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처소섭
    따라서 의식의 대상이라고 본다.sfnsfnsfn 수소인색(受所引色)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받아서 끌어들인 '으로, 특히 수계(受戒)를 통해 형성되는 무표(無表色) 즉 무표업(無表業), 즉 잠재력으로서의 무형의 또는 무형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으로서의 을 뜻한다. 즉, 계를 받아서 끌어들인 을 특히...
    도서 위키백과
  • (불교) Rūpa, 色 (仏教)
    말한 것이다. 따라서, 세우의 이 정의는, 달리 말하면, 은 안근·이근·비근·설근·신근의 5근(五根)과 색경·성경·향경·미경·촉경의 5경(五境)과 무표(無表色)의 1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세친의 《구사론》 등에서 언급되는, 설일체유부의 보다 더 널리 알려진 정의와 같은 말이다.sfn 설일체유부의 5위 75...
    도서 위키백과
  • 유대법과 무대법
    법체계에 따르면, 색법 즉 물질[色]에는 무표 또는 법처소섭이 포함되는데, 무표 또는 법처소섭은 그 성질이 무대(無對)이다. 따라서, 모든 물질이 유대(有對)인 것은 아니다.sfnsfnsfn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교학에서 색법 즉 물질을 분류하는 방식 가운데 유대법 유견법(有見法) 무표 또는 법처소섭...
    도서 위키백과
  • 오위칠십오법 五位七十五法
    가지로 분류된다. 감촉은 사대 원소와 부드러움・거침・무거움・가벼움・한기・배고픔・목마름 등 열한 가지로 나뉜다. 여기에 더해 유부는 색법의 하나로 무표(無表色, avijñapti-rūpa)을 들고 있다. 무표은 말 그대로 “드러나지 않은 ”이라는 뜻으로, 무표업(無表業)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유부만의 독특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율종 律宗
    (色)도 아니고 심(心)도 아닌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이라고 했으며, 상부종도 이를 따랐다. 반면에 동탑종에서는 〈구사론 俱舍論〉에 의거하여 계체를 무표(無表色)으로 보아 색법(色法)이라 했다. 그리고 남산종에서는 유식학(唯識學)에 입각하여 계체를 아뢰야식(阿賴耶識) 가운데에 생하는 마음의 종자(種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오온 오취온(五取蘊), 五蘊
    혀, 몸 등의 다섯 감관 [오근(五根)] 및 그것들 각각에 대응하는 색깔, 형태, 소리, 냄새, 맛, 감촉 등의 다섯 인식 대상〔오경(五境)〕과 비가시적 물질 현상인 무표(無表色)으로 세분된다. ②수(受, vedanā)는 여섯 감관 육근(六根)이 인식 대상과 접촉한 뒤 일어나는 수동적 반응 곧 경험[영납(領納)]이라고 정의...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교 용어 목록 (수)
    斷)) 수소성혜(修所成慧)는 수혜(修慧)의 다른 말이다. 수소인색(受所引色)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극략색 특히 수계(受戒)를 통해 형성되는 무표(無表色) 즉 무표업(無表業), 즉 잠재력으로서의 무형의 또는 무형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으로서의 을 뜻한다.sfnsfnsfnsfn 수소인색은 무표 즉...
    도서 위키백과
  • 유견법과 무견법
    등[色]은 안근[眼]으로 불 수 있으므로 가견(可見) 즉 유견(見有)이다.sfn 5근(五根)과 성진(聲塵).cw향진(香塵).cw미진(味塵).cw촉진(觸塵)의 4진(四塵)과 무표(無表色)을 비롯한 나머지 모든 법은 안근[眼]으로 볼 수 없으므로 불가견(不可見) 즉 무견(無見)이다.sfn 이 가운데, 무표(無表色)은 색진 의근을 소의...
    도서 위키백과
  • 유색법과 무색법
    五根處)와 색처(色處).cw성처(聲處).cw향처(香處).cw미처(味處).cw촉처(觸處)의 5경처(五境處)의 10처 즉 10색처(十色處)와 법처(法處)의 일부를 이루는 무표(無表色)을 통칭한다. 즉 색법(色法)을 말한다. 무색법(無色法)은 일체법을 이루는 12처(十二處) 가운데 1처와 '1처의 일부[少分]'를 통칭한다. 즉, 의처(意處...
    도서 위키백과
  • 내외
    자신 밖의 모든 것 즉 자기의 소의신 밖의 모든 것에 속하는 .cw수.cw상.cw행 또는 식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의 경우에는 5경과 법경의 법처소섭(무표)을 뜻하고, 수.cw상.cw행.cw식은 법경에서 법처소섭(무표)을 제외한 모든 것을 뜻한다.sfnsfn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마음, 즉 6식(識...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온)
    자신 밖의 모든 것 즉 자기의 소의신 밖의 모든 것에 속하는 .cw수.cw상.cw행 또는 식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의 경우에는 5경과 법경의 법처소섭(무표)을 뜻하고, 수.cw상.cw행.cw식은 법경에서 법처소섭(무표)을 제외한 모든 것을 뜻한다.sfnsfn 요별이라고 한다. 마음) 요익경(饒益境)은 이로운 대상 또는...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무)
    無對色)은 가견성(可見性)도 없고 대애성(對礙性)도 없는 물질[色]이다. 불가견무대(不可見無對色)이라고도 한다.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11가지 색법 중 무표(無表色)의 1가지 법이 무견무대색이다.sfn 무견유대(無見有對)는 무견유대색의 다른 말이다. 무견유대색과 5경(五境) 중 색경(色境)을 제외한 4경(四境...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