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과 바다사자과, Otariidae
    기각아목의 한 과. 바다사자과라고도 함.|바다사자 또는 물개라고 불리는 동물들 6속 1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평양·남대서양·남인도양 지역의 극·온대·아열대의 바다에서 생활한다. 뒷지느러미를 사용하므로, 일반적으로 물범과보다 육상에서의 이동이 자유롭다. 겉귀가 뚜렷하며 목이 긴 편이고, 몸빛깔은 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포유류
  • Eared seal 물개과, アシカ科
    An eared seal or otariid or otary is any member of the marine mammal family Otariidae, one of three groupings of pinnipeds. They comprise 15 extant species in seven genera (another species became extinct in the 1950s) and are commonly known either as sea lions or fur seals, distinct from true sea...
  • 바다사자과 (관련어 물개과) Eared seal, アシカ科
    생물 분류 바다사자과(Otariidae)는 물개, 바다사자, 강치 등을 포함하는 해양 포유류다. 물개아과 (Arctocephalinae) 북방물개속 (Callorhinus) 북방물개 (Callorhinus ursinus) 남방물개속 (Arctocephalus) 남극물개 (Arctocephalus gazella) 과달루페물개 (Arctocephalus townsendi) 후안페르난데스물개 (Arctocephal...
    도서 위키백과
  • 물방개과 Dytiscidae
    속에 사는 딱정벌레 무리의 특징 본디 딱정벌레 무리는 육생 곤충으로 발달해 왔는데, 일부의 것은 물가나 속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물방개, 땡땡이, 물매암의 무리이다. 이들 무리는 유충, 성충 모두가 수면이나 속에 살며, 그 환경에 알맞은 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몸은 타원형...
    분류 :
    딱정벌레목(Coleoptera)
  • 끈끈이귀개과 Droseraceae
    곤충을 잡을 수 있다. 약 100종이 전세계에 퍼져 자란다. 우리나라에는 끈끈이귀개속 한 속 만이 있는데 끈끈이주걱·긴잎끈끈이주걱·끈끈이귀개 등 3종이 속한다. 끈끈이주걱은 해가 잘 비치며 이 약간 고여 있는 곳에서 잘 자라며 긴잎끈끈이주걱은 북한지방에서, 끈끈이귀개는 남쪽지방의 바닷가 근처에서 자란다.
  • 물방개과 Dytiscidae, ゲンゴロウ科
    생물 분류 물방개과는 딱정벌레목의 한 과이다. 한자어로는 용슬(龍蝨) 또는 지별충(地鱉蟲)이라고 하며 복수(複數) 표준어인‘선두리’로 부르기도 한다. 전...물방개등의 21속 51종이 있다. 물방개처럼 에서 사는 딱정벌레목에는 물맴이류와 땡땡이류, 그리고 진드기류가 있다. 물방개는 딱지날개(겉날개) 아래...
    도서 위키백과
  • 외투조개과 Limidae, 狐蛤科
    생물 분류 외투조개과(Limidae)는 외투조개목(Limida)에 속하는 유일한 이매패류 연체동물 과이다. 10속 130종의 현존하는 종을 포함한다. 얕은 부터 깊은 까지 모든 바다에 널리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서식지에 서식하거나 새끼를 낳으며 많은 종이 보호를 위해 옆에 집을 짓는다. 대부분의 종은 긴 외투 촉수를...
    도서 위키백과
  • 바다사자 스텔러바다사자, northern sea lion
    개요 개과에 속하는 가장 큰 해양포유류. 학명은 Eumetopias jubatus이다. 스텔라바다사자(Steller's sea lion)혹은 큰바다사자라고도 불린다. 국내에는 집단 서식지는 없지만 독도, 울릉도 연안, 제주도 등지에서 가끔 발견된다. 이들은 주로 일본 홋카이도에서 번식한다. 2017년 3월에는 강릉 정동진 앞바다의 암석...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육목 > 물개과
    원산지 :
    태평양, 아시아 (대한민국)
    먹이 :
    멸치, 오징어
    크기 :
    약 2.3m ~ 3.5m
    무게 :
    약 500kg ~ 1000kg
    학명 :
    Eumetopias jubatus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343일
    멸종위기등급 :
    높은위기
  • 바다사자류 sea lion
    뚜렷한 밑털[下毛:솜털]이 없이 짧고 굵은 털이 난 모피가 특징이다. 바다사자는 개과(→ 물범류) 특유의 작은 귀를 가지는 유연한 동물이다.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경우를 제외하고 수컷에게는 갈기가 있다. 개과의 다른 동물들처럼 바다사자류도 물범과 동물보다 긴 지느러미발을 가진다. 또 이들은 뒷지느러미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포유류
  • 물범류 seal
    갖고 태어난다. 이들 새끼의 털은 고가로 거래되는데, 어린 하프물범의 털은 특히 가치가 있다. 겉귀가 있는 물범류(eared seal:바다사자류와 물개류, 즉 개과 동물들로 7속 12종이 있음)는 겉귀가 없는 물범류보다 지느러미발이 길며, 수컷이 암컷보다 2~4배 이상 크다. 이들은 헤엄칠 때 전진을 위해 앞 지느러미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포유류
  • 물개 북방물개, 海狗
    개요 개과 또는 바다사자과에 속하는 식육목 해양 포유류의 총칭. 대개 북방물개속을 가리킨다. 네 다리를 이용해 바닷속에서 헤엄치며 주로 어류와 연체동물을 잡아 먹는다. 주로 북태평양 연안에서 서식하며 한국에는 사계절 중 겨울에 동해를 거쳐 남해와 서해 남부에 출몰한다. 형태 작고 튼튼한 머리에 목이 굵다...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육목 > 물개과
    원산지 :
    태평양
    먹이 :
    청어, 정어리, 오징어, 명태
    크기 :
    약 1.3m ~ 2.5m
    무게 :
    약 43kg ~ 270kg
    학명 :
    Callorhinus ursinus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330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 물범과 Phocidae
    이루어져 있다. 극·온대·열대 지역의 연안이나 바다에서 살고 있지만, 특히 추운 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어떤 종은 담수인 호수에서 생활한다. 개과의 종들보다 속 생활에 잘 적응되어 있어서 겉귀가 거의 없으며 뒷지느러미는 육상에서의 이동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성체가 되면 털이 거칠어지므로 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포유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