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리크 leek
    백합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지중해 동부 지방과 중동지방이 원산지로 이곳에서는 리크를 옛날부터 심었으며 로마인들이 유럽과 영국제도에 가져간 것으로 보인다. 크기는 40~100cm 정도이고, 전체적인 형태는 파와 비슷하며, 잎은 풋마늘 잎과 유사하다. 식물체가 억세며 잘 자라지만 생육기간은 긴 편이다. 양파와 유...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원산지 :
    중동, 유럽
    크기 :
    약 1m
    학명 :
    Allium porrum
  • 리크 (악기) Riq, リック (打楽器)
    리크는 아랍 음악에서 사용되는 타악기이자 탬버린의 일종이다. 아랍 세계 전역에서 전통적인 악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민속 음악과 고전 음악 모두에서 중요한 악기로 여겨진다. 리크는 전통적인 방식을 따라서 만든 나무 틀(현대에는 금속으로 만들기도 함), 원반 모양을 띤 작은 금속 짤랑이, 물고기의 피부나...
    도서 위키백과
  • 리크 Leek, リーキ
    다른 뜻nutritionalvalue 리크(leek)는 부추속의 재배 식물이다. 리크를 "서양 대파"로 부르기도 하고, 서양에서 대파를 "아시아 리크"라 부르기도 하지만, 파(A. fistulosum)와는 종이 다르다. 코끼리마늘(A. ampeloprasum)의 재배종이며, 같은 종의 재배 식물로는 코끼리마늘과 구슬양파 등이 있다. 대파보다 줄기가 ...
    도서 위키백과
  • 리크 데친것 영양정보 (동의어 리크)
    1회 제공량 :
    100g
    칼로리 :
    22kcal
  • 리크 생것 영양정보 (동의어 리크)
    1회 제공량 :
    100g
    칼로리 :
    54kcal
  • 비알리크 Ḥayyim Naḥman Bialik
    구현했고 현대 히브리어를 시적 표현에 유용한 매체로 만들었으며, 심오한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룬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비알리크는 5, 6세쯤에 아버지를 여의고 엄격한 신앙심과 학식을 지녔던 할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유대 고전에 대한 철저한 교육을 받은 다음, 볼로진(지금의...
    출생 :
    1873. 1. 9, 러시아 볼히니아 래디
    사망 :
    1934. 7. 4, 오스트리아 빈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메이즈리크 Dr. Mejzlîk
    형사 메이즈리크는 체코가 낳은 세계적인 문호 카렐 차페크(Karel Čapek, 1890~1938)의 두 단편집 ≪두 개의 주머니에서 나온 이야기들≫(국내 편역 제목은 ≪단지 조금 이상한 사람들≫) 중 몇 개의 단편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차페크는 정치가이자 위대한 작가로, 일반 명사가 된 ‘로봇’이라는 단어의 창시자로...
    도서 탐정사전 | 태그 소설
  • 가이세리크 게이세리쿠스, Gaiseric
    아프리카에 있던 로마 속주 대부분을 정복하고 455년에는 로마를 약탈했다. 반달족이 바이티카(지금의 스페인 안달루시아)에 정착했을 때 형 군데리크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428년 5월에 모든 백성을 이끌고 아프리카로 옮겨갔다. 가이세리크의 주장에 따르면 이때 그의 백성은 8만 명이었다. 그가 아프리카로 옮겨...
    출생 :
    미상
    사망 :
    477
    국적 :
    반달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Leek 리크, リーキ
    The leek is a vegetable that belongs, along with onion and garlic, to the genus Allium, currently placed in family Amaryllidaceae, subfamily Allioideae. Historically, many scientific names were used for leeks, which are now treated as cultivars of Allium ampeloprasum. The name 'leak' developed fr...
  • 전람회의 그림 Tableaux d’une exposition(A Remembrance of Viktor Hartmann)
    친구의 죽음을 애도하는 음악 이 작품은 1873년 39세의 나이로 갑자기 요절한 화가 하르트만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작곡되었다. 무소륵스키는 1870년경 평론가 블라디미르 스타소프(V. V. Stasov, 1824~1906)의 소개로 화가이자 조각가인 빅토르 하르트만을 만났고, 서로의 예술관을 나누면서 절친한 관계가 되었다...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독주곡>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874년 6월
    작곡가 :
    모데스트 무소륵스키(Modest Mussorgsky, 1839~1881)
    출판 :
    1886년
    헌정 :
    빅토르 하르트만
    구성 :
    16곡
    편성 :
    피아노 독주(무소륵스키 원곡) 혹은 오케스트라 편성(라벨 편곡) - 플루트 3(피콜로 1 겸함), 오보에 3(잉글리시 호른 1 겸함), 클라리넷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2, 콘트라바순, 알토 색소폰,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심벌즈, 작은북, 큰북, 트라이앵글, 실로폰, 첼레스타, 클레셀, 탐탐, 캄파네, 글로켄슈필, 하프 2, 현 5부
  • 시왈리크 산맥 Siwalik Hills
    인도 시킴 주 티스타 강에서 서북서쪽으로 1,600㎞를 뻗어 네팔을 통과하고 인도 북서부를 가로질러 파키스탄 북부로 들어간다. 곳에 따라서 너비가 16㎞밖에 안 되는 곳도 있지만, 평균고도는 900~1,200m이다. 남쪽의 인더스 강과 갠지스 강의 평원에서 가파르게 솟아올라 북쪽에 자리잡은 히말라야 산맥 원줄기와 평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하우스리크 houseleek
    유럽, 모로코, 아시아 서부가 원산지이다. 'houseleek'라는 이름은 유럽에서 초가지붕 위에서 자라는 몇몇 종의 모양에서 따온 것이며, 영어 이름 'live-forever'는 이들의 내한성과 내구성을 가리켜 붙여졌다. 보통 두꺼운 다육질의 잎이 빽빽하게 로제트를 이룬다. 작은 묘목은 모(母) 식물체 근처에서 송이를...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셈페르비붐속
    원산지 :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서식지 :
    정원의 가장자리, 암석정원 및 암벽에 기르기에 적당
    꽃색 :
    분홍색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