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장 文章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언어단위. 내용 문(文) 또는 월이라고도 한다. 문장이라는 용어에는 두가지 개념이 있다. 하나는 문자언어로 표현된 수사학적 단위라는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문법학적 단위라는 개념이다. 흔히, 수사학적 개념으로서의 문장은 글월, 문법학적 단위로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문장 文章『문장』은 1939년에 이병기, 이태준, 정지용이 편집을 맡아 창간된 문예 잡지이다. 식민지 후반기의 대표적 문학 잡지이며 ‘조선적인 것’, ‘조선적 전통’을 발견하려는 지향을 드러냈다. 학술적 탐구, 정전의 제시, 창작적 실천 등을 통해 조선의 문학적·문화적 전통을 확립하고 재생하려 시도했다. 고전 관련 글...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연속간행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문장 도감(都監), 門長한 문중을 대표하여 이끌어 가는 대표자. 도감·도청·도도감·도도청. 내용 문장은 대개 한 문중에 한 명이 있으나, 규모에 따라 대문장과 문장들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문장은 두 가지 방식에 의하여 추대된다. 보편적인 것은 항렬이 높은 사람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어른을 추대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식은 학식·항...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가족
-
문장 STMCMD, statement프로그램의 구성요소로서, 실행이나 선언의 단위가 되는 것. 프로그램 언어에 따라서는 Fortran과 같이 그것들을 실행문과 비실행문으로 나누어서 취급하는 언어도 있는데, 실행의 단위인 구문요소를 특히 문장이라 하고, 프로그램의 기술에 쓰는 대상의 성질을 말하는 것을 선언(declaration)이라 하여 구별하는 언어도...
- 분야 :
- 소프트웨어 기초, 프로그램 언어, 소프트웨어 설계법
-
문장 文狀조선시대 공형·아전 등이 관부(官府)에 올리는 문서양식. 개설 공형은 지방향리의 대표격인 호장(戶長)·이방(吏房)·수형리(首刑吏), 즉 삼공형(三公兄)을 지칭하는 것인데, 문장은 공형이 공사(公事)로 다른 지방의 수령(守令)이나 병사(兵使)·수사(水使)·관찰사(觀察使) 등에게 보고할 때 쓰는 문서양식이다. 내...
- 시대 :
- 조선
- 성격 :
- 문서양식
- 유형 :
- 문헌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문장〉과 〈인문평론〉 쳬계적이고 공정한 등단..『인문평론』의 권위, 『문장』의 신인 추천제 1930년대는 침략 전쟁에 광분한 일제의 폭압 속에서도 우리 작가들의 창작 욕구가 화산 분출처럼 터져 나온 연대다. 신인들은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 같은 일간지의 신춘 문예 공모에 응하는 것 외에도 자신의 글을 게재할 지면을 얻기 위해 잡지 투고와 동인지 ...
- 시기 :
- 1939년
-
문장 文章, statement①프로그램 작성 언어에서, 일련의 동작들의 한 단계 또는 한 조의 선언을 나타내는 구문상의 구성 요소. 보통 그 언어의 문맥 내에서는 완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보통 어느 프로그램의 각 행은 하나의 개별적인 문장이며, 하나의 개별적인 명령(instruction)으로 간주된다. 프로그램 작성 언어에 따라서 문장의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