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하칼라 Mahakala
    티베트 불교의 사나운 여덟수호신의 하나.→ 호법신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촐라 왕조의 사회상
    구성된 마하사바는 촌락의 행정, 사법, 세무 등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독립된 정부 형태를 갖추었다. 촐라 왕조의 사회 구성원은 신분상의 계급 제도가 존재했지만 계급 간의 통혼이 허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계속해서 새로운 계급들이 형성되었다. 여성의 지위도 비교적 좋은 편으로 아직까지는 후기 힌두 사회의 수많은...
    시대 :
    남인도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마하세나굽타 Mahasenagupta
    있던 마가다 제국의 일부를 정복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므로 마하세나굽타는 그가 잔여 영토로 통치했던 말와로 도망쳤다. 여기서 그는 칼라추리 왕인 샹카라가나와 적대했다. 마하세나굽타는 동쪽의 비디샤로 밀려나 AD 601년에 죽을 때까지 남은 날들을 보냈다. 칼라추리 왕조는 608~9년에 비디샤를 점령하였고 발라비...
    도서 위키백과
  • 다이코쿠 大黑, Daikoku
    묘사되어 있다. 때로는 풍요로움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쥐들이 쌀알을 집어먹는 모습으로 그리기도 한다. 다이코쿠는 불교와 함께 일본에 들어온 인도의 신 마하칼라(위대한 파괴자:힌두교의 신 시바는 여러 개의 얼굴과 이름을 갖고 있는데 시간의 얼굴을 갖고 있을 때는 마하칼라라고 부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호법신중 護法神衆, dharmapala
    르포·베그체·야먀(죽음의 선신으로서 주로 여동생인 야미와 함께 다님)·쿠베라(부의 신으로서 여덟 선신 중 유일하게 사나운 모습을 하고 있지 않음)·마하칼라·하야그리바·야만타카('야마 또는 죽음의 정복자'라는 뜻) 등이다. 호법신중의 경배실은 반지하(半地下)이고 그 방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박제된 야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칼리 Kali, カーリー
    뜻에서 칼라(Kāla)라고도 불리는데 이러한 시바의 배우자 여신이라는 측면에서 칼리는 "시간"과 시간이 흐르면서 일어나는 "변화"와 시간이 다 흐르고 나면 반드시 오게 되는 "죽음"을 상징하는 시간과 변화와 죽음의 여신으로 여기게 되었다. 때때로 칼리는 어둡고 폭력적인 모습으로 표현하지만, 칼리의 가장 초기...
    도서 위키백과
  • 삿푸라 산맥 Satpura Range
    북쪽의 나르마다 강과 남쪽의 탑티 강 사이의 분수령을 이룬다. 해발 1,200m가 넘는 봉우리들이 여럿 있다. 산맥 본줄기 동쪽에 자리잡은 마하데오 구릉지대, 마이칼라 산맥, 초타나그푸르 고원을 포함하며 때때로 북쪽 빈디아 산맥을 삿푸라 산맥의 줄기로 보는 경우도 있다. 삿푸라 산맥 주변지역은 경제적으로 빈곤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마칼루산 Makalu, マカルー
    국립공원인 마칼루-바룬 국립공원(Makalu-Barun National Park and Conservation Area)으로 지정되었다. 마칼루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마하칼라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마하칼라는 티베트 불교의 대표적인 분노존으로 힌두의 쉬바의 한 부분인 칼리(Kali)가 불교에 도입되어 생긴 신이다. 대흑천이라고도 불린다. 산...
    도서 위키백과
  • 나라심하 Narasimha, ナラシンハ
    파괴의 신으로 묘사되는데, 그는 대멸망(마하프랄라야) 당시 우주 전체를 파괴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그의 비문에서 그는 칼라(시대) 또는 마하칼라(위대한 시대) 또는 파라칼라(시대를 넘어선)로 알려져 있다. 스리 바이슈나바 전통에는 마이수루에 있는 파라칼라 마타라는 이름으로 그에게 바쳐진 마타(수도원)가 존재...
    도서 위키백과
  • 프라사다 Prasada
    India: Exploring the Food and Culture of the Land of Spices. 일부 사원에서는 채식주의자가 금지되어 있다. 찬디, 칼리와 같은 힌두 여신과 바이라바, 마하칼라와 같은 힌두 신에게는 사원 경내에서 도축되는 수탉, 염소, 물고기, 물소와 같은 동물의 고기를 제물로 바친다. 음식 항목을 제공하는 것은 우파차라...
    도서 위키백과
  •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Dromaeosauridae, ドロマエオサウルス科
    다음은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들의 목록이다. 피로랍토르 바리랍토르 팜파랍토르 오르니토데스무스 전위안롱 다우를롱 할스카랍토르 훌산페스 마하칼라 나토베나토르 우넨라기아 부이트레랍토르 아우스트로랍토르 이푸피아라 네우퀜랍토르 미크로랍토르 시노르니토사우루스 창위랍토르 그라킬리랍토르 헤스...
    도서 위키백과
  • 중세 몽골어 Middle Mongol, 中古蒙古語
    중세 몽골어"라는 명칭은 오해의 여지가 있다. 유하 얀후넨 (2006)은 거란어를 "측몽골어족"이라는 분류에 포함하였는데, 이는 거란어가 몽골조어의 직계 후손이 아니라 자매 분파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다. 알렉산더 보빈은 토욕혼어를 또다른 "측몽골어족" 언어로 특정하였다. 마하칼라 찬가 후이스 톨고이 비문 몽골어족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