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각 味覺, taste
    동물의 특정 신체 부위에 닿은 화학물질을 감각계가 느끼고 알아내는 것. gustation이라고도 함.|미각이란 말은 주로 척추동물의 입에 있는 미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더 넓은 뜻을 가진 접촉 화학수용이란 말을 더 많이 쓴다. 곤충과 같은 많은 무척추동물들은 입의 바깥쪽 부분이나 산란관, 발목 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미각
    미각은 고양시청 근처에 있는 중화요리 맛집이다. 단독건물에 넓은 주차장을 갖추고 있어 이용하기 편리하다. 내부도 넓고 가족 모임에 적당한 룸도 갖추고 있다. 이 집의 인기 메뉴인 해물 점보 짜장은 절반은 해물이 들어간 쟁반짜장과 절반은 다양한 해산물과 누룽지를 섞어 매콤한 소스로 볶아낸 짜장, 짬뽕 퓨전요...
    위치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 124
  • 미각 味覺, sense of taste
    원각(遠覺)에서 구별되는 순근각성(純近覺性)의 화학감각. 미각을 일으키는 자극물질을 미물질(taste substance)이라고 하며, 그 수용기는 대부분 고등 척추동물의 입이나 그 근처에 있다.
  • 미각 sense of taste
    화학물질이 혀에 분포하는 미각세포에 접촉하는 것에 따라 생기는 감각. 미각에는 달다·짜다·시다·쓰다의 4가지 기본 맛이 있으며, 각각 설탕·식염·염산·키니네의 맛으로 대표된다. 미각세포는 혀의 유두 내에 있는 미뢰라고 불리는 구조 중에 있으며, 미각 물질에 의해 활동 전위가 생기고, 미각신경을 통해서 뇌...
    분야 :
    정보장치
  • taste 맛 미각, 味覺
    용해물질을 혀에 접촉하여 야기되는 특유의 감각. 혀, 미각신경, 미각중추에 의해서 좌우되며, 단맛[甘], 신맛[酸], 짠맛[塩], 쓴맛[苦]의 4종(種)으로 구별된다.
  • 미각장애 Taste disorders
    정의 미각장애는 증상의 정도와 유형에 따라 아래와 같은 다섯가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상보다 맛감각이 감소된 상태를 일컫는 미각감퇴/미각저하, 미각이 완전히 상실된 상태인 무미각증, 정상보다 맛감각이 증폭된 상태인 미각과민, 원래 본연의 맛이 아닌 다른 맛으로 인지하는 미각왜곡, 미각자극이...
    진료과 :
    구강내과
  • 감각기, 미각 구조 혀의 돌기에서 다섯 가지 맛을 느끼는
    있는 빨간 주름 모양의 유두다. 사상유두 이외의 유두에는 맛을 느끼는 미뢰라는 기관이 있다. 하나의 유곽유두에는 약 200개의 미뢰가 있다. 미뢰 안에는 미각을 수용하는 미세포가 있다. 맛을 느끼는 구조 음식이 입에 들어가서 물이나 타액으로 녹으면 음식의 맛 성분이 미공에서 미뢰로 들어간다. 미뢰 안의 미세포...
    참고 :
    고추냉이나 고추 등의 ‘매운맛’은 일반적으로 미각의 하나로 생각하는데 사실은 통각으로 분류된다. 매운맛은 혀와 구강 전체에서 느낀다.
  • 후각장애, 미각장애 Anosmia, Hyposmia
    정의 후각은 냄새를 맡는 기능, 미각은 맛을 느끼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 기능에 장애가 일어나는 질환을 후각장애, 미각장애라고 합니다. 이는 단계별로 명칭이 다릅니다. 완전 후각이 상실된 경우는 후각소실 , 후각기능이 정상보다 감소된 경우는 후각감퇴라고 합니다. 존재하는 냄새를 다르게 느끼는 경우는...
    분류 :
    귀코목질환
    발생 부위 :
    증상 :
    권태감, 근육통, 두통, 발진, 열
    진료과 :
    이비인후과
    관련 질환 :
    부비동염, 상기도 감염,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비용종
    도서 질병백과 | 태그 질병
  • 두바이 음식 중동의 문화를 미각으로 느끼자!
    두바이는 전 세계 사람들이 모인 도시답게 먹을거리로 고민할 일은 없다. 유럽, 인도, 태국, 미국, 일본, 중국, 한국 음식을 어디서든 접할 수 있다. 하지만 기왕이면 아랍 음식에 도전해 보자. 아랍 음식은 중동의 레바논, 요르단, 시리아, 팔레스타인과 북아프리카의 이집트 모로코 등지의 음식을 말하는데 두바이...
  • 가르시아 효과 미각혐오학습, Garcia Effect
    여러 번 반복해야 조건 간 연관성이 형성되지만, 가르시아 효과는 한 번의 강렬한 경험으로도 특정 음식이나 맛에 대해 혐오감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말로 '미각혐오학습(Taste Aversion Learning)'이라고도 한다. 발견 가르시아 효과는 미국의 심리학자 존 가르시아(John Garcia)가 진행한 실험에서 유래하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일반상식
  • 기분에 따라 변하는 미각
    루시 도널드슨 박사는 기분이 미각을 변화시켜 쓰고 짠 맛에 무디게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건강한 20명에게 항우울제인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을 주고 시험한 결과, 세로토닌은 단맛과 쓴맛을 민감하게 만들었고, 노르아드레날린은 쓴맛과 신맛을 민감하게 했다. 이같은 결과는 의사가 우울증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건강
  • 외롭고 우울하면 왜 더 많이 먹을까
    먹고 나면 속이 후련해지고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말하는데요. 매운 음식을 먹으면 정말 스트레스가 풀릴까요? 일단, 매운맛은 맛이 아닙니다. 인간의 기본 미각은 단맛, 신맛, 짠맛, 쓴맛, 이 네 가지이고 여기에 매운맛은 들어있지 않지요. 매운맛은 미각(味覺)이 아니라 통각(痛覺)입니다. 고추의 매운맛은 캡사이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8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