1844년 이 천문대 준척(準尺)...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미국 해군 천문대 (관련어 미국해군천문대) United S..
    미국해군천문대(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USNO)는 미국 해군미국 국방부의 포지셔닝, 항법, 시간을 생성하는 것을 주된 임무로 하는 미국내 가장 오래된 과학 기관들 중 하나이다. 이 천문대는 워싱턴 D.C.에 위치해 있다. 별하늘 찾기 운동 시보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길리스 James Melville Gilliss
    미국에서 최초로 관측만을 전담하는 해군천문대를 워싱턴 D. C.에 창설했다. 1827년 미해군에 입대했고, 10년 뒤에 워싱턴 D. C.에 있는 해군기자재병참부(Depot of Charts and Instruments)의 감독관이 되었다. 그의 임무에는 새로운 탐사지역의 경도결정에 필요한 천체관측이 포함되어 있었다. 해군천문대 건립을 청원...
    출생 :
    1811. 9. 6, 미국 메릴랜드조지타운
    사망 :
    1865. 2. 9, 워싱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천문대 Astronomical observatory, 天文台
    같은 정도로 겸하여 갖는 천문대는 별로 많지 않은데, 그 예로는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 러시아의 풀코바 천문대, 프랑스의 파리 천문대, 미국의 워싱턴 해군천문대, 오스트레일리아의 스트로믈로산 천문대, 일본의 도쿄 천문대 등을 들 수 있다. 위치천문학 위주의 천문대 위치천문학 관계 천문대의 망원경은 자오환...
    도서 위키백과
  • Asaph Hall
    1877년 화성의 2개의 위성인 데이모스와 포보스를 발견하고 궤도를 계산했다. 1863년 홀은 워싱턴 D. C.에 있는 미국 해군 천문대의 수학교수로 임명되어 1891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는데 그곳에서 주로 쌍성의 궤도, 별의 시차측정, 행성천문학을 연구했다. 1896~1901년 하버드대학교 천문학 교수로 있었다. 그의 아들...
    출생 :
    1829. 10. 15, 미국 코네티컷 고션
    사망 :
    1907. 11. 22, 메릴랜드 아나폴리스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조경철 趙慶哲
    천문학을 전공해 이학석사(1959)·이학박사(1962)학위를 취득했다. 모교인 터스큘럼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학위(1978)를 받았다. 미국 해군천문대의 연구원으로 재직한(1962~64) 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과학부 주임연구원(1964~65)을 지냈다. 미국 메릴랜드대학교·호워드대학교에서 교수(1965~68)를 지낸 후...
    출생 :
    1929. 4. 4, 평북 선천
    사망 :
    2010. 3. 6,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해군 정밀도 광학 간섭계 Navy Precision Optical Inter..
    해군 정밀도 광학 간섭계(Navy Precision Optical Interferometer, NPOI)는 미국해군천문대미국 해군 부속 연구기관에서 운영하는 광학 간섭계로 애리조나주의 앤더슨 메사 지형에 있다. 가시광선 및 적외선 파장 천문간섭계 목록
    도서 위키백과
  • 풀코보 천문대 Pulkovo Observatory, プルコヴォ天文台
    미국 매사추세츠의 앨반 클락 앤 선즈가 지었다. 천문대의 주요 업무는 세차운동, 회전운동, 수차, 굴절 등과 같은 별과 천문 상수의 좌표를 결정하는 것과 이중성을 발견하고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천문대의 활동은 러시아 영토의 지리적 연구와 항해의 발전과도 연결되어 있다. 374개의 가장 정확한 위치와...
    도서 위키백과
  • 천문항법 天文航法, celestial navigation
    위치(ground position/GP)라고 한다. 그러므로 각각 경도·위도와 같은 개념인 그리니치 시간각과 적경으로 구성된 천체 좌표로 GP를 설명할 수 있다. 미국해군천문대의 항해역서연구실(Nautical Almanac Office)에서 발행하는 것과 같은 역서에는 태양·달·행성(항해자들이 이용하는 별)에 대한 좌표가 들어 있다.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과학 일반
  • 카론 Charon
    1978년 워싱턴 D. C.에 있는 미국해군천문대에서 제임스 W.크리스티와 로버트 S.해링턴이 발견했다. 그 이전에도 명왕성의 위성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었지만 명왕성이 너무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실패했다. 또한 카론은 명왕성에 너무 가까이 있기 때문에 명왕성의 빛에 가려 관측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만엔 원년 미국 파견 사절 Japanese Embassy to the Uni..
    비준 교환 증서는 중요문화재로 외무성에 보관되어 있다.) 워싱턴은 25일동안 체류했고, 그 사이에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미국 국회의사당, 워싱턴 해군 공창, 미국 해군 천문대를 방문하는 등 쉴새없이 얼마되지 않은 나날을 보냈다. 6월 5일, 다시 대통령을 만난 이후 국무부에서 캐스 국무부 장관으로부터 사절 3인은...
    도서 위키백과
  • 측성학이란 무엇인가?
    또한 측성학은 공간뿐 아니라 시간의 믿을 만한 기준틀을 설정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고 과학적 용도로도, 일상적인 용도로도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미국 해군 천문대는 태양과 달, 행성 그리고 항성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한다. 이렇게 얻어진 자료들은 항해력 사무소로 보내져 영국 정부와 함께...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미국해군천문대(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