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모사라베 성가 mozarabic chant
    11세기까지 스페인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성체의식 때 사용한 예배음악.|5세기경 스페인은 고유한 종교예배 전통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은 6, 7세기 서(西)고트족의 통치 아래 꽃피었다. 모사라베라는 말은 이베리아 반도를 무어인들이 침략한 이후 이슬람교 통치 아래 있던 그곳 그리스도교인들이 무어인 통치기간(71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단성성가 單聲聖歌, plainchant
    비정량적 리듬과 단성음악적 짜임새를 가진 노래를 뜻했다. 그레고리오 성가 이외의 단성성가들로는 서방의 암브로시오 성가, 갈리아 성가, 모사라베 성가와 동방의 비잔틴 성가, 시리아 성가, 콥트 성가, 에티오피아 성가, 아르메니아 성가등이 있다. 이것들은 모두 비정량적 리듬과 단성음악적 짜임새를 지녔다는 점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그리스도교의 영향과 서양 중세음악
    기초로 성가들을 최초로 집대성하는 시도를 했으며 이후 이것은 암브로시오 성가라 불리게 되었다. 이후 조금 시간이 지나서 스페인에서는 모사라베 성가, 프랑스에서는 갈리아 성가라고 하는 양식이 독특한 개성을 갖추면서 발전했다(성악). 그러나 교회음악의 주류는 로마에서 예배음악으로 사용하던 성가였다. 전설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