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라드 5세 Murad V
    오스만 제국의 술탄(1876. 5~8 재위). Amurath Ⅴ라고도 씀.|숙부인 독재군주 아브뒬라지즈가 퇴위한 후 자유주의적 성향 덕분에 왕위에 올랐다. 머리가 좋았던 무라드는 좋은 교육을 받았고 투르크와 유럽의 문학작품들을 광범하게 섭렵했다. 1867년 아브뒬라지즈를 수행한 유럽 여행은 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
    출생 :
    1840. 9. 21, 오스만 제국(지금의 터키 이스탄불) 콘스탄티노플
    사망 :
    1904. 8. 29, 콘스탄티노플
    국적 :
    오스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무라트 5세 (관련어 무라드 5세) Murad V, ムラト5世
    인물 정보 무라트 5세( 1876년 5월 30일부터 8월 31일까지 재위하였다. 무라트 5세는 이스탄불 오르타쾨이 시라간 궁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압뒬메지트 1세이다. 그의 어머니 Şevkefza Valide Sultan은 1839년 8월 1일 콘스탄티노플에서 그의 아버지와 결혼하였고 민족적으로는 우비크족의 체르케스인이며서적 ...
    도서 위키백과
  • 무라드 1세 Murad I
    비잔틴 제국). 제위에 오른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군대를 이끌고 서부 트라케를 지나 아드리아노플과 필리포폴리스를 점령하여 비잔틴 제국 황제 요한네스 5세 팔라이올로구스를 봉신으로 만들었다. 아드리아노플은 에디르네로 개칭되었고, 1362년 무라드의 수도가 되었다. 1366년 사보이의 아메데오 6세가 이끄는 십자군...
    출생 :
    1326(?)
    사망 :
    1389. 6. 20/28 또는 8. 28, 세르비아 코소보
    국적 :
    오스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미드하트 파샤 Midhat Pasa
    상황이 악화되자 미드하트와 대와지르, 그리고 육군장관은 연합세력을 이루어 5월 30일 술탄 아브뒬라지즈를 폐위시키고 술탄의 조카 무라드 5세를 왕위에 앉혔다. 그러나 무라드는 정신이상을 보여 8월에 쫓겨났고 이번에는 그의 동생 아브뒬하미드 2세가 왕위에 올랐다. 미드하트는 다시 대와지르가 되었고 헌법제정을...
    출생 :
    1822. 10, 콘스탄티노플
    사망 :
    1883. 5. 8, 아라비아 앗타이프
    국적 :
    오스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브뒬하미드 2세 오스만 제국 제34대 술탄, Abdulhamid II
    달했으며 그는 오스만 내정에 대한 서유럽의 간섭에 대항하여 범이슬람주의 정책을 채택했다. 술탄 아브뒬메시드 1세의 아들로 정신착란을 일으킨 형 무라드 5세가 퇴위함에 따라 1876년 8월 31일 왕위에 올랐다. 그는 1876년 12월 23일 최초의 오스만 헌법을 공포했는데 이는 외세의 개입을 배제하는 데 1차적인 목적이...
    출생 :
    1842. 9. 21, 콘스탄티노플
    사망 :
    1918. 2. 10, 콘스탄티노플
    국적 :
    오스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마누일 2세 Manuel II Palaiologos
    요안니스 5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탈출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다. 1396년 투르크가 테살리아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쳐들어오자 도움을 청하기 위해 서유럽으로 가 로마·밀라노·런던·파리에서 큰 환영을 받고 2년 동안 파리에 머물렀다. 그의 방문은 비잔티움과 서유럽 사이의 문화 교류를 촉진시키는 데...
    출생 :
    1350
    사망 :
    1425. 7. 21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오스만 제국의 국가 Imperial anthems of the Ottoman Empire..
    지금의 터키의 국기와 유사함)가 제정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국가가 제정된 이래, 무라트 5세와 메흐메트 6세만 유일하게 자신을 위한 행진곡이 없었다. 무라드 5세는 1876년 3개월 동안 황제로 즉위하는 동안 압뒬메지트 1세가 쓰던 메지디예를, 메흐메트 6세는 마흐무드 2세가 쓰던 마흐무디예를 왕가 및 공식 국가로...
    도서 위키백과
  • 팔레올로고스 왕조 치하의 동로마 제국 Byzantine Empire under the P..
    오스만 술탄 무라드 1세에게 복종했다. 동로마 제국은 이보다 나은 위치에 있지 않았고 패배한 세르비아인으로부터 세레스를 빼앗은 후, 요안니스 5세무라드 1세에게 신하로서 충성을 맹세했다.Mango, p. 270 요안니스 5세의 통치는 불행하였고, 그 결과 무라드 1세의 신하가 되었다. 1373년, 그의 장남이자 왕위...
    도서 위키백과
  • 바르나 전투 Battle of Varna, ヴァルナの戦い
    작곡하였다. 브와디스와프의 죽음은 헝가리를 4살 밖에 안된 유복자왕 라슬로 5세(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의 손에 남게 하였다. 그리고 이 패배는 1453년...폴리스의 함락의 배경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에서는 메흐메트 2세가 물러나고, 무라드 2세가 복위하게 된다. 더 보기: 제2차 코소보 전투 감사를 표하는 마음...
    도서 위키백과
  •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Manuel II Palaiologos, マヌエル2世パレオロゴス
    요한네스 5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탈출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다. 1396년 투르크가 테살리아와 펠로폰네소스반도에 쳐들어오자 도움을 청하기 위해 서유럽으로 가서 2년 동안 파리에 머물렀다. 그의 방문은 동로마과 서유럽 사이의 문화 교류를 촉진시키는 데 큰 기여를 했으나 군사원조는 받지 못했다...
    도서 위키백과
  • 아메데오 6세 디 사보이아 백작 Amadeus VI, Count of Savoy, アメデ..
    1세 가틸루시오와 헝가리의 군주 러요시 1세을 동참시켜내어, 갈리폴리에서 튀르크를 몰아냈다(이 승리는 잠시뿐이였고, 1년만에 무라드 1세에게 상실했다). 그 당시 요한네스 5세는 불가리아인들에게 감금된 상태였다. 아메데오는 불가리아 쪽으로 군대를 돌렸고 메셈브리아, 소조폴 등의 흑해 항구들을 점령해냈다. 그...
    도서 위키백과
  • 파키스탄의 번왕국 Princely states of Pakistan
    5세 1955년 10월 14일 치트랄 (Chitral) 치트랄 14,850 km2 페르시아어(공용), 코와르어 1585년 모하메드 사이프 울-물크 나시르 1969년 7월 28일 디르 (Dir) 디르 5,282 km2 페르시아어, 파슈토어(일상어) 1863년 무하마드 샤 코스루 칸 1969년 7월 28일 훈자 (Hunza) 발티트 10,101 km2 부루샤스키 어, 와키 어 15...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