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카다미아속 Macadamia프로테아과에 속하며 10여 종(種)의 관상용 상록교목으로 이루어진 속.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의 퀸즐랜드에 있는 바닷가 다우림지역과 관목지대가 원산지이다. 맛이 아주 좋은 식용 견과를 얻는다. 하와이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상업적으로 심고 있는 종들로, 껍질이 매끄러운 마카다미아 인테그레폴리아와 껍질이 거칠...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진달래목 > 매화오리나무과 > 매화오리나무속
- 원산지 :
- 오세아니아 (호주)
- 서식지 :
- 숲속
- 크기 :
- 약 10cm ~ 18cm
- 학명 :
- Clethra barbinervis
-
프로테아목 프로테아목 프로테아, Proteales속(Leucodendron : 70종) 등이 있다. 활용 꽃이 화려하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표적인 종으로는 류코덴드론 아르겐튬(L. argenteum...하케아속의 하케아 등이 있다. 이 밖에 식용 가능한 씨를 얻기 위해 마카다미아 인테그리폴리아(Macadamia integrifolia)를 재배하기도 한다. 마카다미아 인...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프로테아목 > 프로테아과 > 프로테아속
- 원산지 :
- 오세아니아 (호주), 아시아, 아프리카
- 서식지 :
- 산성 사양토
- 크기 :
- 약 1m ~ 2m
- 학명 :
- Protea speciosa
- 꽃말 :
- 고운 마음
-
왜 땅콩은 멀쩡한 사람을 돌게 만드는가?, 피넛 신드롬 peanut syndrome땅 속에서 나온다고 해서 ground-nut, ground-pea라고도 불렸으며, 영국에선 earth-nut이라고도 했다. 또 영국에선 동물원의 원숭이가 좋아한다고 해서 monkey-nut으로 불린 적도 있다. 그런데 peanut은 비유적으로 ‘하찮은 것, 푼돈, 시시한 사람’을 뜻한다. 남북전쟁 이전의 미국 남부에서 땅콩을 주로 가축...
-
견과류, 잘 먹어야 약이 된다진다. 속이 더부룩하면 소화가 잘되지 않았다는 것이고 노폐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래서 볶은 견과류 대신 생견과류를 선택하는 편이 좋다. 단, 생견과류는 약간의 독성이 있어서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끓는 물에 데쳐서 먹는 방법을 추천한다. 잣이나 호두, 아몬드 등을 그릇에 담고...
-
지방은 악의 축이 아니다호두, 마카다미아, 땅콩, 아몬드 등의 견과류로 섭취할 수 있다. 코코넛을 제외하고 불포화지방인 좋은 지방의 함량이 아주 높다. 좋은 지방이란 혈관 내에서 찰랑거리는 것으로 혈액 순환의 속도를 좋게 하고 혈관을 깨끗이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불포화지방은 외부에서 반드시 섭취해야 해서 필수지방산이라고도 한다...
-
대한항공 086편 회항 사건 Nut rage incident, 大韓航空ナッツ・リターン향할 예정이었다. 이륙하기 전에 대한항공 객실본부장이었던 조현아 부사장이 접시 위가 아닌 뜯어지지 않은 봉지 속에 있는 마카다미아를 객실승무원으로부터 받았다. 대한항공은 마카다미아가 나무 견과 알레르기를 일으킬 위험 때문에 봉지째로 전달한 뒤 고객이 뜯어먹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이에 마카다미아 서비스...도서 위키백과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