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법변화 文法變化거·’ 등이 접속어미 등에서 그 형태를 현대어에도 일부 남기고 있기는 하지만, 중세어와 같은 선어말어미로서의 생산적인 활용기능을 잃은 것도 문법 범주의 소멸과 유관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국어의 문법변화에는 어순의 변화와 같은 통사론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기술되고 있다. 다만, 형태소의 기능...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전통문법 傳統文法문법이 연구되었는데 디오니시우스 트락스(Dyonysius Thrax)는 최초의 체계적인 문법서라고 할 수 있는 『문법학(Théchnē grammatikē)』에서 여러 문법 범주들을 기준으로 하여 그리스어의 품사들을 분류하였다. 이후 로마인들은 그리스 희랍어의 문법이론과 용어를 그대로 라틴어에 적용하였는데 도나투스(Donatus...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법 文法할 수 있는 것이다. 어말어미는 문장을 종결시키거나 자격을 바꾸는 등의 기능적 관계를 표시하지만, 선어말어미는 높임법·시제·서법과 같은 특수한 문법 범주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선어말어미들은 놓이는 자리가 일정하다. ‘시’는 ‘었’에 앞서고, ‘었’은 ‘느’에 앞선다. 순서를 바꾸면 형태구조가 파괴...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조선어문법 朝鮮語語法나누고, 품사에서는 명사·수사·대명사·동사·형용사·관형사·부사·상징사·감탄사 등으로 나눈 후 하위 분류와 특징을 덧붙였다. 또 단어의 문법적 형태와 문법적 범주를 논하면서 격토·도움토·복수토·종결토·접속토·수식토·시칭토·규정토·존칭토·전성토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장론...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동북3성 조선어문위원회
- 창작/발표시기 :
- 1983년
- 성격 :
- 문법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어문법이론 조선어문법리론대한 문제, 전이성과 비전이성 문제 등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기술하면서 그 차이점을 지적했다. 형태론에서는 단어의 형태와 토(조사와 어미), 문법적 의미와 문법적 범주에 대해 주로 논의하였으며 특히 토를 둘러싸고 논의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토의 분류에 대해서는 정열모, 박상준, 박창해...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귀배(李貴培), 리귀배
- 창작/발표시기 :
- 1988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415쪽)
- 간행/발행 :
-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고급국어문법독본 신편고급국어문법있다. 단지, 각 과마다 연습 문제를 두지 않아 문법 교과서보다는 문법서에 가까운 형식을 보인다. 전체 내용에서는 문장을 해석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낱뜻’으로 처리하고 있는데, 이러한 ‘감말’과 ‘낱뜻’은 어절 범주와 형태소와 유사하다. 또한 ‘으뜸낱뜻’과 ‘도움낱뜻’의 구분에 어기와 접사...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정열모
- 창작/발표시기 :
- 1948년
- 성격 :
- 교과서, 문법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고려서적주식회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