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CIF 운임보험료 포함가격, Cost Insurance Freight무역거래에서 매도인(수출자)이 수입업자에게 물건을 인도하기까지 물품 선적에서 목적지까지의 비용(C)과 목적항 도착까지의 운임(F), 보험료(I)의 일체를 부담할 것을 조건으로 한 무역계약이다. 일반적으로 통관 통계시 수출은 본인 인도 가격(FOB)을, 수입은 운임 및 보험료 포함 가격(CIF)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
무역거래계약서 貿易去來契約書, trade transaction ..계약을 의미하며, 이는 국제간의 국제물품매매계약을 기본으로 하고 운송계약, 보험계약 및 금융계약(대금결제)가 부수적으로 수반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무역이란 상품뿐만 아니라 기술과 서비스 분야 및 자본의 이동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계약 체결 시 어떤 거래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이게 맞는 계약서를 작성...
- 분류 :
- 법률서식 > 각종 계약서
- 원문 :
- https://www.yesform.com/dic/yesform_document/view/1594
-
중개무역수출입 양 당사자 간의 물품거래가 제3국 상인의 중개로 이루어지는 무역형태를 말한다. 거래물품은 제3국 상인을 거쳐서(제3국에 일단 양륙) 인도되는 예도 있으나 수출자로부터 수입자에게 직접 보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금의 결제는 수출자가 수입자로부터 직접 회수하여 제3국의 상인에게 수수료만을 지급하는...
-
중계무역물품을 수입하되 이를 국내에 반입하지 아니하고 가공하지 않은 원형 그대로 직접 제3국으로 수출하는 형태의 무역거래를 말한다. 중계무역업자는 수출입의 당사자로서 자기 책임 하에 수입 및 수출을 하고 대금결제를 한다는 점에서 수출입의 주체가 되지 않고 단순히 중개수수료만을 취득하는 중개무역과 구분된다.
-
자본거래자유화자유화는 내국인 또는 국내기업(거주자)의 국외투자와 외국인 또는 외국기업(비거주자)의 대내투자 양 측면의 자유화를 포괄한다. 자본거래의 자유화는 무역자유화 및 외환거래 자유화와 함께 일국 경제체제의 개방 및 자유화를 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최종단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자본거래의...
-
부가가치기준 무역 TiVA, Trade in Value Added부가가치의 이입액(VA-in: 무역통계의 수출과 대응)과 자국의 최종수요로 인해 상대국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의 이출액(VA-out: 무역통계의 수입과 대응)으로 정의한다. 국가 간 부가가치 기준의 무역은 산업간 거래관계를 통해 상호 의존관계를 분석하는 산업연관분석의 원리를 국제산업연관표에 적용하여 측정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