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루앙 도자기 Rouen ware
    프랑스의 중심 도요지(陶窯地)인 루앙에서 만든 파이앙스(주석유약을 입힌 도기)와 자기.|16세기에 파이앙스는 건축장식과 약제용 항아리로 사용되었다. 1647년 루앙도자기 공장을 세운 도공 에듬 포테라는 프랑스 연성자기(軟性磁器)의 발명가로서, 가구와 책제본, 정원설계에 이미 널리 쓰이던 방사형 꽃줄무늬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루앙 Rouen
    고대의 시계가 달린 르네상스식 큰 문(1527)인 그로오를로주가 14세기 종탑 옆으로 시 한가운데에 서 있다. 미술·도자기 박물관에 17, 18세기 프랑스 그림들과 루앙도자기들이 소장되어 있다. 다른 박물관들은 이곳에서 태어난 17세기 극시인인 피에르 코르네유와 19세기 소설가인 귀스타브 플로베르에게 바쳐졌다...
    위치 :
    프랑스 북서부, 센 강 하류
    인구 :
    472,000명 (2022년 추계)
    면적 :
    21.38㎢
    언어 :
    프랑스어
    대륙 :
    유럽
    국가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캥페르 파이앙스 Quimper faience
    피에르 코지와 1809년 다시 그것을 인수한 드 라 위보디에르가 생산량을 확대시켰다. 캥페르 파이앙스는 고유한 자체양식을 개발하지 못했고 마르세유와 네베르, 그리고 특히 루앙도자기를 차례로 모방했으나 디자인과 기술에 있어 모델이 되었던 그릇들보다는 대개 질이 떨어졌다. 이 공장은 아직도 남아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렌 파이앙스 Rennes faience
    사용하는 것이 특색이다. 처음 생산된 대부분의 제품은 사실적인 꽃장식을 많이 하는 로카유 형태(로코코 시대의 장식형태)와 거의 같았으나 18세기 브르타뉴 중심지에 있는 많은 공장에서 생산된 상당량의 도자기에는 렌 파이앙스가 사용하지 않았던 붉은 색을 씀으로서 마르세유와 루앙의 영향이 강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람캄행 Ramkhamhaeng
    비엔티안과 루앙프라방까지, 서쪽으로는 미얀마의 인도양 해안까지, 남쪽으로는 말레이 반도의 나콘 시 탐마라트에까지 확장했다. 그는 이 지역들을 모두 직접 통치하지는 않고 지방 통치자들로부터 그의 종주권을 인정받았던 듯하다. 그는 새로이 상좌부 불교를 믿는 한 지역을 합병했다. 이 지역은 그때까지 캄보디아...
    출생 :
    1239(?)
    사망 :
    1298(?)
    국적 :
    수코타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파이앙스 파트리오티크 faience patriotique
    오세르와 아르투아, 미디에서뿐만 아니라 느베르를 주산지로 하고, 특히 루앙·파리·보베에서 많이 만들었다. 주제로는 혁명의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다루었다...권리와 관련된 슬로건들은 물론이고 활기차고 소박하며 다채로운 도자기 그림들, 즉 갈리아 수탉, 프리지아 모자, 쟁기와 오크나무, 늘어진 깃발, 바스티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살레르노 Salerno, サレルノ
    46.7%는 남성, 53.3%는 여성이다. 살레르노의 산업 기반은 관광업과 서비스업이며 도시의 제조업은 1970년대의 경제 위기로 살아남지 못했다. 남은 제조업은 도자기와 식품 제조다. 살레르노의 항구는 티레니아해에서 가장 활발한 곳 중 하나이다. 1년에 약 70만 톤의 상품들이 옮겨진다. 국기 루앙 (2003)국기...
    도서 위키백과
  • 라오스 왕궁 박물관 Royal Palace, Luang Prabang, 琅勃拉邦王宮
    1904년 루앙프라방 지방에 왕족을 위해 지어졌다. 궁전은 외부 인사가 왕가를 방문했을 시 인근강가에서 바로 머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당대의 왕이었던 시사방봉(Sisavang Vong)이 승하하면서 왕자였던 사방 밧타나(Savang Vatthana)가 최후의 주인이 되었다. 1975년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왕정이 붕괴...
    도서 위키백과
  • 노리치 Norwich, ノリッジ
    라인란트의 도자기 파편이 발견된 것으로 볼 때, 이미 그 무렵에는 다른 지역과의 교역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10세기 전반에는 화폐 주조도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에덜스탄(Athelstan)의 통치기간인 924년부터 939년에 주조된 동전에 ‘Norvic’이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다. 그 이후에도 웬섬 강(River Wensum)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