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물개물개과에 속하는 동물. 개설 한자어로는 해구(海狗)라 한다. 학명은 Callorhinus ursinus (LINNAEUS)이다. 앞뒷발이 모두 물고기의 지느러미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헤엄치기에 능숙하며 바닷속의 어류, 연체동물들을 잡아먹는다. 꼬리는 지극히 짧고 외이(外耳)도 또한 작으며 몸에는 하모(下毛)가 밀생하였다. 머리는...
- 분류 :
- 물개과
- 성격 :
- 동물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몸길이 2.5m(수컷), 몸길이 1.3m(암컷)
- 학명 :
- Callorhinus ursinus (LINNAEUS)
- 분야 :
- 과학/동물
-
물개 북방물개, 海狗식육목 해양 포유류의 총칭. 일반적으로 북방물개속을 가리키며, 북방물개 또는 해구라고도 한다. 북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며 수천에서 수만 마리가 군집을 이루고 지낸다. 18세기 무렵 모피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때는 멸종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한국에서서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IUCN 적색 ...
- 분류 :
-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육목 > 물개과
- 원산지 :
- 태평양
- 먹이 :
- 청어, 정어리, 오징어, 명태
- 크기 :
- 약 1.3m ~ 2.5m
- 무게 :
- 약 43kg ~ 270kg
- 학명 :
- Callorhinus ursinus
- 식성 :
- 육식
- 임신기간 :
- 약 330일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
물개 온눌수생태적 특징 물개는 우리나라에서 겨울에 동해를 거쳐 남해 또는 서해 남부에 나타난다. 여름과 가을에 바위 지역의 해변에서 서식하며 대부분 시간을 바다에서 보낸다. 주로 오징어, 청어, 명태, 정어리 등 어류와 갑각류 등을 잡아먹는다. 일반적 특징 태어날 때에는 검은색이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등 면은 짙은 갈색 ...
- 분류 :
- 척색동물문 > 포유강 > 식육목 > 바다사자과 > 물개속
- 학명 :
- Callorhinus ursinus
-
물개 온눌수, fur seal형태 몸 색깔은 수컷은 흑갈색, 암컷은 어두운 회색으로 배 부위가 밝은 회색 또는 밤색이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 색깔은 검은색이다. 피부 표면은 부드럽고 빽빽이 나 있는 속털과 거세고 조잡하게 나 있는 바깥 털로 덮여있으며 앞다리의 발목 부분까지 나 있다. 코는 끝이 짧고밑을 향하고 있으며, 뾰족한 모양이다....
- 분류 :
- 포유류 > 식육목 > 바다사자과
- 서식지 :
- 외딴섬, 바닷가
- 먹이 :
- 오징어, 정어리, 아귀, 넙치, 가오리 등
- 크기 :
- 태어날 때의 몸길이 0.7m, 몸무게 4.5~6kg. 성숙한 암컷의 몸길이 1.3~1.6m, 몸무게 35~60kg. 성숙한 수컷의 몸길이 1.9~2.3m, 몸무게 185~275kg
- 학명 :
- Callorhinus ursinus
- 멸종위기등급 :
- 2급
- 분포지역 :
- 북위 42도 이북의 북태평양 동서 연안 및 해양의 섬 지역, 우리나라에는 겨울에만 동해를 거쳐 남해 및 황해 남부에 나타남.
-
물개를 위한 국제 행동의 날 International Day of Actio..정의 모피 등 상업적인 이유로 벌어지는 물개 사냥에 대한 국제적 연대를 통한 항의와 생태계 보호를 위해 제정된 기념일. 매년 3월 15일이다. 제정 목적 '물개를 위한 국제 행동의 날'은 상업적인 물개 사냥에 대하여 국제적인 항의를 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유래와 역사 물개는 물개과 또는 바다사자과에...
- 분류 :
- 기념일, 비공휴일
- 날짜 :
- 매년 3월 15일
-
우암물개 牛岩─생태 북한 천연기념물 제339호. 우암 물개 무리는 초가을부터 다음해 봄까지 두만강 하구와 우암 앞바다의 넓은 구역에서 산다. 이곳은 옛부터 우리 나라의 큰 물개 도래해역 또는 서식처로 알려져 왔다. 하구에는 여러 가지 물고기가 서식하는바 특히 가을에는 명태떼가 들어오고 여름에는 송어떼가 모여든다. 물개는...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339호
- 서식지 :
- 함경북도 나진, 선봉군 우암리 연안
- 성격 :
- 동물, 물개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수컷 몸길이 150∼250㎝, 암컷 몸길이 130∼170㎝
- 분야 :
- 과학/동물
-
물개구리밥 만강홍, Mosquitofern복용한다. <외용> :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거나 또는 濕布(습포)한다. ⑤금기 : 表虛自汗(포허자한)인 자는 복용을 금한다. ⑵滿江紅根(만강홍근) : 물개구리밥의 뿌리. ①약효 : 潤肺(윤폐), 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폐로병(폐병)을 치료하고 또 發汗(발한), 利水(이수)하는 효능은 麻黃(마황)과 같은 것으로...
- 분류 :
- 생이가래목 > 생이가래과 > 물개구리밥속
- 학명 :
- Azolla imbricata (Roxb.) Nakai
-
물때까치 물개구마리, chinese grey shrike서식 몽골, 러시아 극동, 중국 중북부와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동부와 동남부에서 월동한다. 2아종으로 분류한다.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찾아오는 겨울철새이며 나그네새다. 9월 초순부터 도래해 통과하거나 월동하며,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단독으로 생활한다. 습지, 하천, 넓은 초지, 평지 등지...
- 분류 :
- 때까치과(Laniidae)
- 서식지 :
- 몽골, 러시아 극동, 중국 중북부와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동부와 동남부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31cm
- 학명 :
- Lanius sphenocercus Chinese Grey Shrike
-
물개발나물분포지역 전국 각처에 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m 잎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기수 1회우상복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위로 올라갈수록 엽병과 잎이 모두 작아지며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소엽은 7-9개로서 길이 3-10cm, 폭 1-3cm이고 좁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 꽃은 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 분류 :
- 산형화목 > 산형과 > 개발나물속
- 학명 :
- Sium suave var. nipponicum (Maxim.) Hara
- 개화기 :
- 8월
-
홍어 나무쟁이, 洪魚개요 몸길이가 1.5m 정도 나가는 가오리과의 바닷물고기이다. 모양은 마름모꼴로 가오리와 비슷하나 더 둥글고 가로로 퍼져 있다. 주둥이는 비교적 짧고 가슴지느러미 기부에는 둥근 반점과 반점 안에 흑갈색 점이 있어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수심 10-100m 내외의 연안 갯벌 바닥에 서식하며 무척추동물을 먹고 산다...
- 분류 :
- 척삭동물문 > 연골어강 > 홍어목 > 홍어과 > 홍어속
- 서식지 :
- 수심 10-100m 내외의 연안에 개펄 바닥
- 학명 :
- Okamejei kenojei (Müller & Henle, 1841)
- 국내분포 :
- 서해와 남해, 제주도, 동해
- 해외분포 :
- 일본, 동중국해, 오호츠크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