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체론 文體論음성·단어·문장 등의 각 층위에서의 언어적 선택 및 그 효과와 이유를 다루는 학문. 내용 언어학과 문학 사이를 중재하는 학문영역으로서 자율성을 가진 분야로 독립되어 있지는 않다. 고대 수사학 이래 언어의 표현문제에 관심을 두어온 전통 수사학의 맥락에서 쓰인 문체(style)라는 용어와는 달리, 문체론이라는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Stylistics 문체론, Stylistics (field of study)Stylistics is the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exts in regard to their linguistic and tonal style. As a discipline, it links literary criticism to linguistics. It does not function as an autonomous domain on its own, but it can be applied to an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journalism as well a...출처 영어 위키백과
-
어순 語順문중에서의 어순은 문두(文頭)·문중(文中)·문미(文尾)로 구분한다. 한편 내용면에서 어순이 갖는 가치는 문법적 가치, 의미적 가치 그리고 표현 및 문체론적 가치로 크게 나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법적 가치 영어·중국어들은 이 가치가 비교적 엄격히 나타나는 언어지만, 국어는 이들에 비하여 자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
러시아 고전주의 문학의 발생활동을 시작했는데 이것은 러시아에서 출판된 최초의 연애물이었다. 그는 또한 러시아 작시법의 개혁에도 기여해 러시아 신고전주의를 특징짓는 유명한 '3문체론'을 제창했다. 그의 기준에 따르면 '고문체'(高文體)는 영웅시와 송시에, '중문체'는 구어를 사용하는 드라마에, '저문체'는 희극·경구·가요·산문으로...
-
호고재집 好古齋集隨聞補忘錄)」은 시·서·성리학·역사·일화 등에서 얻은 자기 나름의 지식을 적어놓은 것으로, 18가지의 짧은 기록이나 독특한 정보들이다. 「팔대가문체론(八大家文體論)」은 저자의 호고취향(好古趣向)을 잘 보여주는 글로서, 문체를 물에 비유하여 진원(眞源)은 방당(方塘) 지수(止水)한 사서오경에 있다 하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상구
- 창작/발표시기 :
- 1912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이세연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연세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