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라타 동맹 Maratha confederacy
    18세기 무굴 제국의 압력으로 인도 서부 마하라슈트라의 시바지 왕국이 붕괴된 후 형성된 동맹.|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가 죽자(1707) 마라타 동맹의 세력은 시바지의 손자 샤후의 지도 아래 회복되었다. 샤후는 브라만 가문인 바트가에 권력을 위임하여 그뒤로는 바트가에서 페슈와(peshwa : 총리)의 자리를 이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마라타 제국 (관련어 마라타 동맹) Maratha Confederacy, マラーター王国
    또는 마라타 연맹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마라타 제국을 세운 마라타인들은 인도에서 무굴 제국의 통치를 끝내는 데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마라타인들은 현재의 마하라슈트라 지방의 서부 데...
    도서 위키백과
  • 마라타 전쟁 Maratha Wars
    이 싸움의 결과 마라타 동맹은 붕괴되었다. 제1차 마라타 전쟁(1775~82)은 영국이 마라타 동맹 페슈와(peshwa : 총리)가 되려고 한 라구나트 라오를 지원하면서 시작되었다. 영국은 1779년 1월 와드가온(→ 와드가온 협약)에서 패배했으나 살바이 조약(1792. 5)이 체결될 때까지 마라타와 계속 싸웠다. 이 전쟁에서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영국・인도, 마라타전쟁 시작
    영국 동인도회사가 인도의 마이소르왕국을 침공한 데 이어 인도 서부의 강대국인 마라타동맹과 전쟁을 시작했다. 근대식 무기를 앞세운 영국의 공격 앞에 1799년에는 마이소르왕국이 패배하고 1818년에는 마라타동맹이 무너진다. 이로써 인도 대부분이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참조
    시대 :
    1775년
    국가/대륙 :
    아시아
  • 마라타의 항쟁
    가에크와드, 신디아, 홀카르, 본슬레 등 다섯 세력으로 나뉘어져 서로 간에 치열한 세력 다툼을 벌이고 있었다. 이에 영국은 페샤와르 및 신디아와 군사동맹을 맺어 마라타 연합 세력을 분열시키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던 중 1802년 10월 디왈리 축제 기간 중에 홀카르가 페샤와르와 신디아의 연합군과 전쟁을...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제1차 영국-마라타 전쟁 First Anglo-Maratha War, 第一次..
    된 나라얀라오의 부인 강가바이는 마라타 제국의 페슈와가 될 자격이 있는 아들을 낳았으며 새로운 아기는 사바이 마드하브라오라 이름지어졌다 12명의 마라타 동맹 족장들은 나나 파드나비스가 이끌고 있었는데 이 아기를 새로운 페슈와로 임명하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였다. 권력을 놓기 싫었던 라구아...
    도서 위키백과
  • 마라타 Maratha (caste)
    카스트 정보 마라타는 인도아리아인 계통의 마라타인 출신으로 구성된 자티 집단의 총칭이다. 주로 마하라슈트라주에 모여산다. 그들은 팽창하는 마라타 제국을 만들어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에 중부 인도의 대부분을 장악하였다. 마라티족 마라타 동맹
    도서 위키백과
  • 마라타 Marathi people, マラーター
    다른 뜻마라타인은 마라티어를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인들의 총칭이다. 마라타는 이들 마라티인 계통으로 구성된 자티 집단들을 말하는 것으로 마라티인들과 겹치는 범위가 비슷할 뿐 완전히 같은 개념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마라타 마라타 동맹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유럽의 팽창과 인도
    성장에 위기감을 느낀 하이데라바드도 영국과 군사보호조약을 맺음으로써 이 나라 또한 실질적으로는 영국의 지배하에 들어가 있었다. 한편 북인도에서는 마라타 동맹과 시크 세력이 영국에 대항할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당시 영국의 인도 총독이었던 워런 헤이스팅스는 마라타의 위협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 우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시아
  • 마라타-마이소르 전쟁 Maratha–Mysore wars
    제국-하이데라바드 번왕국 연합 세력과 마이소르 왕국 간의 전쟁이다. 1780년부터 1784년까지 치러졌던 제2차 영국-마이소르 전쟁 이후 마라타 제국과 하이데라바드 번왕국은 동맹을 맺고 양쪽 모두가 마이소르에 빼앗긴 영토를 되찾으려 하고 있었다. 마이소르의 군주 티푸 술탄은 이를 감지하고, 마라타 측의 공세를...
    도서 위키백과
  • 하이데르 알리 Hyder Ali
    후, 1761년경 자신이 마이소르의 통치자가 되었다. 그리고 나서 베드노르(지금의 하이다르나가르), 카나라 및 남인도의 작은 공국들을 정복했다. 1766년 마라타 동맹과 하이데라바드의 니잠 알리 칸, 영국이 하이데르에 대항하는 삼자동맹을 체결했지만, 그는 곧 마라타 동맹을 매수해 망갈로르를 점령하고 영국의...
    출생 :
    1722, 인도 부디코테
    사망 :
    1782. 12. 7, 치토르
    국적 :
    남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 바세인 조약 Treaty of Bassein
    이 조약은 마라타 동맹이 붕괴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조약으로 인해 영국의 동인도회사는 1818년 서인도의 페슈와 영토를 합병했다. 1800년 페슈와의 장관 나나 파드나비스가 죽자 마라타 동맹은 불화가 일어나 분열되었다. 군사적 맹주였던 다울라트 라오 신디아와 자스완트 라오 홀카르(훌카르)는 정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 {영국과 마라타 동맹 간의 아사예 전투(180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