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매스미디어 접근권 right to access
    국민이 신문·잡지·방송 등 언론기관에 의견 광고나 반론, 또는 자기 의견을 게재해 주도록 요청할 수 있는 권리.|일반적으로 정보에 대한 수신자인 시민이 정보에 대한 송신자로서 매스미디어에 참가하고 이용하는 권리, 혹은 보도에 의해 비판을 받은 사람이 동일한 미디어를 이용해 자신의 주장을 피력하는 반론권...
  • 왜 미국에서 '형평의 원칙'은 폐지되었는가?, 접근 이론 access theory
    접근(access)'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미디어에의 접근과 정보에의 접근이 바로 그것이다. 미디어 접근권을 가리켜 보통 '액세스권(access rights)'이라고...중반 일부 법학자들이 수정헌법 제1조는 사람들이 매스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는, 즉 미디어를 이용해 자신의 주장을 전파시킬 수 있는, 권리까지 포함...
  • 액세스권 アクセス権 (知る権利)
    따라 개인정보주체가 자신의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인 '개인정보 접근권'에 가까운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중매체를 자신의 의사표현을 위해 이용...의견이나 반론을 투서하여 게재 또는 방송해 주도록 요청할 수 있는 권리 매스 미디어에 대해 비판 항의 요구 등을 할 수 있는 권리 신문 잡지 등의 편집...
    도서 위키백과
  • 디지털 디스토피아 Digital Dystopia
    집단이 매스미디어를 통해 일방적으로 행사해왔던 의제 설정 방식과 여론 형성 방식이 끝나고 새로운 여론 형성 방식이 마련되어 세상이 진일보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전자프론티어재단을 설립한 시인이자 사이버 운동가인 존페리 발로가 1996년 발표한 ‘사이버 스페이스 독립선언문’에는 그런...
  •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釜山視聽者미디어센터
    대중이 매스 미디어에 지면이나 시간을 요구하여 이용하는 권리로, 2000년 3월에 시행된 「방송법」에 KBS는 ‘시청자가 직접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케이블 TV와 위성 방송은 ‘시청자들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일정 시간 이상 편성하도록 명문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반 시청자들에게 미디어 이론과 실습 교육의...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