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사실권원칙 無嗣失權原則, doctrine of l..
    인도 역사에서 인도 총독 댈후지 경(1848~56)이 힌두교 지역국가의 왕위계승 문제와 관련하여 고안해낸 원칙.|영국이 인도 아대륙(亞大陸)의 통치권자로서 각 인도 종속국들에 대한 감독권을 행사하고 왕위계승 문제도 간섭한다는 최고권위의 원칙과 맥을 같이 한다. 힌두법에 의하면 왕이나 어느 개인이 후계자가 없...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16세기 후반 동아시아 정세와 임진왜란
    하급 무사들의 불만을 많이 샀다. 더욱이 삼포왜란, 영파의 난 등으로 명·조선과의 무역이 거의 폐쇄되자, 정치적으로 강력한 다이묘들의 무력을 해외로 분출...동안은 중앙집권적인 지배체제의 확립이 이루어졌으나, 15세기말부터 정치의 실권을 가진 훈척과 중앙정계로 진출하던 사림 간의 권력투쟁이 격화되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역사 일반
  • 고산죠 천황의 장원 정리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장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그 이전의 장원이라도 근거가 애매모호한 것은 취소시킨다는 엄격한 방침 아래 장원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우선 영주에게 참고서류를 제출토록 하고 해당 지방 국사의 의견을 들어 영주와 국사 양쪽의 주장을 검토하여 결정하였다. 그러고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