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불교 용어 목록 (무)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 1. 무색계계(無色界繫)는 무색계의 속박 즉 무색계의 번뇌를 말한다.sfnsfn 계(繫)는 속박의 뜻으로 번뇌의 다른 말이다.sfn 2...을 5부(五部)로 분별하여 구분되는 총 31가지의 수면(隨眠) 즉 31가지의 근본번뇌를 말한다.sfnsfnsfnsfn 자세히 말하면, 3계 가운데 무색계에 존재하는 탐...
    도서 위키백과
  • 견소단
    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4향4과 보살 수행계위: 52위 현관: 4제현관.cw6현관 유루.cw무루 번뇌.cw잡염 근본번뇌.cw수면 3근본번뇌.cw6수면.cw7수면.cw10수면 설일체유부의 98...
    도서 위키백과
  • 칠수면
    98가지의 근본번뇌이다.sfnsfn 7수면: 5가지 진수면: 10가지 만수면: 15가지 견수면: 12가지 《품류족론》에 따른 7수면의 각각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욕탐수면로서의 견고소단.cw견집소단.cw견멸소단.cw견도소단.cw수도소단의 5부(五部)의 탐(貪)의 총 5가지이다.sfnsfn 진수면(瞋隨眠)은 견고소단 진(瞋)은 욕계...
    도서 위키백과
  • 마음작용 (아비달마품류족론)
    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멸소단(見滅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疑) 수번뇌(隨煩惱)는 다음의 두 가지를 뜻한다...염오성의 마음작용[染污心所]'을 뜻한다. 첫 번째의 경우 수번뇌는 모든 번뇌 가운데 근본번뇌만을 뜻한다. 두 번째의 경우 수번뇌는 모든 번뇌 가운데...
    도서 위키백과
  • 마음작용 Mental factors (Buddhism), 心所
    疑) 색계계(色界繫)로서의 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고소단(見苦所斷)의 의(疑) 무색계계(無色界繫)로서의 견집소단(見集所斷...견도소단(見道所斷)의 의(疑) 수번뇌 즉 7수면(七隨眠) 즉 98가지 근본번뇌와 ② 수면(隨眠)을 제외한 모든 오염된 행온(行蘊)의 마음작용 전.cw도거(掉擧...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