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모사전송 模寫電送, facsimile telegraphy
    주로 흑백의 서류나 도면 등의 문서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전송하고 재생하는 것.|좁은 의미의 팩시밀리가 이에 해당된다. 원리적으로는 송신하고자 하는 문서를 회전 원통에 감고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면서 스폿 라이트(spot light)로 주사하면 원래의 문서가 가지고 있던 명암은 그에 따른 반사광의 명암으로 변하게...
  • 모사 전송 模寫轉送, document facsimile
    문자, 도표, 그림, 사진 등의 정지 화상 정보를 흑백의 2치 화소로 분해하여,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그것과 서로 같은 2치 화상을 재현하는 통신 매체. 본래 모사 전송과 사진 전송을 총칭해서 팩스라 하는데, 최근에 팩스의 발전은 모사 전송이 중심이 되고 있는 것도 있으며, 모사 전송을 팩스라고 ...
  • 팩시밀리 (관련어 모사전송) Fax, ファクシミリ
    팩시밀리(facsimile, 문화어)는 문서의 복사본을 전송하는 데에 쓰이는 네트워크 위에 동작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일정한 거리에서 복사본을 만들기" 위한 텔레팩시밀리(telefacsimile)의 준말 텔레팩스(telefax) 또는 텔레카핑(telecopying)이 동의어로 사용된다. 이 장치는 또한 특정한 산업에서 전화 복사기로도 알...
    도서 위키백과
  • 팩시밀리 (동의어 모사 전송) FAX, facsimile
    사진, 지도, 투명도, 서류 등을 전기적 수단에 의하여 전송하는 통신 방법. 사진을 주로 전송하는 사진 전송과 글자나 도면을 주로 전송하는 모사 전송으로 구분된다.
    분야 :
    지휘 ・ 통제 ・ 통신
  • 팩시밀리
    그리고 G4는 G2·G3보다 훨씬 고속(A4용지 한 장을 10초 이내)으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시스템이다. 팩시밀리는 광의로는 모사전송과 사진전송을 총칭하여 말하지만 협의로는 모사전송만을 가리킨다. 서구보다는 한자문화권인 아시아지역에서 더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모사전송과 사진전송의 차이는 화면복원시...
    시대 :
    현대
    성격 :
    통신기기
    유형 :
    물품
    용도 :
    통신
    분야 :
    경제·산업/통신
  • 팩스 FAX, facsimile
    바꾸어 전송하고, 수신 지점에서 원화와 같은 모양으로 영구적인 기록 화상을 얻는 통신 방식. 넓은 의미로는 모사 전송과 사진 전송을 총칭하고, 좁은 의미로는 모사 전송만을 가리킨다. 모사 전송과 사진 전송에서 전자는 흑백만을 화소로 하고, 후자는 모든 색조를 포함한다. 팩스에서는 원화를 일정한 순서에 따라...
  • 광주파수대역전용 光周波數帶域專用, broad-band lease service
    있으면 인정되는 자의 필요로 제공하기 위한 일반 전용회선의 이용방법 중 예를 들면 I-1(48KHz), J-1(240KHz)의 전송주파수대를 이용하는 전화, 사진전송, 모사전송, 데이터전송, 신문지면 전송 등 몇 개인가의 주파대에 분할하여 고속도 전송을 하는 방식. 현재는 전신 전화공사의 I-1, J-1 서비스 규격을 말한다.
  • 팩시밀리 FAX, facsimile
    만드는 신호를 원격지에 보내서 대상물의 복제(팩시밀리)를 재생시키는 프로세스, 또는 프로세스의 결과(문자, 도표, 그림, 사진 등을 전기적 수단에 의해 화소로 분해하여 전송하고 그 형상이나 농염 등을 원화(原書)와 가능한 한 유사상태로 기록 재현하는 통신방식) 〈참조어〉 모사전송(模寫電送, document facsmile)
  • 암호학 暗號學, cryptology
    기술과 학문이다. 암호표기법은 원래 글로 쓴 통신문을 위장하는 수단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통신위성을 통해 지상국끼리 교신하는 경우처럼 모사 전송과 영상신호를 암호화하는 데 암호표기법의 원칙이 적용된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암호표기법이 컴퓨터끼리의 데이터 통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그 전송...
  • 팩스 단말 -端末, facsimile terminal
    분해한 다음 각 화소의 명암을 광전관으로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신호에 따라 각 화소의 명암을 기록하여 송신 원화와 같은 수신 화면을 얻는다. 수신 기록 방식으로서 사진 전송에는 사진 화학적 기록 방식, 모사 전송에는 방전 기록 방식, 전해 기록 방식, 전자 프린터 기록 방식 등이 이용된다.
  • 순간 차단 瞬間遮斷, hit
    수신 신호의 레벨이 순간적으로 대폭 저하 또는 완전히 끊어지는 현상. 그 시간이 너무 긴 것은 순간 차단이라기보다 회선 장애로 생각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사진 전송, 모사 전송 등에 영향을 준다. 원인으로는 장치의 전환, 루스 콘택트, 오동작 등을 들 수 있다.
  • 황열 黃熱, yellow fever
    수 있습니다. [검사의뢰방법]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할 때는 의뢰서와 함께 검체를 보냄(담당부서-신경계바이러스과:전화 043-719-8492~8499, 모사전송 043-719-8519) ㆍ검체 - 배양검사 : 혈청, 항응고제 처리한 혈액 등 - 항체검사 : 혈청 (1~2 ml), 급성기(발병후 가능한 빨리 채취)와 회복기(14일 이후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