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97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치수 열린 비평의 태도에게서 무엇보다 두드러지는 것은 열린 비평의 태도다. 열린 비평의 태도는 자유로운 정신의 모험과 다양성을 낳는다. 1970년대 이래 그는 누보 로망과 문학 사회학, 구조주의와 형식주의, 그리고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 이론에서 비평 체계의 전거를 길어올린다. 김치수는 전북 고창에서 태어난다. 서울대학교...
- 출생 :
- 1940년
- 사망 :
- 2014년
-
문학 文學김윤식은 다양한 방법론적 관점을 가지고자 하였다. 해석학적 방법, 정신분석학적 방법, 의식비평(意識批評) 같은 것들도 관심의 대상으로 등장하였으며, 문학사회학적 연구도 시도되었다. 제4기에서 제5기로 전환되는 계기는 국문학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정리하자는 움직임이 광범위하게 나타난 것이다. 그 결과 제3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196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현 비평의 ‘뜨거운 상징’ 또는 영원한 상징바슐라르 연구』(곽광수와 공저, 1976) · 『현대 비평의 혁명』(1979) · 『프랑스 비평사 : 현대편』(1981) · 『프랑스 비평사 : 근대편』(1983) · 『문학 사회학』(1983) · 『제네바학파 연구』(1986) · 『르네 지라르 혹은 폭력의 구조』(1987) · 『미셸 푸코의 문학 비평』(1989) · 『시칠리아의 암소』(1990...
- 출생 :
- 1942년
- 사망 :
- 1990년
-
문학과 총체적 인간의 파악 文學─ 總體的 人間─ 把握동인으로 활동했으며, 1970년 김병익·김주연·김치수 등과 함께 계간 문예지 <문학과지성>을 창간하여 한국 문단의 한 축을 담당했다. 프랑스 현대 문학 사조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을 깊이 있게 비평했으며, <존재와 언어>·<상상력과 인간>·<문학 사회학>·<책읽기의 즐거움>·<책읽기의 괴로움> 등의 평론집을...
-
199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도시’, 새 문학의 징후와 맥락1990년대에 들어 문학 · 사회학 · 철학 · 예술 분야는 물론 자연 과학 분야에까지 확산된 포스트모더니즘 문화 이론은 우리의 도시 / 환경, 주체의 문학 논의에 새로운 활로를 열어줄 것인가. 지금까지 여러 논자에 의해 포스트모더니즘 이해의 전제가 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이론, 본질 및 철학적 시원(始原...
- 시기 :
- 1990년
-
외국문학 外國文學, Foreign Literature아프리카 등 제3세계문학, 러시아 문학을 활발히 소개하였다. 창간호 특집으로 ‘아방가르드 문학이론의 쟁점’을 소개한 후, 제3세계 문학, 아도르노와 루카치의 문학사회학, 정신분석학 이론, 신역사주의, 미셸 푸코, 포스트모더니즘론, 페미니즘 문학론, 생태주의 문학론, 수용미학, SF문학, 문화연구 등 외국문학...
- 시대 :
- 현대
- 창작/발표시기 :
- 1984년 6월~1998년 3월
- 성격 :
- 잡지, 외국문학전문계간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통권 54호
- 간행/발행 :
- 전예원, 열음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