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렝고 전투 Battle of Marengo
    제2차 동맹전쟁 때 나폴레옹이 프랑스에 대항한 유럽 국가들에게 가까스로 이긴 전투(1800. 6. 14)(→ 나폴레옹 전쟁).|이탈리아 북부 알레산드리아에서 남동쪽으로 5㎞ 정도 떨어져 있는 마렝고 평원에서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 약 2만 8,000명과 미하엘 프리드리히 폰 멜라스 장군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 3만 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마렝고 전투 (관련어 마렝고전투) Battle of Marengo, マ..
    전쟁 정보프랑스 혁명 전쟁:이탈리아 마렝고 전투는 이탈리아 피에몬테주(州) 알렉산드리아 도시 근교 남동쪽 5km 떨어진 마렝고 평원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휘하의 프랑스군이 미하엘 폰 멜라스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의 기습 공격을 받아 격전끝에 이를 물리치고 오스트리아군을 이탈리아에서 몰아내었다. 이 전투...
    도서 위키백과
  • 마렝고 Marengo
    마렝고(Marengo)는 다음을 가리킨다. 마렝고 전투 마렝고 (속) 마렝고 (말)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유럽을 제패한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승리의 순간 샴페인을 마신 나폴레옹
    그곳을 점령하고 있던 오스트리아군과의 일전을 계획한다. 1880년 5월 마침내 알프스의 생베르나르 협곡(Saint Bernard Pass)을 넘은 나폴레옹군은 마렝고 전투에서의 결정적인 대승을 이끈다. 이후 다비드는 나폴레옹의 이 위업을 기념하는 초상화를 의뢰받게 된다. 그런데 이 그림은 시작부터 철저히 나폴레옹의 정치...
    출생 :
    1769년
    사망 :
    1821년
  • Jean Lannes, Duc de Montebello
    1800년 5월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로 진군할 때 전위대를 지휘했으며 6월 9일 몬테벨로에서 오스트리아 군을 무찔렀다. 이 전투에 크게 힘입어 5일 뒤 나폴레옹은 마렝고 전투에서 승리했다(나폴레옹 전쟁). 1804년 5월에 18명의 프랑스 제국 원수 중 한 사람이 되었으며 울름 전투(1805. 10), 아우스터리츠 전투...
    출생 :
    1769. 4. 11, 프랑스 렉투르
    사망 :
    1809. 5. 31, 오스트리아 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호엔린덴 전투 Battle of Hohenlinden, ホーエンリンデンの戦い
    군에게 접근 하였다. 리셰팡스의 사단도 불시에 측면을 기습하였다. 이 결정적인 승리는 프랑스 제1통령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마렝고 전투에서의 승리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이 전투로 인해 제2차 대프랑스 동맹국과의 전쟁을 마무리 지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 2월(1801년 2월), 오스트리아 군은 뤼네빌 조약...
    도서 위키백과
  • 보아르네 Eugène de Beauharnais
    알았다. 외젠은 이 보답으로 나폴레옹에게 유리한 군사적 지원을 해주었으며, 특히 브뤼메르(안개의 달) 18일(1799. 11. 9) 쿠데타와 오스트리아와 벌인 마렝고 전투(1800. 6. 14)를 승리로 이끄는 데 크게 활약했다. 1804년 공의 칭호를 받았고 국무장관에 임명되었다. 1805년 나폴레옹이 스스로 이탈리아 왕이라 선언...
    출생 :
    1781. 9. 3, 프랑스 파리
    사망 :
    1824. 2. 21, 독일 뮌헨
    국적 :
    프랑스
  • 베시에르 Jean-Baptiste Bessières, duc d'Istrie
    대위로 복무한 뒤 1796년에 이탈리아의 나폴레옹 경호대 사령관으로 선발되었다. 1798년에 이집트 아부키르 만에서 용감하게 싸웠고, 2년 뒤에는 마렝고 전투(6. 14)에서 영사관 수비대 800명을 지휘했으며, 1805년에는 9,000명의 근위병을 이끌고 아우스터리츠에서 러시아 근위 기병대에 대한 유명한 돌격 작전(12. 2...
    출생 :
    1768년 8월 6일, 프랑스 프레사크
    사망 :
    1813년 5월 1일, 독일 작센 리파흐
    국적 :
    프랑스
  •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로 돌아왔다(→ 나폴레옹 전쟁). 브뤼메르 쿠데타 때 프랑스군은 이탈리아에서 축출되었으나 나폴레옹은 북부 이탈리아로 진격하여 오스트리아군을 마렝고 전투에서 격파하고(1800) 오스트리아로 하여금 뤼네빌 조약에 조인하게 했다. 1802년 프랑스와 영국은 아미앵 조약으로 관계를 강화했으나 2년 후에 전쟁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프랑스 혁명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French revolutionary and Napole..
    7년 브뤼메르 18일(1799. 11. 9)의 쿠데타로 프랑스의 제1통령이 될 무렵에는 프랑스 혁명에 대한 외세의 간섭 위협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1800년 마렝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에 거둔 승리와 뒤이은 뤼네빌 조약으로 프랑스는 유럽 대륙의 지배세력이 되었다. 그로부터 2년간은 막강한 해군력을 보유한 영국만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전쟁
  • 마세나 prince d'Essling, André Masséna, duc de Rivoli
    4월 21일부터 6월 4일까지 제노바를 포위한 오스트리아군에 대항해 끝까지 제노바를 지켰다. 이에 힘입은 나폴레옹은 적군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마렝고 전투(1800. 6. 14)를 승리로 이끌고 마침내 오스트리아군을 북부 이탈리아의 거의 전지역에서 몰아낼 수 있었다(→ 나폴레옹 전쟁). 마세나는 1804년 육군원수에...
    출생 :
    1758. 5. 6, 프랑스 니스
    사망 :
    1817. 4. 4,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페페 Guglielmo Pepe
    때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나폴리에서 조직된 공화파 군대에 들어갔다. 왕당파와 싸우다 부상당하고 감옥에 갇혔으나 어리다는 이유로 살아났다. 1800년 마렝고 전투에서 나폴레옹군으로 싸운 뒤 몇 년 동안 프랑스군에서 복무했고 1811~13년에는 스페인에서 여단장을 지냈다. 나폴리에 부르봉 왕조가 다시 들어선 뒤...
    출생 :
    1783. 2. 13, 양(兩)시칠리아 칼라브리아 스퀼라
    사망 :
    1855. 8. 8, 피에몬테 토리노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