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모음곡 suite
    17~18세기에 가장 발전했으며 당시에는 주로 춤곡 악장들로 이루어졌으나 19~20세기에 와서는 소나타보다 작은 형식의 기악 모음곡을 가리켰다. 비제의 〈아를의 여인〉과 같은 연주 부수음악이나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과 같은 발레음악 등이 여기에 포함되었다. 이탈리아의 모음곡은 대개 실내합주나 관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모음곡 Suite (music), 組曲
    모음곡 혹은 조곡(組曲, suite)은 일정한 순서가 있는 기악 혹은 교향악 악곡의 모음이다. 모음곡은 오페라, 발레(호두까기 인형)에서 혹은 연극(아를의 여인 모음곡)이나 영화(키제 중위 모음곡) 등 부수 음악에서 발췌한 것일 수도 있고, 독자적인 악곡(홀베르크 모음곡, 행성 모음곡)도 있다. 바로크 시대에 모음곡은...
    도서 위키백과
  • 무반주 첼로 모음곡 Suite for violoncello BWV1007~1012
    만년 조연’에 머물던 첼로를 전면에 내세운 음악을 작곡하기 시작한다. 통주저음이나 앙상블을 이루는 일체의 악기를 배제한 채, 오직 한 대의 첼로만으로 모음곡을 구상한 것은 그 아이디어만으로도 이미 파격적인 것이었다. 첼로 모음곡에 앞서, 혹은 그와 비슷한 시기에 바흐는 무반주로 연주하는 바이올린 음악도...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모음곡
    제작시기 :
    1717~1723년 쾨텐
    작곡가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편성 :
    첼로(독주)
  • 관현악 모음곡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Orchestra Suite No. 1~4 BWV 1066~1069
    서곡은 오페라나 발레의 막이 오르기 전에 연주하는 기악곡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서곡이 독립적인 악곡으로 발전하면서 여러 개의 춤곡 악장이 연속되는 모음곡 형식의 기악곡을 의미하는 말로 확장되었다. 특히 바로크 시대에는 루이 14세 시대, 화려한 궁정 음악 문화를 주도했던 륄리가 완성한 프랑스풍 서곡 양식이...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모음곡
    제작시기 :
    1710년대 후반~1730년대
    작곡가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편성 :
    오보에 2, 바순, 바이올린 2, 비올라, 바소 콘티누오
  • 피아노 모음곡 ‘고예스카스’ 엔리케 그라나도스, Goyescas Op.11
    고야의 풍경을 음악으로 그려내다 그라나도스는 일찍부터 고야의 그림에 매료되었다. “공작부인과 여인들, 전쟁과 사랑의 장면, 장밋빛 뺨의 순결함과 대조를 이루는 레이스, 검은 벨벳으로 된 옷을 입은 가느다란 허리, 재스민 빛이 도는 하얀 손들, 진주 자개로 만든 장식품들 등등이 검정빛 호박 속에 부유하는...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독주곡>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909~1910년(1권) / 1913~1914년(2권)
    작곡가 :
    엔리케 그라나도스(Enrique Granados, 1867~1916)
    초연 :
    1911년 3월 11일 (1권) / 1914년 4월 2일(2권)
  • 스페인 모음곡 이사크 알베니스, Suite española, No.1 Op.47
    카탈루냐’, ‘세비야’, ‘쿠바’의 4곡으로 출판되었으나, 알베니스 사후인 1912년, 호프마이스터 사에서 또 다른 4곡을 덧붙여서 재출판하면서 8곡의 모음곡으로 연주되기 시작했다. 이 때 덧붙여진 4개의 악곡은 이전에 다른 제목으로 출판되었던 작품들이다. - 1곡 ‘그라나다 - 세레나타’ - 2곡 ‘카탈루냐...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독주곡>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886년
    작곡가 :
    이사크 알베니스(Isaac Albéniz, 1860~1909)
    출판 :
    1918년
    구성 :
    8개의 피아노 독주곡 1곡 ‘그라나다’ 2곡 ‘카탈루냐’ 3곡 ‘세비야’ 4곡 ‘카디스’ 5곡 ‘아스투리아스’ 6곡 ‘아라곤’ 7곡 ‘카스티야’ 8곡 ‘쿠바’
    편성 :
    피아노
  • 모음곡 다프니스와 클로에 모리스 라벨, Daphnis et Chloé
    라벨의 의도대로 이 작품은 회화적인 음색의 향연을 펼쳐낸다. 스트라빈스키는 이 작품의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가장 아름다운 프랑스 음악이라고 감탄했다. 모음곡으로 편곡된 〈다프니스와 클로에〉 〈다프니스와 클로에〉는 3부 구성의 발레 음악으로 작곡되었으나, 라벨은 몇 개의 음악을 발췌하여 다시 두 개의...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09~1910년, 1909~1912년(총보)
    작곡가 :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
    초연 :
    1911년 콜론 관현악단 연주회, 피에르네 지휘(제1모음곡) 1912년 파리 테아트르 샤틀레, 피에르 몽퇴 지휘(전곡, 발레 초연)
    출판 :
    1910년(피아노), 1913년(총보)
    편성 :
    피콜로, 플루트 2, 알토 플루트,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3,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3, 콘트라바순, 호른 4, 트럼펫 4,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베이스 드럼, 스네어 드럼, 필드드럼, 탬버린, 심벌즈, 트라이앵글, 실로폰, 캐스터네츠, 크로탈, 윈드 머신, 첼레스타, 탐탐, 글로켄슈필, 하프 2, 현5부 편성, 혼성 4부 합창
  • 프랑스 모음곡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Franzosische Suiten BWV812~817
    음악적인 동료로서 바흐에게 중요한 동반자가 되었다. 바흐는 새로 맞이한 아내와 행복한 신혼 생활을 보내던 1722년부터 약 3년에 걸쳐 여섯 곡의 프랑스 모음곡을 작곡했다. 이 곡 외에 함께 작곡한 다른 음악들을 모아서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클라비어 소곡집 2권≫을 만들었는데, 〈프랑스 모음곡〉 중에서...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모음곡
    제작시기 :
    1722~1725년
    작곡가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 영국 모음곡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Englische Suiten BWV806~811
    위작 여부를 둘러싼 논쟁 바흐의 건반 악기 작품 가운데는 낯선 타국의 이름이 제목으로 사용된 경우들이 있다. 〈영국 모음곡〉과 〈프랑스 모음곡〉, 그리고 〈이탈리아 협주곡〉 등이 대표적인 예인데, 이 가운데 가장 먼저 작곡된 작품이 〈영국 모음곡〉이다. 〈영국 모음곡〉은 BWV 806에서 BWV 811까지 모두 여섯...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모음곡
    제작시기 :
    제1곡 1717년 이전, 제2~6곡 1717년경~1725년
    작곡가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 작은 관현악을 위한 모음곡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Suite for small Orchestra
    가깝다고 보는 견해가 있어 아직은 완전히 신고전주의에 접어든 작품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피아노곡에서 출발한 작은 관현악을 위한 모음곡 스트라빈스키는 〈작은 관현악을 위한 모음곡〉 2곡을 작곡하였다. 사실 작곡이라는 것에는 어패가 있는데 이 두 모음곡은 모두 그의 이전 피아노곡인 네 손을 위한 〈3...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모음곡 1번] 1917~1925년 [모음곡 2번] 1921년
    작곡가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
    특징 :
    [모음곡 1번]〈5개의 쉬운 소품〉(1917) 중 갤럽을 제외한 4곡으로 구성 [모음곡 2번]〈3개의 쉬운 소품〉(1914~1915) 전곡, 〈5개의 쉬운 소품〉 중 갤럽으로 구성
    초연 :
    [모음곡 1번] 1926년 3월 2일 할렘 [모음곡 2번] 1925년 11월 25일 프랑크푸르트
    편성 :
    플루트 2(피콜로와 겸함), 오보에,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트럼펫, 트롬본, 튜바, 큰북, 현악기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클로드 드뷔시, Suite Bergamasque
    음악에 인상주의가 확립되기 전으로, 아직 후기 낭만주의의 서정성이 남아있으며 바로크적 요소도 읽을 수 있다. 총 네 곡으로 구성된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은 각각 프렐류드(Prélude), 미뉴에트(Menuet), 달빛(Clair de lune), 파스피에(Passepied)의 표제는 드뷔시가 바로크 시대의 음악을 참고하였음을 짐작할 수...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890~1905년
    작곡가 :
    클로드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출판 :
    1905년, 파리
    구성 :
    4개의 모음곡 1곡 프렐류드: 모데라토 4/4박자 2곡 미뉴에트: 안단티노 3/4박자 3곡 달빛: 안단테 뜨레 에스프레시보 9/8박자 4곡 파스피에: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4/4박자
    편성 :
    피아노
  • 홀베르그 모음곡 에드바르드 그리그, Holberg Suite Op.40
    살면서 즐겼을 100여 년 전의 음악을 현대적으로 풀어낼 생각을 한 것이다. 작곡 양식도 바흐와 헨델 등에 의해 유명해진 프랑스풍 모음곡의 형식을 빌려 〈고풍스런 양식에 의한 모음곡〉이라 불리게 되었고, 당시로서는 현대적인 19세기 낭만주의적 표현에다 노르웨이 민속음악을 덧입혔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작품...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독주곡>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884년
    작곡가 :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헌정 :
    에리카 닛센(Erika Lie-Nissen)
    구성 :
    5개의 모음곡 제1곡 전주곡 제2곡 사라반드 제3곡 가보트와 뮈제트 제4곡 아리아 제5곡 리고동
    편성 :
    피아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관현악 모음곡 2번〉 악보
〈첼로 모음곡 1번〉 ‘프렐류드’ 필사본
〈어린이의 방 모음곡〉 두 번째 녹음
쇤베르크 〈피아노 모음곡〉에서 사용한 원음렬
〈아를의 여인〉 제2모음곡을 만든 에르네스트 귀로(1837~1892)
〈관현악 모음곡〉 3번을 초연한 지휘자 한스 폰 뷜로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클라비어 소곡집 2권≫에 있는 〈프랑스 모음곡 5번〉 가보트 악장의 악보
〈피아노 모음곡 Op. 25〉 초연 피아니스트 에두아르트 슈터이엘만이 1957년 다름슈타드 음악제에서 강의하는 모습
네덜란드의 첼리스트 조세핀 반 리에가 피콜로 첼로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6번을 연주하는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