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용 기록 舞踊記錄法, dance notation
    춤 동작을 문자나 기호로 표기한 것.|춤 동작을 기록하려는 시도 가운데 지금까지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것은 스페인 세르베라 시(市) 공문서 보관소에서 발견된 15세기 후반의 것으로 문자 기호의 형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도서관에서 발견된 15세기 후반의 2개의 문서 〈무용의 기초 Liv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라바노테이션 Labanotation
    인류학, 물리치료, 연극, 산업체 생산활동 연구, 수영이나 아이스 스케이팅과 같은 스포츠에서 동작을 기록하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무용 안무를 기록하는 데 가장 널리 쓰인다. 이전의 무용기록 체계들과는 달리 특정한 춤 형식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고 특정 춤 형식에만 국한되지도 않는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서양무용의 역사
    남긴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제례무용은 북유럽 부족들 사이에서도 전승되어왔다. 무용에 대한 그리스도 교회의 입장이 한결같지는 않았다. 한편에서는 모든 열정과 기쁨의 표현을 거부하는 금욕주의적인 태도가 있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몇몇 초대 교부들이 이교도들의 무용을 그리스도교 예배에 활용하려 하기도 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라반 Rudolf Laban
    인간의 동작에 대한 그의 연구는 중부 유럽의 현대무용 발달에 지적 기초가 되었다. 또한 동작기록으로 널리 사용되는 라바노테이션을 개발했다. 원래 회화와 건축에 흥미를 가졌었지만 파리에서 무용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발레를 안무하고 몇몇 예술제를 감독한 후 1915년 취리히에 무용연구소를 설립하고, 그뒤...
    출생 :
    1879. 12. 1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브라티슬라바(지금의 슬로바키아)
    사망 :
    1958. 7. 1, 영국 서리 웨이브리지
    국적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신라의 문화
    등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 회화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서예는 비교적 다수의 작품이 전해지는 금석문 자료를 통해서 파악된다. 신라의 금석문 자료는 대체로 6~7세기에 한정되어 있다. 〈영일냉수리비〉(503년), 〈울진봉평비〉(524년), 〈영천청제비〉(536년), 〈단양적성비〉(551년 이전), 경주 〈명활산성비〉(551...
  • 몽골족의 문학 예술과 교육·과학 기술
    사적을 기록하였다. 이 역사서는 『몽골비사』에 비해 완정하진 못하나 『몽골비사』에서 빠진 내용들을 보충하여준 장점이 있다. 또한 한문으로 쓰인 『십삼조실록(十三-朝实录)』이 있는데 발행되지는 못하였으나 명조 시기 편찬된 『원사(元史)』에 기본 자료를 제공해주었다. 원나라 시기 탈탈(脱脱)의 주최하에...
    분류 :
    만-퉁구스어족 민족 > 몽골족
  • 종묘제례악 宗廟祭禮樂
    노래와 무용의 총칭. ‘종묘악’이라고도 하며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종묘라 하면 정전(正殿)을 지칭하는 것이나 사실은 그 서편에 조묘(祧廟)인 영녕전(永寧殿)이 있어 두 사당으로 이루어졌다. 종묘는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도 있었으나 음악을 제향에 사용하기는 고려 초기 숙종...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만주족의 문학예술과 과학기술
    자료를 기록한 후에 대량의 사료 서적과 학술 논저들을 출판하였다. 근 20년간 중국 만학계와 외국 만학계는 광범위한 학술적 교류를 진행하였는데, 이러한 학문...연구를 진행하고 외국의 만학 논저들을 번역 출판하는 등 활발한 대외 교류로 이어지고 있다. 음악, 무용, 연극, 서화 만주족의 악기에는 주로 팔각고...
    분류 :
    만-퉁구스어족 민족 > 만주족
  • 안무 按舞, choreography
    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파생되었다. 17~18세기에는 실제로 안무란 춤을 문자로 기록한 것은 의미했다. 그러나 19~20세기에는 춤을 문자로 기록한 것이 무용 기록(dance notation)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안무라는 말은 다소 부정확하지만 보편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작곡과 마찬가지로 춤 창작도 창조적인 작업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생 레옹 Charles- Victor-Arthur Michel Saint-Léon, Ar..
    발레 〈코펠리아〉(1870)를 무대에 올렸다. 그는 자기 나름의 무용기록 체계를 전개한 〈속기 무용기록 La Sténochorégraphie〉(1852)이라는 책도 썼다. 이 무용기록 체계는 1970년대에 오페라 발레단의 피에르 라코트와 무용기록의 세계적 권위자인 앤 허친슨에 의해 각각 해독됨으로써 〈주보(酒保) 상인 La...
    출생 :
    1821. 9. 17, 프랑스 파리
    사망 :
    1870. 9. 2,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세르게예프 Nikolay Grigoryevich Sergeyev
    생각한 무용수들 사이에서 인기를 잃자 1918년 스테파노프식 무용 기록으로 기록된 21편의 발레 안무집을 가지고 러시아를 떠났다. 스테파노프식 무용 기록은 19세기말 황실 발레단에서 사용하던 무용 기록 체계였다. 당시 서유럽에서는 고전 발레 가운데 많은 작품들이 고정 레퍼토리에 들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출생 :
    1876. 9. 15,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 :
    1951. 6. 23, 프랑스 니스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한국의 궁중무용
    그리고 <무용종류기록철>에만 들어 있는 광수무(廣袖舞)는 무원의 수 및 반주악곡이 <풍경지곡(豊慶之曲)>이라고만 기록되어 있을 뿐 기타 기록에서는 광수무에 대해서는 찾아 볼 수 없으므로, 현재로서 광수무는 재연(再演) 불가능한 명칭만 있는 춤이다. 신라 통일 이후 고려에 걸쳐서 당나라의 음악이 수입됨으로써...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