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링구아 프랑카 타협언어, lingua franca
    공통 언어가 없는 집단이 서로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쓰는 보조언어.|타협언어라고도 하는 링구아 프랑카의 예를 들면 외교관계에서는 영어와 프랑스어가 쓰이며 아프리카 동부지역에서는 스와힐리어, 인도에서는 힌디어·영어, 남태평양에서는 멜라네시아 피진어, 동인도제도에서는 바자르 말레이어가 쓰이고 있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링구아 프랑카 (관련어 링구아프랑카) Lingua franca, リング..
    정리 필요 링구아 프랑카는 서로 다른 모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국제어, 공통어로 사용하는 제3언어(때로는 한 집단의 모어)를 말하며 국가나 단체에서 공식적으로 정한 언어를 뜻하는 공용어와는 다른 개념이다. 정의를 통해 알 수 있듯, 특정 언어를 지칭하는 표현이 아니라, 언어 가교의 기능...
    도서 위키백과
  • 남아메리카인디언 제어 (관련어 링구아 프랑카) South American Indian langu..
    한때 남아메리카와 앤틸리스 제도 및 중앙아메리카(온두라스 만과 코스타리카의 니코야 반도를 잇는 선 남쪽) 전역에서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그 지역 전체에 걸쳐 부분적으로 쓰이고 있는 어군.|콜럼버스의 미대륙 발견 이전에 이 언어를 사용한 사람의 수는 1,000만~2,000만 명으로 추정된다. 1980년대초에는 약 1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링구아 프랑카와 문화어
    개요 국제 혼성어, 즉 링구아 프랑카는 주로 유럽인들의 진출 때문에 생겨났지만, 바우페스 강 연안의 링구아 프랑카인 투카노어처럼 서로 다른 언어집단에 속하는 인디언 부족들 사이에서 생겨나기도 한다. 원래 쿠스코와 페루 중부에서 쓰이던 케추아어는 잉카 시대에 세력을 확장하여 제국의 공용어가 되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Lingua franca 링구아 프랑카, リングワ・フランカ
    A lingua franca (plural lingua francas), also known as a bridge language, common language, trade language or vehicular language, is a language or dialect systematically (as opposed to occasionally, or casually) used to make communication possible between persons not sharing a native language or d...
  • 링구아프랑카노바 Lingua Franca Nova, リングア・フ..
    링구아프랑카노바(Lingua Franca Nova)는 펜실베이니아주의 조지 보레 박사가 만든 국제보조어이다.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에스파냐어와 카탈루냐어를 기초로 만들어졌다. 링구아프랑카노바를 Lingua Franca Nova라고 쓰지만 길기 때문에 LFN이라고 더 많이 쓴다. 세상의 여러나라에서 찾을 수 있는...
    도서 위키백과
  • Lingua Franca Nova 링구아프랑카노바, リングア・フランカ・ノバ
    Lingua Franca Nova (or Elefen) is an auxiliary constructed language originally created by C. George Boeree of Shippensburg University, Pennsylvania. Its vocabulary is based on the Romance languages French, Italian, Portuguese, Spanish, and Catalan.Harrison, Richard H. (2008) Lingua Franca Nova...
  • 링구아 제랄 lingua-geral
    링구아제랄은 투피남바 인디언어를 변용시켜 만든 언어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크리올어 creole
    처음에는 지배집단의 언어를 단순화하거나 수정하여 서로 다른 집단의 구성원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게 되었다. 이 단계에서 의사전달 언어가 링구아 프랑카(국제어 혼성)이며 그것을 단순화한 형태가 피진어이다. 링구아 프랑카가 덜 우세한 집단의 표준어 또는 토착어가 될 때 그 언어가 크리올어가 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아프리카 제어 African languages
    어족에 속하는 쿠나마어·실루크어·딩카어·누에르어, 함셈어족에 속하는 갈라어·소말리어·하우사어 등이다. 아랍어와 유럽어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인 링구아 프랑카(국제 혼성어)로는 스와힐리어·링갈라어·파나갈로어·상고어 등이 있다. 19세기 중엽부터 언어학자들은 아프리카어를 분류하는 데 있어서 난관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피진어 pidgin
    많았기 때문에 이 피진어를 '링구아 프랑카'라고 부르게 되었다. 오늘날 '링구아 프랑카'는 국제회의에서 널리 쓰이는 영어처럼 여러 언어가 존재하는 곳에서 의사전달 수단으로 쓰이는 모든 언어를 가리킨다. 곧 불완전한 형태의 링구아 프랑카를 가리킨다. 중국 피진 영어는 영국인들이 극동 지방에서 상업 활동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아람어 Aramaic language
    BC 7~6세기에 차츰 아카드어를 대신하여 근동지방의 링구아 프랑카(국제혼성어)가 되었으며, 나중에는 페르시아 제국의 공용어가 되었다. 아람어는 히브리어 대신 유대인의 언어가 되었다. 〈구약성서〉의 〈다니엘〉과 〈에즈라〉는 아람어로 씌어 있으며, 바빌로니아 〈탈무드〉(유대 율법과 주해를 집대성한 책)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