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법범주 文法範疇, grammatical category
    문법적으로 구분되는 현상을 하나로 묶은 묶음.|문법단위들이 어떤 문법적 직능을 나타낸다고 할 때, 그 직능들을 몇 가지 묶음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가령 명사·동사·부사 등은 품사라는 범주로 묶을 수 있고, '-었-'이 나타내는 과거라는 문법적 직능은 현재나 미래 등과 묶어 시제라는 범주로 묶을 수 있다. 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문법 범주 (관련어 문법범주) Grammatical category, ..
    문법 범주 문법 범주(文法範疇, 하나의 문법 범주에는 여러 값이 속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문법 범주에 속한 값들은 상호 배타적이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값을 가지는 것은 불가능하다.웹 인용 흔히 접할 수 있는 문법 범주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시제: 시간 속에서 사건의 위치를 나타낸다. 과거시제, 현재시제, ...
    도서 위키백과
  • 문법변화 文法變化
    거·’ 등이 접속어미 등에서 그 형태를 현대어에도 일부 남기고 있기는 하지만, 중세어와 같은 선어말어미로서의 생산적인 활용기능을 잃은 것도 문법 범주의 소멸과 유관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국어의 문법변화에는 어순의 변화와 같은 통사론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기술되고 있다. 다만, 형태소의 기능...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전통문법 傳統文法
    문법이 연구되었는데 디오니시우스 트락스(Dyonysius Thrax)는 최초의 체계적인 문법서라고 할 수 있는 『문법학(Théchnē grammatikē)』에서 여러 문법 범주들을 기준으로 하여 그리스어의 품사들을 분류하였다. 이후 로마인들은 그리스 희랍어의 문법이론과 용어를 그대로 라틴어에 적용하였는데 도나투스(Donatus...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시제 時制, tense
    범주가 영어와는 다른 대응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시제와 비근접시제, 현재시제와 비현재시제 등이 있다. 그러나 영어에서 시제라는 문법범주는 과거와 비과거라는 2가지 시제의 대응으로 시간의 존재론적 개념을 나타낸다. 비과거 시제는 시제를 '지정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현재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문법 文法
    할 수 있는 것이다. 어말어미는 문장을 종결시키거나 자격을 바꾸는 등의 기능적 관계를 표시하지만, 선어말어미는 높임법·시제·서법과 같은 특수한 문법 범주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선어말어미들은 놓이는 자리가 일정하다. ‘시’는 ‘었’에 앞서고, ‘었’은 ‘느’에 앞선다. 순서를 바꾸면 형태구조가 파괴...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추론문법 推論文法, speculative grammar
    현실을 반영한다는 믿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믿음에 따라 추론문법학자들은 언어의 차이점인 '우연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보편문법을 추구했다. 이 문법범주는 논리학·인식론·형이상학 등과 상호연관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명사와 대명사는 형이상학적 범주인 '영속성'을 표현하고, 동사와 분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조선어문법 朝鮮語語法
    나누고, 품사에서는 명사·수사·대명사·동사·형용사·관형사·부사·상징사·감탄사 등으로 나눈 후 하위 분류와 특징을 덧붙였다. 또 단어의 문법적 형태와 문법범주를 논하면서 격토·도움토·복수토·종결토·접속토·수식토·시칭토·규정토·존칭토·전성토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장론...
    시대 :
    현대
    저작자 :
    동북3성 조선어문위원회
    창작/발표시기 :
    1983년
    성격 :
    문법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조선어문법이론 조선어문법리론
    대한 문제, 전이성과 비전이성 문제 등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기술하면서 그 차이점을 지적했다. 형태론에서는 단어의 형태와 토(조사와 어미), 문법적 의미와 문법범주에 대해 주로 논의하였으며 특히 토를 둘러싸고 논의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토의 분류에 대해서는 정열모, 박상준, 박창해...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귀배(李貴培), 리귀배
    창작/발표시기 :
    1988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415쪽)
    간행/발행 :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어미 語尾
    다른 활용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는 국어의 직관에 맞지 않는 설명이라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 문제는 종래의 학교문법에서는 이들을 피동·사동의 접미사와 같은 범주로 묶어 '보조어간'이라는 이름으로 다루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활용체계에서 나타나는 '어간+선어말어미'의 구성을 제2의 어간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동사 움직씨, 動詞
    구별한다. 보조동사는 형식상으로는 앞에 있는 동사로부터 꾸밈을 받는 위치에 있지만 통사의미적으로는 선행동사를 보조하여 부정법, 피동·사동법 등의 문법범주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동사와 보조동사의 식별은 우선 선행동사를 제거해도 문장이 성립되는지 안 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다. 예컨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고급국어문법독본 신편고급국어문법
    있다. 단지, 각 과마다 연습 문제를 두지 않아 문법 교과서보다는 문법서에 가까운 형식을 보인다. 전체 내용에서는 문장을 해석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낱뜻’으로 처리하고 있는데, 이러한 ‘감말’과 ‘낱뜻’은 어절 범주와 형태소와 유사하다. 또한 ‘으뜸낱뜻’과 ‘도움낱뜻’의 구분에 어기와 접사...
    시대 :
    현대
    저작자 :
    정열모
    창작/발표시기 :
    1948년
    성격 :
    교과서, 문법교과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고려서적주식회사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