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물푸레나무 Retuse Ash및 하천변 조림용, 공원수로 이용가능하다. • 꽃에는 밀원이 풍부하다. • 물푸레나무/쇠물푸레나무/좀쇠물푸레의 나무껍질을 秦皮(진피)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가을에 枝皮(지피) 또는 幹皮(간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물푸레나무의 나무껍질에는 aesculin(esculin), aesculetin(esculetin) 및 그 외 6...
- 분류 :
- 물푸레나무목 >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속
- 학명 :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 개화기 :
- 5월
-
물푸레나무 심목(梣木)바탕으로 인식할 수 있는 분류군이다. 물푸레나무는 물푸레나무속 중에서 꽃잎이 없는 분류군 무리 중 하나이며, 꽃과 잎이 비슷한 시기에 발달하며 바람에 의해 수분이 이루어지는 풍매화이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종이 물푸레나무를 비롯해 전 세계에 약 4종이 있는데 모두 아시아에 분포한다. 물푸레나무는 분류군 내...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속
- 서식지 :
- 산지의 능선, 남사면 및 서사면의 경사 지대
- 학명 :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중국 동북부, 일본
-
물푸레나무 쉬청나무, Fraxinus rhynchophylla개요 물푸레나무과(―科 Ole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학명은 Fraxinus rhynchophylla Hance이다.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물건리에 있는 물푸레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86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형태 어린 가지는 회색빛이 도는 갈색이다. 잎은 마주 나고 날개깃처럼 갈라져 5~7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졌으며 잔잎은...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속
- 원산지 :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
- 서식지 :
- 산기슭이나 골짜기 물가
- 크기 :
- 약 10m
- 학명 :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 꽃말 :
- 겸손, 열심
-
물푸레나무 사수피(蜡樹皮)사용 방법 물푸레·심목(梣木)·청피목(靑皮木)이라고도 한다. 보통 관목처럼 보이기도 한다. 가지를 물에 담그면 물이 푸르게 변한다 하여 물푸레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나무껍질에 회갈색 또는 흑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있다. 작은 가지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다. 공업용(기구재·가구재)·관상용·약용으로 이용...
- 분류 :
- 낙엽 활엽 교목
- 학명 :
- Fraxinus rhynchophyll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중턱 이하의 습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나무껍질
- 생약명 :
- 진피(秦皮)
- 키 :
- 10~30m
- 과 :
- 물푸레나뭇과
- 채취기간 :
- 봄~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나무껍질 4~6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광릉물푸레나무·쇠물푸레나무·좀쇠물푸레나무
-
물푸레나무통풍·요산증·기관지염·장염·이질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또, 껍질을 재료로 해서 얻는 즙액에 아교를 넣어 먹을 만드는 접착제로 쓰기도 하였다. 물푸레나무의 가지는 도리깨의 회초리로 쓰였으며 농기구의 자루로도 많이 이용되었다. 또, 생가지는 불에 잘 타는 성질이 있어서 지난날 눈 속에서 길을 잃은 사람은...
- 분류 :
- 물푸레나무과
- 성격 :
- 식물, 나무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30m, 지름 50㎝
- 학명 :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 분야 :
- 과학/식물
- 개화기 :
- 5월
-
화성 전곡리 물푸레나무 華城前谷里─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물푸레나무는 낙엽이 지는 큰키나무로서 전국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나무지만 노거수로 남아 있는 것은 흔하지 않다. 목재의 재질이 강해서 농사를 짓고 살던 옛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나무였다. 특히 물푸레나무가 어느 정도 자라기만 하면 가차 없이 잘라 각종 농기구를 만드는 재료로...
- 시대 :
- 현대
- 문화재 지정 :
- 천연기념물 제470호
- 서식지 :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149-2번지
- 성격 :
- 식물, 목본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20m, 가슴높이 줄기둘레 4.68m
- 분야 :
- 과학/식물
- 수명 :
- 350년
- 개화기 :
- 4월 중순∼5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물푸레나무 쉬청나무, Korean ash새가지끝, 원추화서 꽃받침은 4열 화관은 없음 과실은 시과, 9월 성숙, 길이는 2-4cm, 피침형 용도 약용 : (수피) 소염과 진통작용 그리고 세균성 이질에 유효하다. 성분 aesculin, fraxetin, tannin 등이 들어있다. 특기사항 천연기념물 제286호-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무건리 465, 파주 적성면의 물푸레나무 참고문헌
- 분류 :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서식지 :
- 산록이나 골짜기의 개울가
- 학명 :
-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 본초명 :
- 진피(秦皮)
- 분포지역 :
- 한국(전국), 만주, 중국
- 근연식물 :
- 들매나무
-
파주 무건리 물푸레나무 坡州 武建里 물푸레나무9.4m이다. 나무의 나이는 150년 정도로 추정된다. 이 나무는 물푸레나무로서는 노거목에 속하는데, 특히 줄기가 이만큼 굵게 되는 것은 드문 일이다. 물푸레나무의 가지는 예로부터 보리와 밀을 타작할 때 쓰는 도리깨의 회초리로 쓰여서 우리 농경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겠다. 줄기 껍질에는 형광을 내는 성분...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물들메나무 지리산물푸레나무, Jirisan ash건축재로서 적당하며 생장이 왕성하고 맹아력이 좋아 하천변의 조림수로 적당하다. 보호방법 •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유사종 • 들메나무 : 잎은 우상복엽으로 작은잎자루가 없으며, 기부근처에 적갈색의 털이 밀생하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하여 그루터기에서 힘찬 맹아가 올라온다. • 국내에만...
- 분류 :
- 물푸레나무목 >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속
- 학명 :
- Fraxinus chiisanensis Nakai
- 개화기 :
- 5월
-
지리들메나무 물푸레들메나무생물학적 특징 낙엽활엽 교목, 높이는 30m 가지는 녹갈색, 동아는 암갈색 잎은 대생, 우상복엽, 소엽은 7장, 소엽병이 없음, 타원상 난형, 점첨두, 예저, 길이 7~22㎝, 표면은 암녹색, 무모, 이면은 연녹색, 맥상에 털이 존재 꽃은 5월 개화, 2가화, 전년지 엽액에 총상화서, 수꽃은 2개의 수술, 암꽃은 2개의 수술과...
- 분류 :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학명 :
- Fraxinus x chiisanensis Nakai
- 분포지역 :
- 한국(지리산)
- 근연식물 :
- 들메나무, 물푸레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