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메스로프 Saint Mesrob
    서방교회 축일은 오순절로부터 4번째 주일 다음의 목요일, 성모승천일로부터는 3번째 주일 다음의 월요일. Mesrob는 Mesrop라고도 쓰며 Mashtots라고도 함.|아르메니아 축일은 2월 19일. 수사·신학자·언어학자. 아르메니아어 및 같은 계통의 카프카스어 문법체계를 세우고, 이들 언어로 성서를 번역해 아르메니아 그...
    출생 :
    350경, 아르메니아 하치크
    사망 :
    439/440
    국적 :
    아르메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메스로프 마슈토츠 Mesrop Mashtots, メスロプ・マシュトツ
    인물 정보 메스로프 마슈토츠는 고대 아르메니아의 언어학자로, 아르메니아 문자를 고안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업적 덕분에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되어 있다. 대아르메니아 왕국의 타론 (현 튀르키예 무슈주 코르쿠트) 출신이다. 아르메니아의 역사서에 의하면, 메스로프 마슈토츠는 아르메니아...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 문학 Armenian literature
    고대 시리아어로 씌어진 성서나 다른 종교 서적들을 사용해야 했다. 평민들은 이러한 언어를 이해할 수 없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401년경 성 메스로프(마시토츠)가 아르메니아 문자를 만들었다. 성 사하크(이사크) 아르메니아 교회 총주교와 성 메스로브가 번역가 학교를 만들었고, 이 번역가들이 에데사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아르메니아 정교회, Armenian Apostolic Church
    갖고 발전했지만, 카파도키아의 카이사리아에 있는 모교회로부터 독립하기로 결정했다. 아르메니아 교회가 시리아 문자를 빌려 써 온 것을 중단한 것은 성 메스로프가 아르메니아 문자를 만들고 수차례에 걸쳐 성서를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해낸 5세기의 일이다. 506년 드빈 공의회에서 아르메니아 교회는 그리스도의 인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아르메니아어 Armenian language
    호수 연안 지역을 정복했으며, BC 7세기 무렵에는 아르메니아어가 원주민의 말을 대신하게 되었다. 4세기초 아르메니아어가 문어로 정착하게 되었는데, 성 메스로프(매슈토츠) 주교가 401년경에 고안했다고 전해지는 38개의 자모는 전세계에 있는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아르메니아 문화의 황금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오샤칸 Oshakan
    마슈토츠의 무덤 (성 메스로프 마슈토츠 대성당)과 비가 세어져 있는 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덕분에 사도교회인들의 순례지로 잘 알려져 있다. 파일:Oshakan Mesrop Mashtots Church 1875.JPG|성 메스로프 마슈토츠 대성당 파일:Oshakan Mesrop Mashtots Church.JPG|성 메스로프 마슈토츠 대성당 정면 파일:Oskan...
    도서 위키백과
  • 이사크 Saint the Great Isaac
    승인받았으며, 이로써 그리스 정교회의 통제를 벗어난 독특하고 자율적인 아르메니아 그리스도교를 세웠다. 자신의 보좌주교이자 훗날 성인으로 추증된 수사 메스로프(마시토츠)의 도움으로 391년경 그리스어를 본뜬 아르메니아 문자와 문학을 발전시켰다. 그뒤 이 두 사람은 학자들을 이끌고 그리스어와 시리아어 성서...
    출생 :
    345경
    사망 :
    439. 9. 7(?), 아르메니아 아쉬티샤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모브세스 Movses Khorenatzi
    아르메니아 역사 History of Armenia〉에 기록된 자전적 내용이 전부이며 여기에 모브세스가 작가로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성 사하크(이삭)와 성 메스로프의 제자였으며 에데사 공의회(431) 이후에 에데사와 알렉산드리아에서 공부했고 통치자 사하크 바그라투니의 명에 따라 〈아르메니아 역사〉를 썼다고 기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아르메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마테나다란 Matenadaran, マテナダラン
    마테나다란은 아르메니아 예레반에 있는 고문서관이다. 정식 명칭은 아르메니아 문자 설립자 메스로프 마슈토츠의 이름을 딴 메스로프 마슈토츠 고문서 협회이다. 현재 약 30만개의 원고를 관리하고 있다. 고문서의 수는 자료에 따라 제각각이며, 아직 확인되지 않은 자료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아르샤쿠니 왕조 Arsacid dynasty of Armenia, 阿尔萨息王朝 (亚美尼亚)
    지배 시기 두 가지 중요한 사건이 있었는데 하나는 301년/314년에 계몽자 그레고리오와 티리다테스 3세를 통해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로 개종한 것과 405년경 메스로프 마슈토츠를 통해 아르메니아 문자가 만들어진 것이다. 좀 더 헬레니즘의 영향이 강했던 아르타셰산 왕조와는 대조적으로, 아르사케스 왕조 시기는 이란...
    도서 위키백과
  • 아르메니아 드람 Armenian dram, ドラム (通貨)
    교회(St. Hripsime Church) 장식|500 드람 녹색, 갈색, 파란색 아라라트산과 티그라네스 2세 테트라드라크마|1,000 드람 145 x 68 mm 갈색과 주황색 메스로프 마슈토츠 조각상과 마테나다란 Aghitu Memorial에 있는 7세기 오벨리스크 기념비|5,000 드람 145 x 71 mm 녹색, 노란색, 보라색 가르니 신전 대영박물관...
    도서 위키백과
  • 5세기 5th century, 5世紀
    다스렸다. 399년 ~ 412년: 중국의 법현 스님이 인도양을 건너 스리랑카와 인도를 다니며 경전을 수집했다. 401년: 구마라습이 장안에 도착하였다. 405년: 메스로프 마슈토츠가 아르메니아 문자를 새로 만들었다. 406년: 수에비, 알라니족, 반달족이 마인츠 부근의 얼어붙은 라인강을 건너 골 지역으로 침공해 들어오면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