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루트-다카히라 협정 태평양 지역에 대한 미·일 교환..
    1908년 11월 30일 체결된 미국과 일본 사이의 조약.|정식 명칭은 '태평양 지역에 대한 미·일 교환공문'이며, 양국의 이해와 세력권을 상호인정함으로써 전쟁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었다. 캘리포니아의 일본 근로자들에 대한 차별입법으로 비롯된 양국의 불화는 1907년 '신사협정'이 조인됨으로써 어느 정도 해소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다카히라-루트 협정 Root–Takahira Agr..
    루트-다카히라 협정 또는 다카히라-루트 협정은 미국 국무부 장관 엘리후 루트와 일본의 다카히라 고고로 주미대사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어 1908년 11월 30일에 체결된 일본 제국과 미국 간의 협정이다. “태평양 방면에 관한 미일 교환 공문”이라고도 불린다. 협정은 1908년 11월 시점의 영토 현황을 공식적으로 인정...
    도서 위키백과
  • 다카히라 고고로 Takahira Kogorō, 高平小五郎
    대사가 되었고, 11월말에는 극동, 태평양 지역에서의 영토 인식의 확인과 무역, 산업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미국의 국무장관 엘리후 루트와 협상을 벌여 〈루트 다카히라 협정〉을 맺었다. 이것은 미국이 하와이 왕국 병합과 필리핀에 대한 관리 권한을 가지고, 일본이 만주에 대한 권리를 가지는 것을 미국이 각각...
    도서 위키백과
  • 루스벨트의 대통령기
    루스벨트는 1907년 캘리포니아에서 반일 감정으로 빚어진 마찰을 무마하기 위해 소위 '신사협정'을 체결했고 일본인들의 미국 이민을 제한했다. 루트-다카히라 협정에서는 만주와 조선에서의 일본의 우위를 인정하는 대가로 필리핀에서의 특권을 인정받았다(루트-다카히라 협정). 1910년 루스벨트는 필리핀 군도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 포츠머스 조약 Treaty of Portsmouth, ポーツマス条約
    제국은 일본 제국이 조선에 대한 지배권이 있음을 인정. 1905년 11월 17일 - 을사조약: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 1908년 11월 30일 - 루트 다카히라 협정: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일부 구체화시킴. 일본 제국은 대한제국과 국경을 접한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세력과 전쟁을 벌여 잇달아 승리함으로써 조선...
    도서 위키백과
  • 한일신협약 Japan–Korea Treaty of 1907, 第三次日韓協約
    탄압중 역대급으로 전력을 다해서 전라도<'남한'은 전라도 특히 전남지역을 가리킴>를 탄압한 작전). 제1차 한일 협약 제2차 한일 협약 일본 제국 한일 병합 조약 정미의병 기유각서 한국통감부 한일의정서 을사조약 한일병합조약 영일 동맹 포츠머스 조약 다카히라-루트 협정 불평등 조약 남대문 전투 위키문헌대한제국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필리핀 관계 Philippines–South Korea relations, 菲律..
    자체사양에 맞춘 FA-50PH를 도입하였다. 참고로 두 국가는 상호군수협정 및 군사정보공유협정을 맺은 사이이다.최근에는 K2C1소총, 포함급 공여, 호위함 수주 등을 통해 두 나라의 군사적 관계는 더욱 가까워지고 있다. 필리핀 한국 원정군 재필리핀 한국인 가쓰라-태프트 밀약 다카히라-루트 협정 필리핀의 대외 관계
    도서 위키백과
  • 영일 동맹 Anglo-Japanese Alliance, 日英同盟
    1923년 8월 17일 영일 동맹은 공식 폐기되었다. 군사동맹 군사동맹 목록 영국-독일 해군력 경쟁 열강 8국 을사조약 영일 관계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일본 다카히라-루트 협정 문호개방정책 포츠머스 조약 - London School of Economics Discussion paper (2002) - LSE STICERD Discussion paper (2003) 한일 병합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