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릎반사 슬개건 반사, knee-jerk reflex
    무릎골(patella) 바로 아랫부분인 슬개건을 망치로 가볍게 쳤을 때 다리가 갑자기 툭 튀어오르는 현상. 슬개반사, 슬개건반사라고도 함.|이 검사를 하는 자세 가운데 하나는 의자에서 앉아 한쪽 다리를 반대쪽 다리 위에 포개 올려놓아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게 한다. 망치로 슬개건을 가볍게 치면 넓적다리 앞부분에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강 , 의료검사
  • 무조건반사의 회로 (관련어 무릎반사) 근육과 척수 사이, 무조건반사
    척수반사회로와 함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자율신경회로가 동작하여 심장과 폐의 움직임과 내장의 연동운동을 조절하지요. 척수신경인 일반체원심성, 일반내장원심성, 일반체구심성, 일반내장구심성 신경성분이 있지요. 척수신경은 몸의 근육, 피부, 관절 그리고 내장을 조절하는 신경회로를 구성합니다. 골격근의 ...
  • 무릎반사 knee reflex
    슬건(膝腱)을 때리면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이 반응하여 무릎관절이 신전되는 척수반사(脊髓反射). =patellar reflex ( ⇨ tendon reflex)
  • 무조건반사 ・ 조건반사 無條件反射・條件反射, unconditio..
    척수반사, 연수반사, 중뇌반사가 있다. 고무망치를 이용해 무릎을 가볍게 두드리면 다리가 순간적으로 위로 툭 튀어오르는 무릎반사가 척수반사의 대표적인 예다. 무릎반사 외에도 회피반사, 젖 분비, 땀 분비, 배변․배뇨 반사 등이 척수반사에 해당한다. 연수반사에는 기침, 재채기, 딸꾹질, 하품, 구토, 침 분비...
  • 무조건반사 ∙ 조건반사 無條件反射, autonomic reflex
    이 경우는, 학습으로 연결된 신경회로가 즉시에 활성화되어 반응 속도가 빠릅니다. 척수가 관여하는 반사에는 무릎반사 같은 신장반사(stretch reflex, 뻗기반사)와 배변반사, 배뇨반사 등이 있죠. 또한 구강안면반사는 하품, 기침, 음식물 삼키기, 침 분비, 구토반사작용을 일으키지요. 연수의 그물형성체는 대동맥체...
  • 반사 反射, reflex
    반사는 선천적인 것으로, 유전에 의해 다음 세대로 전해지고 같은 종(種) 또는 속(屬)의 공통적인 특성이다. 반사에는 저작반사(咀嚼反射), 연하반사(嚥下反射), 순목반사(눈의 깜빡거림), 무릎반사, 소파반사, 걸음걸이, 서 있는 자세, 고양이의 정향반사(正向反射), 기본적인 성행위 등이 포함되며 이는 여러 복잡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다중시냅스 반사 척수, 뇌간, 대뇌피질에서 일어나다
    무릎의 신장반사, 동공반사, 무의식적 배뇨반사는 모두 단일시냅스 반사입니다. 우리 몸에서 이렇게 단일 시냅스로 일어나는 반사궁은 드물지요. 대부분은 감각입력과 운동출력 사이에 여러 연합신경 시냅스가 존재하는 다중시냅스의 반사궁입니다. 다중시냅스 반사궁에서 시냅스가 일어나는 지점을 크게 세 가지 수준...
  • 동물의 본능
    식초산에 담그면 개구리는 다리를 순간적으로 오그린다. 그러나 이러한 근육수축 운동은 중추신경계와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일어난다. 이것은 무릎 반사나 눈깜박임 반사처럼 어떤 자극을 주었을 때만 일어나므로 본능적 동작과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북극바다오리 어미는 새끼가 사고로 없어졌는데도 며칠간 새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생물
  • 힘줄반사 tendon reflex
    골격근, 특히 신근의 힘줄을 외부에서 기계적으로 칠 때 일어나는 척수반사. 근육의 근방추(筋紡錘)를 고유수용기로 하여 동일 근육의 단수축을 유발하는 고유반사의 형태를 취한다. 무릎반사가 대표적인 예이다.
  • 신장반사 근신장반사(筋伸長反射, myotactic reflex), 伸長反射
    근육이 신장될 때 시작되는 반사작용. 무릎반사가 그 예이다.
  • 무릎 Knee, 膝
    염증이다. 나이도 무릎 장애의 원인이 된다. 특히 노인의 경우 골관절염으로 인해 무릎 통증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무릎 주변 조직의 약화도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슬개대퇴부 불안정성은 고관절 이상이나 주변 인대의 압박과 관련될 수 있다. 위키공용분류 연골 무릎 반사 신경계 다리오금 팔꿈치 팔오금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신생아, 생후 0~1개월
    같이 무릎을 구부리고 있고, 피부는 불그스름한 빛을 띠면서 흰색의 태지로 덮여 있지만 며칠 후 저절로 벗겨진다. 시력은 20~30cm 거리의 물체가 보이는 정도이며, 젖 냄새를 구분할 수 있고, 입술과 혀의 감각이 발달해 단맛, 쓴맛, 신맛을 모두 느낀다. 신생아의 성장과 발달 하루 평균 20시간 잔다 신생아 시기에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무릎의 신장반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