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뫼비우스는 수학자 겸 천문학자였다!?이 세상에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것이 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물건은 안과 밖 또는 겉과 속을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클라인병(Klein bottle)이 있다. 이 병은 독일의 수학자 클라인(Christian Felix Klein)의 이름을 딴 것으로, 원통 표면의 두 끝을 반대방...
-
한 몸, 두 만화가, 장 지로 (동의어 뫼비우스) 프랑스 정신의 음과 양프랑스의 만화가. 1938년 프랑스 파리 교외 출생. 1954년 파리장식미술학교 태피스트리과에 입학. 1956년 본명 ‘장 지로’로 <프랑크와 제레미>로 데뷔. 2년 반의 병역 후, 1961년 인기 서부극 작가 지제의 어시스턴트를 1년 간 지낸다. 1963년 <21세기의 인간>으로 ‘뫼비우스’ 명의로 새로 데뷔. 이후 본명 '장 지로...
-
뫼비우스 (1996년 영화) Moebius (1996 film)영화 정보 뫼비우스(Moebius)는 1996년 공개된 아르헨티나의 영화이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에서 3월 4일, 승객들을 태운 UM-86 열차가 갑자기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지하철 운영 당국은 이를 숨기려 하지만, 결국 노선 건설을 담당했던 엔지니어링 회사에 조사를 의뢰한다. 회사는 경험 많은 엔지니어 대신...도서 위키백과
-
뫼비우스 (2013년 영화) Moebius (2013 film), メビウス ..영화 정보 《뫼비우스》는 2013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개봉 전에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두 차례 제한상영가 판정을 받은 적이 있으며, 수정 후 세 번째 심의에서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아 개봉하였다. 어린이가 보는순간 경악을 금치 못하도록 청소년 관람불가라고 정해졌다. 조재현 : 아버지 역 서영주...도서 위키백과
-
뫼비우스의 띠 질병, 인간이 이름 붙인 추상적 총체비정상의 경계 자체가 아닌, 몸의 주체로서 자아를 재창조하는 삶 위에 놓여야 한다. 이것은 물론 사회적 상징 질서에 의해 빗금 쳐진 비/정상성이 아니다. 뫼비우스의 띠에서처럼 오히려 그 경계가 희미해질 때, 즉 비정상을 더 이상 비정상이라고 여기지 않을 때 가능해지는 정상성이다. 개미는 어느 쪽 띠로 걷고...
-
뫼비우스의 띠 mobius strip뫼비우스의 띠(mobius strip)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도형으로 경계가 하나밖에 없는 2차원 도형이다. 즉, 안과 밖의 구별이 없다. 종이를 길게 잘라서 띠를 만든 후 종이 띠의 양 끝을 그냥 풀로 붙이면 도넛 모양의 토러스가 되는데, 한 번 꼬아 붙이면 뫼비우스의 띠가 된다. 1858년 독일의 수학자 페르디난트...
-
장 지로 뫼비우스(Mœbius), Jean Giraud생애와 이력 뫼비우스(Mœbius) 혹은 지르(Gir)라는 예명으로 더 유명한 장 지로(Jean Giraud)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만화가이자 그래픽 아티스트다. 그는 1938년 프랑스의 노장-쉬르-마른느에서 출생했다. 세살때 부모의 이혼으로 조부모 밑에서 성장했다. 10대 초반부터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으며, 18세에 첫 작품인...
- 출생 :
- 1938년 05월 08일, 노장-쉬르-마른느, 프랑스
- 사망 :
- 2012년 3월 10일, 몽루주, 프랑스
- 수상 :
- 1980년 프랑스SF그랑프리 특별상 , 1985년 앙굴렘페스티발 그래픽아트 그랑프리, 2000년 막스 앤 모리츠상 평생공로상, 2004년 알베르-우데르조상 평생공로상
- 데뷔 :
- 1956년 <프랭크와 제레미>(Frank et Jérémie, 만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