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형 형태시, 紋型詩
    낱말이 가진 감정적인 내용을 표현·확대시키기 위해 행이나 활자를 배열한 .|형태시(shaped poetry)·입체(cubist poetry)·구체시(concrete poetry)·모형라고도 부른다. 고대(동양으로 추측)에 기원을 둔 이 시형태는 〈그리스 사화집 Anthology〉(980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시집에 실린 1편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문형권점록 文衡圈點錄
    문형의 임명 방법은 전임자가 후임자를 천거해 자대(自代)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중종조 이후 전임 문형이 천거한 후보자를 삼공(三公)과 육경(六卿) 및...낙점을 받은 사람 밑에 '낙점(落點)'이라 쓰고 있다. 이들은 대개 회권(會圈) 최고점을 받은 사람이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1659년(효종...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인명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42장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구체시 具體詩, concrete poetry
    1950년대의 세계적인 운동이었던 구체주의에서 나온 것으로, 종종 어의적 의미나 음질은 무시한 채 공간적인 도안을 강조하며, 색채를 쓰거나 인쇄 외의 다른 매체를 쓰기도 했다.→ 문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수향편 袖香編
    鐘造成之數)·입황성시사신승마지규(入皇城時使臣乘馬之規)·상교하불감인의(上敎下不敢引義)·중전조현지례(中殿朝見之禮) 외 46편, 권5에 문형창수(文衡唱酬詩)·서죽석참(徐竹石詩讖)·이영변시참(李寧邊詩讖)·죽석논서법(竹石論書法)·죽석논제가서(竹石論諸家書) 외 70편, 권6에 경도위서울(京都謂徐菀)·기미...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원용(鄭元容)
    창작/발표시기 :
    1854년(철종 5)
    성격 :
    예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6권 3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고려대학교 도서관
  • 권유 퇴보(退甫), 權愈
    그와 이서우(李瑞雨) 두 사람을 놓고 얼른 선택을 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명사들이 모인 자리에서 운을 내어 재주를 시험하자, 그가 즉석에서 를 지어 좌중을 놀라게 하여 문형에 올랐다고 한다. 예문관대제학 때 『인경왕후지』를 저술하였고, 조선 태조로부터 현종까지 역대 임금들의 열성어제(列聖御製) 편찬에...
    시대 :
    조선
    출생 :
    1633년(인조 11)
    사망 :
    1704년(숙종 30)
    경력 :
    대사간, 예문관대제학, 지경연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인경왕후지, 열성어제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안동(安東)
  • 국조고사 國朝故事
    淸白吏)·국조호당(國朝湖堂)·기사보유(耆社補遺)·국조필원(國朝筆苑)·국조가(國朝詩家)·문헌록(文獻錄)·부자작상(父子作相) 등으로 되어있다. 계속해...孫三世生存時及第)·연삼세위상(連三世爲相)·연사세기사(連四世耆社)·삼세문형(三世文衡)·국조생진장원(國朝生進壯元)·진사급제중시장원(進士及第重試...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서거정 자원(子元), 강중(剛中), 徐居正
    知事)를 거쳐, 다음 해 발영시(拔英試)에 을과로 급제, 예조참판이 되었다. 이어 등준(登俊試)에 3등으로 급제해 행동지중추부사(行同知中樞府事)에 특가(特加...찬수에도 참가하였다. 1467년 형조판서로서 예문관대제학·성균관지사를 겸해 문형(文衡)을 관장했으며, 국가의 전책(典冊)과 사명(詞命)이 모두 서거정의...
    시대 :
    조선
    출생 :
    1420년(세종 2)
    사망 :
    1488년(성종 19)
    경력 :
    홍문관부수찬, 공조참의, 예조참판, 형조판서, 좌참찬, 좌찬성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오행총괄, 동국통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대구(大丘)
  • 그림이 된 고소설, 구운몽도
    김진규는 문형, 즉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이로 김만중의 형인 김만기의 아들이니 만중이 작은아버지다. 여하간 이때 영조의 나이는 67세이니 그럴 만도 하지만, 옆에서 거드는 홍봉한은 참 맥없다. 차라리 모른다고 하면 될 것을. 그런데 영조가 〈구운몽〉을 “좋은 글이야!”라고 극찬한 것은 주시할 필요가 있다...
  • 대동장고 大東掌攷
    文衡)·문형권점록(文衡圈點錄 : 선조 이후) 등으로 되어 있다. 제4책은 문임고(文任攷)·호당고(湖堂攷)·옥서고(玉署攷)·강관고(講官攷)·국자고(國子考), 제5책은 중서고(中書攷 : 舍人·檢詳·銓郎攷), 제6책은 내한고(內翰攷) 등으로 되어 있다. 제7책은 융원고(戎垣攷 : 訓將·別將)·기사고(耆社攷)·휴퇴고...
    시대 :
    조선
    저작자 :
    홍경모
    창작/발표시기 :
    순조 연간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3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대관재몽유록 大觀齊夢遊錄
    이인로(李仁老)·권근(權近)·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유방선(柳方善)·강희맹(姜希孟)·김종직(金宗直)이며, 이색이 대제학으로서 문형(文衡)을 맡고 있다. 주인공은 규벽부(奎壁府)를 관장하며 (詩)의 온당함을 논하고 자신의 시론(詩論)을 인정받는다. 그는 당률(唐律)에 혹탐(酷耽: 아주...
    시대 :
    조선
    저작자 :
    심의(沈義)
    창작/발표시기 :
    조선 중종 연간
    성격 :
    한문소설
    유형 :
    작품
    권수/책수 :
    24면
    분야 :
    문학/한문학
  • 지포집 止浦集
    1에 실린 김구의 가운데에 칠언고시의 「과서경(過西京)」·「과철주(過鐵州)」와 칠언절구의 「조원각경(嘲圓覺經)」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문선』에 수록...말이 공교롭고 화미(華美)하나 넓고 깊고 기운차지 못하다. 오랫동안 문형(대제학)을 잡은 김구는 자연히 왕명에 의하여 글을 짓는 응제록이 많다. 이 글...
    시대 :
    고려
    저작자 :
    김구(金坵)
    창작/발표시기 :
    1801년(순조 1)(간행), 1973년(영인간행)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2책
    간행/발행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1973)
    분야 :
    문학/한문학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이암유고 頤菴遺稿
    당대 문형에 오를 만한 대문장가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인은 서예 방면에서도 당대 이름이 있었는데, 특히 해서와 예서에 뛰어났다고 전한다. 이식은 그가 어떤 체에 능한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글씨의 품격만을 논하였다. 그러나 신익성은 ‘조맹부의 체를 본받았는데, 해서에 더욱 뛰어났다.’라고 했고...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유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