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호개방정책 門戶開放政策, Open Door Pol..
    미국이 중국과 교역하는 열강 사이의 기회균등원칙을 보장하고 중국의 영토적·행정적 보전을 위해 취한 외교선언(1899, 1900).|미국의 국무장관 존 헤이가 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일본·러시아에 발송하는 회람서한 형식으로 발표했다. 이 정책은 미국에서 거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고 40년이 넘도록 미국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문호개방정책 Open Door Policy, 門戸開..
    문호개방정책(門戶開放政策, 평등한 상업 및 공업 활동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회균등과 같은 뜻이며 정치학적으로는 하나의 국제정책의 원리다. 어원은 1899년 미국 국무장관 존 헤이가 중국의 문호개방을 주장하여 워싱턴 회의(1921 - 22년)에서 정해진 9개국 조약에 의하여 규정한 것에서 유래한다. ...
    도서 위키백과
  • Open Door Policy 문호개방정책, 門戸開放政策
    The Open Door Policy is a term in foreign affairs initially used to refer to the United States policy established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as enunciated in Secretary of State John Hay's Open Door Note, dated September 6, 1899 and dispatched to the major European powers...
  • 중국의 개혁 ・ 개방
    개혁이란 자유 시장과 자본주의를 받아들인다는 뜻이고, 개방이란 중국이 국제 시장에 문호개방하겠다는 의미였다. 이후 농촌에서는 농민들에게 토지를...도입됐으며, 공업 분야에서도 개인이 소유한 민영 기업들이 속속 설립됐다.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권한도 중앙 정부로부터 지방 정부로 넘어갔다. 선전...
    시대 :
    1978년 12월 18일
    국가/대륙 :
    아시아
  • 쇄국정책 鎖國政策
    중국과 일본 두 나라만의 사대교린정책을 시행했다. 조선 말기에 이르러 천주교가 유입되고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이 본격적으로 문호개방을 요구해오자 더욱 완강하게 쇄국정책을 폈다. 19세기 전반에 이미 산업혁명을 완료하고 근대자본주의 국가로 성장한 영국·프랑스·미국·독일 등 서구 열강은 상품시장과 원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덩샤오핑 등소평, 鄧小平
    소련을 대신해 미국, 일본과 합작하여 기술을 도입하고, 기업은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스스로 발전을 도모하게 되었다. 또한 투자에 있어서도 문호개방하여 서구의 자본이 유입되고 고등교육을 받은 엘리트가 양성됐다. 이렇게 기업가와 농민의 이윤을 보장하는 등의 자본주의적 경제 정책으로 중국 경제는 연간...
    출생 :
    1904년
    사망 :
    1997년
  • 198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7·7 북방 정책 선언
    중심으로 통일 운동이 가열된다. 노태우 대통령은 7월 7일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대통령 특별 선언’을 통해 북한과 중국 · 소련에 대해 문호 개방의 뜻을 밝힌다. 이 선언은 북한의 대화 방침과 맞물려 국회 회담 등 남북 대화의 촉매제가 되고, 사회주의권 국가와의 경제 교류 및 수교를 도모하는 등 북방...
    시기 :
    1988년
  • 육이삼평화통일외교정책선언 六二三平和統一外交政策宣言
    추구하는 상황에서 외교의 지평을 확대하는 한편 북한의 대서방권 진출 움직임에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이 같은 호혜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대공산권 문호 개방은 1980년대 후반 탈냉전 시대의 도래와 함께 북방정책의 추진으로 연결이 된다. 「6·23선언」에 대해 북한은 “‘2개 조선’ 조작 책동이고 분열주의 노선...
    시대 :
    현대
    발생 :
    1973년 6월 23일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경제 經濟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기선과 무기의 우수성을 높이 찬양하여 국내의 기술자에 명하여 그 제조를 종용한 적은 있으나, 적극적인 문호개방은 단행하지 않고 쇄국정책을 엄중히 지켜왔다. 한편, 일본은 1854년 미일화친조약(美日和親條約)을 체결하고, 1868년 절대왕권인 메이지정권(明治政權)을 세우면서 서구...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경제
  • 통상 수교 거부 정책 通商修交拒否政策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고수하여 중국과 일본 두 나라만의 사대교린 정책을 시행했다. 조선 말기에 이르러 천주교가 유입되고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이 문호 개방을 강력하게 요구해 오자 흥선 대원군은 더욱 완강하게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폈다. 그러나 조선에서 흥선 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의 친정이 시작된 틈을 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흥선대원군 이하응, 이하응
    일이다(洋夷侵犯非戰則和主和賣國).”라는 글을 새겨 놓았다. 흥선대원군의 쇄국 결의가 얼마나 단호했던가를 짐작하고도 남는다. 쇄국 정책으로 인해 조선은 근대화와 문호 개방이라는 새로운 사태에 대응할 만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국제 무대에서 완전히 고립 상태에 놓였고 외래 문명의 흡수가 늦어지게 되었다...
    출생 :
    1820년
    사망 :
    1898년
  • 북한 North Korea, 北韓
    접촉의 문호가 열렸다. 곧이어 자주 · 평화 · 통일 · 민족대단결의 3대원칙 하에 통일을 추진한다는 ‘7 · 4공동성명’이 발표되었으며 남북조절위원회를...정치적 해결을 강조하였다. 1973년 6월 23일 대한민국에서 ‘평화통일외교정책선언’이 천명되자, 북한은 같은 날 ‘평화통일5대강령’을 발표하였다. 그것은...
    시대 :
    현대
    위치 :
    한반도 북부
    유형 :
    지명
    면적 :
    12만 3138㎢
    분야 :
    역사/현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